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사씨남정기」를 서사한시로 읊은 「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사씨남정기」의 수용양상과 한시화의 의미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먼저 작품의 창작시기와 창작의 원천이 된 「사씨남정기」의 텍스트의 성격에 대해 검토하였다. 그 결과, 이 작품은 대략 18세기 중반경에 창작된 것으로 보이며, 창작에 참조된 「사씨남정기」 원텍스트는 김만중이 창작한 국문본 계열이 아닌, 김춘택이 한문으로 번역한 「사씨남정기」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어 작품의 서사적 특징에 대해 「사씨남정기」와의 서사의 차이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사씨의 남정 부분만 사씨의 시점에서 서술되고, 나머지는 모두 유연수의 시점에서 서사가 구성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사씨남정기」에서 주요하게 나타나는 교씨의 문제에 대해 크게 주목하지 않고, 주로 유연수와 사씨의 만남과 이별의 과정을 주요하게 처리하는 특징을 살필 수 있었다. 특히 그 만남과 이별의 과정에서 유연수와 사씨가 서로에 대한 감정을 직접적으로 토로하는 부분이 부각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면모에 따라 「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는 「사씨남정기」와는 구별되는 주제의식을 구현하게 되었다. 가부장제의 모순이나 축첩제의 현실 등이 작품에서 주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사씨와 유연수의 만남과 헤어짐, 그리고 그 속에 나타나는 두 사람의 사랑이 부각되었다. 부부가 겪은 여러 고난과 그 속에 피어나는 서로간의 사랑의 감정이 작품의 주지로 나타난 것이다. 아울러, 이 과정에서 주인공 사씨의 형상은 「사씨남정기」에 나타나는 이념적 인물이 아니라, 보다 생동감 있는 인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검토를 통해 18세기 향촌사대부의 「사씨남정기」 읽기의 한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동시에 서사한시 창작을 통해 새로운 「사씨남정기」를 구현하는 면모를 확인할 수 있었다.

키워드

敍事漢詩, 柳振漢, 「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 「謝氏南征記」

참고문헌(12)open

  1. [단행본] 柳振漢 / 1989 / 晩華集 / 淸節書院

  2. [단행본] 李養吾 / 1994 / 謝氏南征記後序, In 한국고소설비평자료집성 / 아세아문화사

  3. [단행본] 김동욱 / 1976 / 증보 춘향전연구 / 연세대출판부

  4. [학술지] 김석배 / 1991 / 「만화본 춘향가」 연구 / 문학과 언어 12

  5. [학술지] 류준경 / 2002 / 「만화본 춘향가」 연구 / 관악어문연구 27

  6. [학술지] 박혜숙 / 1998 / 한국 한문서사시 연구 / 한국한문학연구 22

  7. [단행본] 이금희 / 1991 / 「사씨남정기」연구 / 반도출판사

  8. [학술지] 이래종 / 2003 / <謝氏南征記>의 主要 異本 考察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19) : 369 ~ 401

  9. [학술지] 이수봉 / 1991 / 「劉翰林迎謝夫人告祠堂歌」 試譯 / 개신어문연구 6

  10. [학술지] 정길수 / 2010 / <道康瞽b>婦/b>>의 형식과 목소리 - 한문 단편서사시 분석 試論 / 고시가연구 (26) : 303 ~ 335

  11. [학술지] 정하영 / 1993 / 「사씨남정기」 한역시 考 / 연민학지 (1)

  12. [학위논문] 崔光鉉 / 1992 / 晩華本 『春香歌』 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