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성호 이익의 감정 스펙트럼에 관한 연구― Word2Vec을 활용한 성호와 퇴계ㆍ율곡의 감정 어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Seongho Yi Ik’s Emotional Spectrum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Emotional Vocabulary through Word2Vec

대동문화연구
약어 : -
2024 no.125, pp.319 - 351
DOI : 10.18219/ddmh..125.202403.319
발행기관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2 회 열람

본 연구는 17세기 유학자 성호 이익의 감정 이론이 가지는 독특한 면모를 디지털 방법론을 이용한 감정 어휘의 비교 분석을 통해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성호는 조선 유학에서 중요한 학술 주제로 다루어졌던 사단과 칠정이라는 감정을 기존의 학자들이 추상적이고 이론적인 분석 개념으로 여겨왔던 것과 달리 다채로운 현실 감정의 스펙트럼 속에서 바라보았다는 특징이 있다. 즉, 사단과 칠정이라고 하는 각 개념에 대한 형이상학적인 해석에만 집중했던 것이 아니라, 이러한 감정이 현실화되어 나타나는 구체적인 양상에 관심을 가지면서 다채로운 현실 감정의 스펙트럼 안에서 사단과 칠정의 관계를 설명하려고 했다는 점에서 매우 독특한 면모를 보여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성호의 ‘감정 스펙트럼’의 면모를 살펴보기 위하여 원전의 내용을 가까이서 직접 들여다보는 ‘가까이 읽기’ 뿐만 아니라 그가 펼쳐놓은 감정 스펙트럼을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멀리서 읽기’를 시도해보고자 한다. 특히, 여러 음절로 구성된 어휘를 포착해내기 위한 방법론인 N-gram과 분석하고자 하는 어휘와 맥락적으로 유사한 어휘를 포착해내기 위한 방법론인 Word2Vec을 활용하여 성호의 사단칠정론을 이루고 있는 어휘의 특징을 퇴계, 율곡의 이론과 비교한다. 이로써 두 학자와는 확연하게 다른 ‘감정 스펙트럼’으로서 사단과 칠정을 바라보는 성호 이론의 면모를 포착해내고자 한다. 이를 통해 그동안 발견하지 못했던 성호 사단칠정론의 특징을 기존의 연구와는 다른 새로운 방식으로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변적인 개념 해석을 통해서만 이해되었던 사단과 칠정을 우리의 현실 속에서 느끼고 실현할 수 있는 감정으로서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성호 이익, 감정 스펙트럼, 퇴계 이황, 율곡 이이, 사단칠정론, 디지털 인문학
Seongho Yi Ik, Emotional Spectrum, Toegye Yi Hwang, Yulgok Yi Yi, Four-Seven Theory, Digital Humanities

* 2023년 이후 발행 논문의 참고문헌은 현재 구축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