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학제간 연구로서의 국내 해외지역연구는 1990년대 초 한국사회의 세계화의 일환으로 본격화되었다. 한국외대는 창립 초기부터 외국어와 외국학을 전문으로 출범하였으며, 유럽연구의 경우 1979년 대학원에 서구지역학과가 설립되면서 시작되었다. 지난 40년의 연구와 교육 및 프로젝트 성과는 양과 질 모두에서 고무적이나 작금의 현실은 녹록치 않다고 본다. 유럽학 프로그램은 학내 그리고 국내 타대학과의 경쟁은 물론이고 동아시아나 유럽 대학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질적 성장을 담보하지 못할 경우 어두운 미래가 전망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지난 40년을 돌아보면서 지속적인 성장과 활성화를 위해 앞으로 외대 유럽학이 추구해야하는 방향과 과제를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학부와 대학원의 교과과정 개정을 통해 세계화와 지역주의의 개념들이 반영되어야 하며, 학과나 연구소의 이름을 EU학 즉 유럽연합학에서 유럽학으로 변경하는 것을 권장하였다. 이는 현재 진행 중인 유럽의 다중의 위기를 반영함과 동시에 비회원국인 유럽국가들을 포함하는 보다 광의의 유럽지역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는 이유에서이다.

키워드

유럽학, 유럽연합, 한국외대, 지역연구, 학제간 연구

참고문헌(16)open

  1. [학술대회] 김시홍 / 2017 / 현 운영제도, 전공현황과 개선방안 / 국제대학원 십주년(1997-2017):회고와 전망

  2. [학술대회] 김시홍 / 2007 / 공급자 입장에서 본 지역연구의 교육과 연구 방향 / 지역연구과 정치학. 세계지역학 회 학술대회 발표논문

  3. [학술지] 김시홍 / 1997 / 지역학과 사회학의 상관성 / 국제지역연구 1 (2) : 43 ~ 61

  4. [학술지] 김일곤 / 2013 / 한국의 대학(원)에서 EU 교육 현황과 함의 : 교과과정(Curriculum)을 중심으로 / EU연구 (35) : 75 ~ 109

  5. [학술지] 고상두 / 2010 / 한국의 유럽연합 연구동향 / EU연구 (27) : 41 ~ 66

  6. [학술지] 서정철 / 1996 / 유럽, 유럽학을 찾아서 / EU연구 (2) : 509 ~ 547

  7. [학술대회] 이규영 / 2014 / 유럽연구를 통해 본 한국의 유럽학 연구 현황 / 제8회 유럽학연합학술대회 발표논문

  8. [학술지] 임상우 / 2010 / 통합적 유럽 연구를 위한 제언 / 통합유럽연구 (1) : 3 ~ 18

  9. [학술지] 조홍식 / 2014 / 한국 유럽학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 / 유럽연구 32 (2) : 1 ~ 23

  10. [단행본] 조홍식 / 1998 / 한국의 지역연구: 현황과 과제 / 서울대출판부

  11. [단행본] 한국유럽학회유럽시민권연구단 / 2003 / 통합유럽과 유럽시민권 / 높이깊이

  12. [단행본] 한국외대 / 2014 / 한국외국어대학교 60년사 / 한국외대

  13. [보고서] Buda, Martina / 2012 / European and/or EU Interdisciplinary Studies – a new Curriculum

  14. [학술지] Flower, John / 2010 / Journal of European Studies – Forty Years On / Journal of European Studies 40 (1) : 3 ~ 8

  15. [학술대회] Kim, Si Hong / 2017 / 20 Years of International Area Studies at HUFS: The Case of EU Studies / Convergence Area Studies in Global Paradigm: Focusing on Case Studies and Perspectives

  16. [단행본] Kim, Si Hong / 2008 / The Future of European Union Studies in Asia / The Asia-Europe Foundation (ASEF) : 82 ~ 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