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통일교육은 시대적 상황에 따라 반공교육, 통일․안보교육, 민족통일교육으로 그 명칭과 성격이 변화해왔고, 현재는 평화․통일교육으로의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통일교육이 평화를 지향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통일과 평화 논의가 만나는 지점으로서의 탈분단 담론에 주목하였다. 탈분단 담론은 분단으로 인한 폭력을 가시화하고, 현재 우리가 마주하고 있는 분단체제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할 것을 주문한다. 평화란 분단된 남북한이 하나가 되는 통일이라는 사건을 통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분단으로 인해 발생한 다양한 차원의 폭력이 해소되는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접근은 평화․통일교육에 다음과 같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통일을 평화를 구축해가는 과정으로 인식하도록 함으로써, 지금 자신의 삶과 연결하여 통일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둘째, 경쟁과 적대의 구조에서 외부로 향하던 시선을 우리 사회 내부로 전환함으로써, 남한에 대한 성찰을 포함하여 분단을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셋째, 분단으로 침해되는 가치들을 회복하려고 노력하며 보편적 가치를 지향함으로써, 통일교육의 교육적 측면을 강화할 수 있다.

Unification education has changed to anti-communist education, unification-security education, and nationalism unification education in its name and nature, and is now converting to peace-unification education. This study focused on post-division discourse as the point meeting between unification discourse and peace discourse, with the recognition of the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have specific discussions on what unification education’s aiming at peace is meant for. Post-division discourse visualizes the violence caused by division and orders us to reflect critically on the current reality of the divided system that we are facing. It is seen that peace is not achieved by the event of unification that the divided South and North becomes one but by the process of eliminating the violence in various dimensions that occurred due to division. This approach has the following implications for peace-unification education. First, we can present the reasons why we have to take interest in unification issues associated with our lives now, by perceiving that unification is the process of establishing peace. Second, we can secure the space for thinking critically about the division including reflection on the South by turning the eyes outwards in the competing and hostile structure to the inner side of our society. Third, we can reinforce the educational aspects of unification education by trying to recover the values infringed due to division and aiming at universal value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평화와 통일에 대한 논의
Ⅲ. 평화와 통일 논의의 접점으로서의 탈분단 담론
Ⅳ. 탈분단 담론이 평화·통일교육에 주는 함의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5)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