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의 목적은 17세기 일본사회를 대상으로 무사가 어떻게 존재했는지, 또 당시 지식인들은 무사가 어떻게 존재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했는지에 대해 주로 사상사의 관점에서 조명하는 것이다. 특히 戰國時代에 형성된 무사의 에토스가 에도(江戸) 幕府에 의해 새로운 敎學으로 수용된 儒學과 어떻게 결합되면서 평화 시대에 적합한 규범을 형성해 가는지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전국시대 무사는 전장에서 싸우기 위해 존재했다. 그들에게 전투는 명예의 원천이며 직업이라는 관념이야말로 무사를 다른 존재와 구별하는 것이었다. 에도 막부가 성립되면서 무사의 성격이 변화되었다. 전투원이었던 무사가 위정자로 자리매김 되면서 무사의 관료제적 편성이 진전되었다. 전투원으로서의 무사보다 文的 교양을 갖춘 행정 관료가 필요했던 것이다. 하지만 오랜 역사 과정을 통하여, 전투원이라는 독특한 생활환경 속에서 형성된 습속은 쉽게 바뀔 수 없는 것이었다. 17세기 전기에는 전국시대의 실전에 입각한 병법적 무사도론과 유학자에 의해 새롭게 제시된 도의를 강조하는 士道論이 대립하고 있었다. 전자는 武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실용적인 것이었고, 후자는 文의 가치를 우선시하는 관념적인 형식주의의 성격을 지니고 있었다. 이런 두 방향의 논의를 종합해서 한편으로는 전통적인 무사도의 내용을 보존하면서 다른 한편으로는 유학의 형식주의를 도입하여 새로운 무사도론을 제시한 것이 야마가 소코(山鹿素行)의 사도론이었다. 야마가 소코 사도론의 핵심은 직분론이었다. 그의 직분론에는 특히 근로 윤리가 강조되고 있다. 서민은 생업에 종사하느라 여념이 없는데, 무사는 마치 일하지 않고 봉록을 받으며 편안하게 생활하는 것으로 비치고 있는 점을 우려했다. 소코의 직분론에는 살아있는 모든 존재는 생존하기 위해 부단히 노력해야 한다는 철학이 있고, 또 맡은바 직분을 성실하게 수행해야 한다는 윤리관이 내재하여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소코의 사상은 17세기 후기부터 본격적으로 간행되기 시작한 무사 가문의 가훈에도 반영되었다.

키워드

무사도, 士道, 遊民, 사도론, 야마가 소코

참고문헌(46)open

  1. [학술지] 吉川黃一 / 1910 / 山鹿語類 / 國書刊行會 1

  2. [기타] / 日本庶民生活史類集成 8

  3. [단행본] / 1942 / 武士道全書 2 / 時代社

  4. [단행본] / 1942 / 武士道全書 4 / 時代社

  5. [단행본] 古川哲史 / 1948 / 明曆․寬文年代の道德史的意味, In 近世日本思想の硏究 / 小山書店

  6. [단행본] 上良亨 / 1974 / 三河物語 葉隱, In 日本思想大系 26 / 岩波書店

  7. [단행본] / 1975 / 本佐錄. 藤原惺窩 林羅山, In 日本思想大系 28 / 岩波書店

  8. [단행본] 山井湧 / 1974 / 中江藤樹, In 日本思想大系 29 / 岩波書店

  9. [단행본] 後藤陽一 / 1971 / 熊沢蕃山, In 日本思想大系 30 / 岩波書店

  10. [단행본] 田原嗣郞 / 1970 / 山鹿素行, In 日本思想大系 32 / 岩波書店

  11. [단행본] 吉川幸次郞 / 1973 / 荻生徂来, In 日本思想大系 36 / 岩波書店

  12. [단행본] / 1976 / 本多平八郎聞書, ꠓ近世政道論, In 日本思想大系 38 / 岩波書店

  13. [단행본] 渡部正一 / 1961 / 日本近世道德思想史 / 創文社

  14. [단행본] 田原嗣郞 / 1967 / 徳川思想史研究 / 未來社

  15. [단행본] 井上茂 / 1973 / 法秩序の構造 / 岩波書店

  16. [단행본] 申維翰 / 1974 / 海游錄 / 平凡社

  17. [단행본] 마르크 플록 / 1977 / 封建社會 2 / みすず書房

  18. [단행본] 石岡久夫 / 1980 / 山鹿素行兵法學の史的研究 / 玉川大学出版部

  19. [단행본] 相良 亨 / 1984 / 武士の思想 / ぺりかん社

  20. [단행본] 今井 淳 / 1984 / 日本思想論爭史 / ぺりかん社

  21. [단행본] 中山広司 / 1988 / 山鹿素行の研究 / 神道史學會

  22. [단행본] 千葉徳爾 / 1991 / たたかいの原像 / 平凡社選書 : 139

  23. [단행본] 山本博文 / 1995 / 殉死の構造 / 弘文堂

  24. [단행본] 前田 勉 / 1996 / 近世日本の儒學と兵學 / ぺりかん社

  25. [단행본] 이용수 / 2000 / 도쿠가와 시대의 철학사상 / 예문서원

  26. [단행본] 奈良本辰也 / 2002 / 武士の道 / ア-トデイズ

  27. [단행본] 小沢冨夫 / 2005 / 歴史としての武士道 / ぺりかん社

  28. [단행본] 海原 峻 / 2005 / 武士道―日本文化論 / 梨の木舍

  29. [단행본] 多田 顯 / 2006 / 武士道の倫理―山鹿素行の場合 / 麗澤大學出版部

  30. [단행본] 立花 均 / 2007 / 山鹿素行の思想 / ぺりかん社

  31. [단행본] 渡辺 浩 / 2007 / 주자학과 근세일본사회 / 예문서원

  32. [학술지] 立花 均 / 1980 / 山鹿素行に於ける日用の学問成立の契機 / 日本思想史 15

  33. [학술지] 田中光郞 / 1987 / 職分としてのꠓ武ꠗ 一山鹿素行の思想に關すゐ一考察一 / 論集きんせい 10

  34. [학술지] 高木昭作 / 1987 / 亂世―太平の裏に潛むもの / 歷史學硏究 574

  35. [학술지] 広神 淸 / 1991 / 山鹿素行の士道論 / 倫理學

  36. [학술지] 立花 均 / 1994 / 山鹿素行の用の思想と朱子学批判 / 倫理学年報 43

  37. [학위논문] 니시와키 미쓰루 / 1999 / 日本武士道에 관한 연구

  38. [학술지] 이상업 / 1980 / 日本武士道에 관한 考察―죽음의 초극을 중심으로 / 경상대논문집(인문․사회) 19

  39. [학술지] 広神 淸 / 1991 / 山鹿素行の士道論 / 倫理學

  40. [학술지] 구태훈 / 1992 / 德川幕府의 가부키 풍속 규제―도검규제를 중심으로 / 大東文化硏究 27

  41. [학술지] 구태훈 / 1993 / 日本近世 武士의 職分과 ꠓ兵農工商ꠗ의 社會―山鹿素行 ꠓ士道ꠗ論의 成立過程 / 成大史林 9

  42. [학술지] 구태훈 / 2000 / 江戸幕府의 帶刀統制와 帶刀政策의 전환 / 日本學報 45

  43. [학술지] 平石直昭 / 2005 / 日本武士道の戰爭と平和思想―山鹿素行, 山本常朝, 新渡戸稲造 / 동양정치사상사 5 (2)

  44. [학술지] 前田 勉 / 2010 / 山鹿素行における士道論の展開 / 日本文化論叢 18

  45. [학술지] 신현승 / 2011 / 주자학의 안티테제로서 소코의 유교경세론 -에도시대의 고학파 야마가 소코의 경세론- / 철학탐구 29 : 165 ~ 192

  46. [학술지] 박진한 / 2011 / 17세기 후반 하급 무사의 일상생활과 시정(時政)인식 - 아사히 분자에몬(朝日文左衛門)의 『앵무롱중기(鸚鵡籠中記)』(1691-1717)를 중심으로 - / 일본역사연구 (34) : 81 ~ 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