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부추겨지는 성폭력 역고소와 가해자 연대

Instigated Counter-accusations of sexual violence and perpetrators’ solidarity

여성학논집
약어 : WSR
2018 vol.35, no.2, pp.113 - 153
DOI : 10.18341/wsr.2018.35.2.113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연구분야 : 여성학
Copyright ©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179 회 열람

이 글에서는 성폭력 가해자들이 피해자와 연대자, 지지자들을 위협하고 협박하는 수단으로 삼고 있는 무고, 명예훼손,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등의 ‘보복성 역고소’와 특히 법인과 함께 기획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보복성 기획고소’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을 보기 위해 성폭력 가해자의 저항이 ‘시장화’되어 가고 있는 현황, 그것들을 부추기고 지지하는 가해자 연대와 패턴에 대해 살펴보았다. 최근 ‘성범죄 전담변호사’ 등을 키워드로 가해자 변호에 대한 홍보가 확장되고 있으며, 일부 변호사들은 하나의 사건을 몇 개로 쪼개어 ‘패키지화’하면서 ‘영업수단’으로 삼고 있다. 성폭력 가해자 변호는 점차 불법과 합법 사이의 경계에서 ‘새로운 돈벌이 수단’이 되어가고 있는 것이다. 가해자들은 자신의 성폭력 사건이 폭로된 SNS, 온라인 등에 피해자를 동조하거나 지지하는 자들을 찾아 무차별적인 고소를 남용하고 있으며, 가해자 연대를 형성하여 각종 역고소의 형태와 방식에 대한 정보를 주고받기도 한다. ‘보복성 역고소’, ‘보복성 기획고소’에 대항하기 위해서는 변호사협회 차원에서의 자율적 규제, 수사·재판 과정에서 역고소에 대한 ‘적극적 조치’, 관련 법 제·개정 등이 요구된다. 그러나 피해자들의 경험에서 알 수 있는 가장 적극적인 대항은 피해자에게 이미 내재되어 있는 힘과 피해자 연대, ‘피해자 리더십’으로부터 비롯된다. 또한 성폭력을 문제제기하는 과정에 있어서 형사사법처리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극대화하되, 남성중심적인 법의 언어에 종속되지 않도록 그것의 한계를 직시하면서 대안적인 운동 전략과 담론이 고민되어야 할 것이다.

성폭력 역고소, 성폭력 가해자 연대, 성폭력 무고, 성폭력 명예훼손, 법률 시장
Counter-accusations of sexual violence, Sexual violence perpetrator solidarity, Sexual violence false accusations, Sexual violence defamation, Legal market

  • 1. [학위논문] 강경화 / 2012 / 성폭력 피해여성 무고죄 적용 요인 분석 : 검찰 수사과정 중심으로
  • 2. [보고서] 경찰청 / 2017 / 2016 경찰범죄통계
  • 3. [기타] 고미경 / 2016 / 성폭력 피해자가 피소된 사건에서의 법적 지원 : 49 ~
  • 4. [학위논문] 김보화 / 2011 / 성폭력 가해자의 '가해행위' 구성 과정에 관한 연구
  • 5. [학술지] 김혜경 / 2017 / 고소권 제한원리로서 권리남용금지원칙의 도입에 관한 연구- 헌법상 기본권 충돌과 제한의 관점에서 - / 피해자학연구 / 25 (1) : 29 ~ 1 kci
  • 6. [학술대회] 김홍열 / 2013 / 최근 보복범죄 발생 현황과 시사점 / 국회입법조사처 주최 「보복범죄 방지를 위한 범죄피해자 인권 강화 방안」 자료집 발표문
  • 7. [학술대회] 대구여성의전화 / 2003 / 성폭력 가해자에 의한 대구 성폭력 명예훼손 판결 분석 토론회 / 자료집 발표문
  • 8. [기타] 대검찰청 / 2018 / 2017 범죄분석 / 대검찰청
  • 9. [보고서] 대법원 법원행정처 / 2012 / 여성·아동·장애인 성폭력 피해자 증인 보호와 지원에 관한연구
  • 10. [학술지] 박선영 / 2003 / 성폭력 사실의 공론화와 명예훼손 / 法曹 / 52 (7) : 45 ~ 7
  • 11. [단행본] 박선영 / 2007 / 성폭력, 법정에 서다 / 푸른사상사 : 310 ~
  • 12. [단행본] 박원경 / 2015 / 성범죄 사건 경찰조사에서 합의, 재판까지 사건별 시간별 대응전략 / 지식공간
  • 13. [학술대회] 박은정 / 2018 / “#Me too, #With you : 새로운 민주주의를 상상하다 / 한국여성학회 주최 「성폭력을 말하다, 민주주의에 도전하다」 라운드 테이블 발표문
  • 14. [학술지] 배상균 / 2018 / 사실적시 명예훼손행위의 규제 문제와 개선방안에 관한 검토 / 형사정책연구 / 29 (3) : 163 ~ 3 kci
  • 15. [단행본] 배승희 / 2017 / 덫에 걸린 남자들 : 위험에 빠진 무고한 남자들을 위한 위기관리솔루션 / 북랩
  • 16. [학술지] 소병도 / 2017 / 성폭력 범죄에 있어서 무고죄 수사의 개선방안 / 홍익법학 / 18 (2) : 261 ~ 2 kci
  • 17. [학술지] 손창완 / 2009 / 법률서비스시장의 진입규제와 변호사가 전속적으로 제공하는 법률서비스의 범위(下) / 법조 / 58 (7) : 208 ~ 7 kci
  • 18. [학술지] 신주호 / 2010 / 경찰수사절차상 성폭력피해자의 인권보호를 위한 개선방안 / 법학연구 / 21 (2) : 9 ~ 2 kci
  • 19. [기타] 셰도우핀즈 / 2016 / SP-01 : 비평적 개인으로서의 피해자를 위한 젠더 폭력 법정 대응안내서
  • 20. [학술지] 오경식 / 2014 / 성폭력피해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개선방안 / 경찰학논총 / 9 (2) : 95 ~ 2 kci
  • 21. [학술지] 이동형 / 2017 / 저작권 침해에 대한 형사처벌조항의 검토 - 저작권법 제136조 제1항의 개정방안을 중심으로 - / 법학연구 / 58 (1) : 253 ~ 1 kci
  • 22. [학술지] 이명신 / 2012 / 성폭력 수사에 있어 이차피해 과정: 남성 경찰관을 중심으로 / 여성연구 (2) : 1 ~ 2 kci
  • 23. [학위논문] 이미경 / 2012 / 성폭력 2차 피해를 통해 본 피해자 권리
  • 24. [학술대회] 이미경 / 2017 / 일방적인 후원/기부가 감경사유가 된 판례와 피고인 변호 전략의 문제점 / 전국성폭력상담소협의회 주최 「성폭력가해자의 일방적인 후원/기부 감경요인 배제 촉구 기자회견」 발표문
  • 25. [학술지] 이주락 / 2008 / 피조사자의 신뢰성에 대한 수사관의 편견 연구 / 경찰학연구 / 8 (1) : 111 ~ 1 kci
  • 26. [단행본] 이재석 / 2016 / 성폭력 재판절차에서의 피해자 증인신문 재판참고사항에 관한 연구 / 사법정책연구원
  • 27. [단행본] 장다혜 / 2015 / 2012년 성폭력관련법 개정 이후 수사실무의 변화실태 및개선방안 : 피해자 보호·지원제도의 활용을 중심으로 / 한국형사정책연구원
  • 28. [학술대회] 장임다혜 / 2018 / 사실적시 명예훼손의 전말 /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주최 「성폭력 역고소를 해체하다 : 의심에서 지지로」 자료집 발표문
  • 29. [단행본] 전희경 / 2003 / 성폭력을 다시 쓴다 - 객관성, 여성운동, 인권 / 한울아카데미
  • 30. [단행본] 정국 / 2012 / 섹슈얼 트라우마 / 블루닷
  • 31. [학위논문] 정은경 / 2017 / 성폭력 피해 여성의 무고피소경험에 관한 연구
  • 32. [학술지] 정형근 / 2009 / 변호사의 직업윤리에 대한 고찰 / 법조 / 58 (6) : 278 ~ 6 kci
  • 33. [학술대회] 조순경 / 2002 / 성폭력 피해 사실 공개의 공익적 의미 : 성폭력 관련 법 체계와 법 집행에 있어서의 적극적 조치를 제안하며 / 민변여성위원회·성폭력 가해자 역고소 대책회의·성폭력 추방운동에 대한 명예훼손 역고소 공동대책위원회 주최 「성폭력가해자의 명예훼손, 무엇이 문제인가?」 자료집 발표문
  • 34. [학술대회] 조현주 / 2018 / 권력형 성폭력 범죄의 지원사례 및 한계, 개선점 / 대한법률구조공단·한국여성변호사회 주최 「권력형 성폭력 피해자 지원 및 보호를 위한 심포지엄」, 자료집 발표문
  • 35. [단행본] 홍태화 / 2018 / 알리기 전에 알면 좋은 사실들 / 한빛비즈
  • 36. [단행본] 한국성폭력상담소 / 2011 / 보통의 경험-성폭력 피해자를 위한 DIY 가이드 / 이매진
  • 37. [기타] 한국성폭력상담소 부설연구소 울림 / 2017 / 성폭력 역고소 피해자 지원을 위한 안내서 / 여성가족부
  • 38. [보고서] 한국성폭력위기센터 / 2016 / 성폭력피해자가 피소된 사건에서의 법적 지원
  • 39. [학술지] 성폭력추방운동에 대한 명예훼손 역고소 공동대책위원회 / 2002 / 성폭력 추방운동에 대한 명예훼손 역고소 공동대책위원회 발족 성명서 - 성폭력 피해사실을 알고도 침묵하란 말인가 / 한국여성신학 (50) : 199 ~ 50
  • 40. [학술지] 허민숙 / 2016 / 성폭력 무고의 재해석 / 한국여성학 / 32 (2) : 1 ~ 2 kci
  • 41. [학술지] 허민숙 / 2017 / “너 같은 피해자를 본 적이 없다” : 성폭력 피해자 무고죄 기소를 통해 본 수사과정의 비합리성과 피해자다움의 신화 / 한국여성학 / 33 (3) : 1 ~ 3 kci
  • 42. [단행본] Abel, Richard L. / 2008 / Lawyers in the Dock : Learning from Attorney Disciplinary Proceedings / Oxford University Press
  • 43. [학술지] Campbell, Rebecca / 2005 / The sexual assault and secondary victimization of female veterans : Help-seeking experiences with military and civilian social system / Psychology of Women Quarterly / 29 : 97 ~
  • 44. [학술지] Maier, S. L. / 2008 / "I Have Heard Horrible Stories..: Rape Victim Advocates' Perceptions of the Revictimization of Rape Victims by the Police and Medical System / Violence Against Women / 14 (7) : 786 ~ 7
  • 45. [단행본] Raphael, Jody / 2013 / 강간은 강간이다 / 글항아리
  • 46. [인터넷자료] 김미영 / 성폭행 혐의 이진욱 “무고는 큰 죄 / 한겨레신문
  • 47. [인터넷자료] / 김기덕, 성폭력 피해 주장 여배우 등 무고죄 고소 / 한겨레신문
  • 48. [인터넷자료] 박정훈 / 성범죄자가 여성단체에 후원해 형량↓, 이건 반성 아니다 / 오마이뉴스
  • 49. [인터넷자료] 신지민 / 성범죄를 저질렀다고요? 저희가 ‘구출’해드리겠습니다 / 한겨레신문
  • 50. [인터넷자료] 이혜리 / ‘피해자=꽃뱀’ 성평등 저촉되는 변호사 광고 금지법안 나왔다 / 경향신문
  • 51. [인터넷자료] 최가영 / “성폭행을 무죄로 이끌겠다" 법무법인 광고 논란 / YTN 뉴스
  • 52. [인터넷자료] 한국성폭력상담소 / [성명] 성폭력 고발된 연예인 조기복귀를 규탄한다
  • 53. [인터넷자료] 황금비 / 일단 사과하지 마? 기자의 ‘성범죄 전담’변호사 상담기 / 한겨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