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고는 명작의 탄생과 그 사회 문화적 의미를 조선후기 18세기 서화 애호 풍조와 僞作의 의미와 상징성을 통해 살펴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명작은 畵品을 나누어 그림의 우열을 논하고 화가를 品評하는 동양 특유의 畵論의 전통과 그 맥을 같이 하고 있으며, 위작의 등장은 미술품의 소장과 미술 시장을 전제로 한다. 명말의 尙古主義적인 경향의 중국 예술 서적의 수입과 중국 골동서화의 수입은 조선후기 고동 서화 수집 및 감상의 풍조를 유행 시켰고, 이와 더불어 경제력을 바탕으로 급부상한 상인 계층이 서화 시장의 새로운 고객층으로 급부상함으로써 이전과는 비교할 수 없는 서화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경제적인 구매력을 갖춘 고객층의 등장으로 인한 서화에 대한 폭발적인 수요와는 별도로, 한정적인 서화로 인해 조선 후기에 수많은 위작이 제작, 유통되어 사회적인 문제가 되었다. 이 논문은 위작의 제작과 유통을 동아시아의 서화 제작 관습과 서화의 유통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 이를 탐구하기 위해 위작의 기준작으로서 명작의 조건을 분석하고 위작과 진작을 구분하는 감정과 감평에 관해 기록한 화론서에 내용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위작과 위작 연구의 두 가지 가치를 재조명 하고자 한다. 첫째는 위작이 내포하는 다층적인 역사적 시간성이며, 두 번째는 명작 혹은 정전(canon)을 중심으로 기술 될 때 야기될 수 있는 단선적인 역사서술에서 벗어나 다양한 가능성을 제시하며 미술사의 지평을 넓힐 수 있다는 점이다.

키워드

名作, 僞作, 서화 시장, 서화 수장, 品評, 鑑定

참고문헌(55)open

  1. [기타] 權燮 / 玉所稿

  2. [기타] 金安老 / 龍泉談寂記 / 고전국역총서 49-66

  3. [기타] 金錫胄 / 息庵先生遺稿 / 한국문집총간 145

  4. [기타] 金昌集 / 老稼齋燕行日記 / 한국문집총간 175

  5. [기타] 南公轍 / 金陵集 / 한국문집총간 272

  6. [기타] 南有容 / 雷淵集 / 한국문집총간 218, 218

  7. [기타] 南泰膺 / 聽竹漫錄

  8. [단행본] 文震亨 / 1985 / 長物志 / 中華書局

  9. [기타] 朴趾源 / 燕巖集 / 한국문집총간 252 :

  10. [기타] 成海應 / 硏經齋全集續集 / 한국문집총간 273, 279

  11. [기타] 申欽 / 象村集 / 한국문집총간 71, 72

  12. [단행본] 沈德符 / 1959 / 萬曆野獲編 / 中華書局

  13. [기타] 吳光運 / 藥山漫稿 / 한국문집총간 210, 211

  14. [기타] 兪漢雋 / 自著準本

  15. [기타] 李德修 / 西堂私載 卷4 / 한국문집총간 186

  16. [기타] 李夏坤 / 頭陀草 / 한국문집총간 191

  17. [기타] 趙龜命 / 東谿集 / 한국문집총간 215

  18. [기타] 洪大容 / 湛軒書 / 한국문집총간 248

  19. [기타] 黃胤錫 / 頤齋亂藁 / 한국문집총간 246

  20. [단행본] 강명관 / 1999 / 조선시대 문학 예술의 생성 공간 / 소명출판

  21. [단행본] 김광국 / 2015 / 석농화원 / 눌와

  22. [단행본] 서유구 / 2019 / 이운지 3 : 임원경제지 권103~104 / 풍석문화재단

  23. [단행본] 유검화 / 2010 / 중국고대화론유편 : 제2편 품평 / 소명출판사

  24. [단행본] 유홍준 / 2001 / 화인열전 2 / 역사비평사

  25. [단행본] 이용휴 / 2007 / 혜환 이용휴 산문전집 하 / 소명출판

  26. [단행본] 조주연 / 2008 / 이론의 실천: 문화정치학으로서의 미술사 / 현실문화연구

  27. [단행본] 황정연 / 2012 / 조선시대 서화수장 연구 / 신구문화사

  28. [단행본] 강관식 / 2007 / 조선 지식인의 생활사 / 한국학중앙연구원

  29. [학술지] 고연희 / 2019 / 조선시대 모사(摹寫)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 동양예술 (43) : 37 ~ 66

  30. [학술지] 김대원 / 2009 / 중국역대화론-품평론 / 서예비평 4

  31. [학술지] 박상호 / 2012 / 宋代 逸品論의 無法中心的 도가미학 특징 연구 / 서예학연구 (21) : 137 ~ 167

  32. [학술지] 박은순 / 2001 / 恭齋 尹斗緖의 畵論: 《恭齋先生墨蹟》 / 미술자료 67

  33. [학술지] 박효은 / 2002 / 18세기 朝鮮 文人들의 繪畵蒐集活動과 畵壇 / 美術史學硏究 233・234

  34. [학술지] 배현진 / 2014 / 명말 강남지역의 서화 매매와 그 의미 / 동양예술 (25) : 171 ~ 200

  35. [학술지] 이동천 / 2009 / 조선서화 감정과 근거 자료의 운용 : 1850년 이후에 제작된 안견 <몽도원도> 제첨 ‘몽유도원도’와 위작 정선 <계상정거도> 등을 중심으로 / 조형 아카이브 1

  36. [단행본] 장진성 / 2004 / 미술사의 정립과 확산1: 한국 및 동양의 회화 / 사회평론

  37. [학술지] 장진성 / 2004 / 조선후기 古董書畵 수집열기의 성격: 김홍도의 <포의풍류도>와 <사인초상>에 대한 검토 / 미술사와 시각문화 3

  38. [학술지] 장진성 / 2009 / 조선 후기 미술과 『임원경제지(林園經濟志)』—조선 후기 고동서화(古董書畵) 수집 및 감상 현상과 관련하여 / 진단학보 (108) : 107 ~ 130

  39. [학술지] 장진성 / 2010 / 정선의 그림 수요 대응 및 작화방식 / 동악미술사학 (11) : 221 ~ 236

  40. [단행본] 장진성 / 2011 / 국경을 넘어서-이주와 이산의 역사 / 전국역사학대회조직위원회

  41. [학술지] 조규희 / 2013 / 만들어진 명작: 신사임당과 초충도(草蟲圖) / 미술사와 시각문화 (12) : 58 ~ 91

  42. [학술지] 조송식 / 2010 / 북송초 유도순(刘道醇)의 『성조명화평(聖朝名畵評)』과 그의 회화론 / 美學(미학) (64) : 179 ~ 226

  43. [학술지] 조인수 / 2006 / 미술사와 감식 : “망기(望氣)” 또는 “블링크(Blink)”: 현대 중국의 서화 감정 ,「“망기(望氣)” 또는 “블링크(Blink)”: 현대 중국의 서화 감정」에 대한 질의, 박은화 선생님의 질의에 대한 답변 / 미술사학 20 : 343 ~ 363

  44. [학술지] 지순임 / 1990 / 장언원의 품평사관 / 美術史學 2

  45. [학술지] 천기철 / 2003 / 조선후기 서화 감식론의 여러 양상 / 漢字漢文敎育 10

  46. [학술지] 푸선(傳申) / 1999 / 法書의 複本과 僞作 / 美術史論壇 8

  47. [학술지] 황정연 / 2010 / 朝鮮後期 書畵收藏論 硏究― 서화수장에 대한 인식과 실제 / 藏書閣 (24) : 193 ~ 231

  48. [단행본] 홍선표 / 1999 / 朝鮮時代繪畵史論 / 문예

  49. [단행본] Clunas, Craig / 2016 / Superfluous Things : Material Culture and Social Status in Early Modern China / University Of Hawai'I Press

  50. [단행본] Clunas, Craig / 1992 / Why Fakes Matter: Essays on Problems of Authenticity / The British Museum Press

  51. [학술지] Park, J. P. / 2019 / Reinventing Art History : Forgery and Counterforgery in Early Modern Chinese Art / Center 39

  52. [학술지] Hay, Jonathan / 2008 / The Value of Forgery / RES: Anthropology and Aesthetics (53/54)

  53. [학술지] Fong Wen / 1962 / The Problem of Forgeries in Chinese Painting-Part One / Artibus Asiae 25 (2/3)

  54. [학위논문] Wang Wenxin / 2016 / A social history of painting inscriptions in Ming China(1368~1644)

  55. [학술지] 서윤정 / 2019 / A New Way of Seeing: Commercial Paintings and Prints from China and European Painting Techniques in Late Chosŏn Court Painting / Acta Koreana 22 (1) : 61 ~ 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