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19세기 중반 이후부터 구체화한 기호학계의 학파 분화는 이후 지속적으로 전개되어 화서학파(華西學派), 노사학파(蘆沙學派), 간재학파(艮齋學派), 연재학파(淵齋學派) 등의 문인 집단으로 구체화되었다. 이들 학파의 문인들은 유교 문화의 수호와 계승을 지속하는 한편, 서구와 일제의 침탈에 맞서 위정척사와 의병활동, 항일운동 등의 대응 양상을 보이며 20세기 중후반까지 학파적 면모를 지속하였다. 본고에서 고찰하는 연재학파는 송병선(宋秉璿, 1836~1905)과 송병순(宋秉珣, 1839~1912) 형제의 강학 활동을 바탕으로 강학지인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전국에 걸쳐 수많은 문인을 배출한 근현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문인집단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하지만 기존의 연구는 송병선 형제의 문하에 배출된 직전 제자에만 초점을 맞추어졌고, 이에 따라 20세기 후반까지 활동한 연재학파 문인들의 전모를 확인하는 데에는 일정한 한계를 보였다. 이러한 선행 연구의 제한점에 유의하여 본고에서는 먼저 연재학파 형성의 배경이 되는 송병선 형제의 학문 수수 및 교유 관계, 그리고 체계적인 강학 활동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송병선 형제 문하에서 배출된 1,100명의 직전 제자뿐만 아니라 이 문인들의 문하에서 배출된 2,458명의 재전 및 99명의 삼전 제자들의 지역별 연령별 분포를 정리 분석하여 20세기를 관통하며 활발한 학문 활동을 전개한 연재학파의 전체 규모를 고찰하였다. 이 연구 논문을 기반으로 향후 연재학파에 대한 보다 진전된 연구가 후속되길 기대한다.

키워드

연재학파(淵齋學派), 송병선(宋秉璿), 송병순(宋秉珣), 계산연원록(溪山淵源錄)

참고문헌(19)open

  1. [단행본] 權龍鉉 / 1996 / 秋淵先生文集 / 경인문화사

  2. [단행본] 奇正鎭 / 2003 / 蘆沙先生文集 / 한국고전번역원

  3. [단행본] 金在洪 / 1993 / 遂吾齋先生文集 / 경인문화사

  4. [단행본] 宋達洙 / 2003 / 守宗齋集 / 한국고전번역원

  5. [단행본] 宋秉璿 / 2003 / 淵齋先生文集 / 한국고전번역원

  6. [단행본] 宋秉珣 / 1999 / 心石齋先生文集 / 경인문화사

  7. [단행본] 安圭容 / 1999 / 晦峰遺稿 / 경인문화사

  8. [기타] 李道復 / 覺齋集 (남명학고문헌시스템) / 남명학연구소

  9. [기타] 溪山淵源錄編纂所 / 1966 / 溪山淵源錄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 鮮和印刷所

  10. [학술지] 김상기 / 2017 / 淵齋學派의 사상과 민족운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59) : 5 ~ 44

  11. [학술지] 김선기 / 2006 / 心石齋 宋秉珣의 生涯와 詩 世界 / 인문학연구 33 (1) : 25 ~ 49

  12. [학술지] 김소희 / 2018 / 농산 신득구의 天說에 대한 논쟁 연구 / 한국실학연구 (35) : 329 ~ 363

  13. [학술지] 노관범 / 1997 / 19세기 후반 호서산림의 위상과 ‘정학’운동 / 韓國史論 38

  14. [학술지] 박경목 / 2001 / 淵齋宋秉璿의 學脈과 民族運動 / 대동문화연구 39

  15. [학술지] 박학래 / 2008 / 蘆沙奇正鎭의性理說을둘러싼기호학계의논쟁 - 「猥筆」을 중심으로 - / 민족문화연구 (48) : 407 ~ 445

  16. [학술지] 신상현 / 2012 / 敬菴 金魯洙의 『字學考』에 대한 연구 / 漢文古典硏究 24 (1) : 277 ~ 302

  17. [학술지] 원재연 / 2017 / 한말-일제강점기 남원유학자 박해창(朴海昌, 1876-1933)의 자강론과 계몽활동 / 역사와 실학 (62) : 153 ~ 189

  18. [학술지] 이병찬 / 2011 / 연재 송병선의 유기문학 연구 / 어문연구 68 : 333 ~ 363

  19. [학술지] 정경훈 / 2019 / 居昌 지역 淵齋學派와 연호 이주환 / 동방한문학 (78) : 81 ~ 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