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AHP(분석적 계층 과정)를 활용한 리더십 주요 역량에 관한 탐색적 연구: 세대간 비교를 중심으로

An Exploratory Study on Leadership Key Competencies Using AHP: Focusing on comparisons between generations

HRD연구
약어 : KJHRDQ
2021 vol.23, no.3, pp.155 - 180
DOI : 10.18211/kjhrdq.2021.23.3.006
발행기관 : 한국인력개발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인력개발학회
78 회 열람

본 연구는 최근 조직 내에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세대의 특성을 반영한 리더십 주요 역량을 탐색하여 리더의 주요 역량에 대한 세대 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고 차세대 리더의 역량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Van Wart(2005)가 제시한 리더의 특성(traits), 재능(skills), 행태(behaviors)로 구성된 리더십 역량 중 행태 역량을 분석 역량으로 설정한 후 각 역량에 대한 세대별 중요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기성세대와 밀레니얼 세대 총 122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한 후 Excel 2016을 통해 계층적 분석 방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을 활용하여 우선순위와 중요도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리더십의 주요 역량에 대한 세대별 가치 인식 구조를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는 기존 조직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던 기성세대와 최근 조직 내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밀레니얼 세대가 인식하고 있는 리더십 주요 역량의 중요도와 우선순위를 정량적 지표로 검증하여 세대별 인식의 차이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기업 현장에서 차세대 리더의 리더십 역량 개발과 세대 간 격차를 완화하는 전략과 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 의의를 지닌다.

This study aims to provide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next generation leaders by exploring the major competencies of leadership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erations that have recently been highlighted in organizations and identifying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leaders’major competencies between generations. This study identifies the generational importance of each capability after setting behavior competency as an analytical competency among leadership competencies consisting traits, skills, and behaviors presented by Van Wart(2005).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urveyed 122 participants of older generation and Millennial generation.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The results of the AHP analysis showed key competencies of leadership in perceptional structure of generational value. This study theoretically contributes by identifying the importance of leadership key competencies recognized by the older generation, which has played a dominant role in existing organizations, and the Millennial generation. It is also practica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on the development of leadership competencies of the next generation leaders and the establishment of strategies to reduce the differences between generations in the field of enterprise.

리더십, 리더십 역량, 세대, 밀레니얼 세대, 기성세대, AHP 분석
leadership, leader’s competencies, generation, millennial, older generation, AHP analy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