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공학계열 신입생의 기초학력 저하가 점차 심화되고 있으며 이는 대학의 정상적인 교육과정 운영에 심각한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호서대학교 공과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습향상프로그램으로 운영되었던 피어 튜터링 제도의 사례를 제시하고 피어 튜터링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피어 튜터링 제도는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였으며 제도 참여자의 유기적인 네트워크 형성, 역할 분담과, 업무 검증을 통한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 결과, 피어 튜터링 제도는 튜터와 튜티 모두에 교과에 대한 흥미 증대, 학업능력의 향상과 더불어 선후배간의 유대감, 리더십, 책임감 증대에 도움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키워드

공과대학, 신입생, 피어 튜터링, 학업 성취도

참고문헌(14)open

  1. [기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교육 과정 해설서 / 1997

  2. [학술대회] 계승혁 / 2002 / 자연계 학생의 수학 기초학력 저하에 따른 문제점과 대처방안 / 제 19회 수학교육 심포지엄

  3. [학술대회]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공학교육혁신 성과사례 / 제1회 공학교육혁신 성과보고회

  4. [학술지] Remedios, Z. Miciano. / 2006 / Piloting a Peer Literacy Program: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7 (1) : 76 ~ 84

  5. [단행본] Barrows, H. S. / 1980 / Problem- Based Learning PS / Springer-Verlag

  6. [단행본] Barrows, H. S / 1994 / The Tutorial Process, 3rd Edition /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7. [인터넷자료] / 연세대

  8. [인터넷자료] / 동국대

  9. [인터넷자료] / 고려대

  10. [인터넷자료] / 하버드대

  11. [인터넷자료] / 스탠포드대

  12. [인터넷자료] / 듀크대

  13. [인터넷자료] / 교육정보공시센터

  14. [인터넷자료] / wiki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