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2510.jpg
KCI등재 학술저널

eUCP V 2.0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UCP 2.0

  • 139

4차 산업의 발달과 디지털화의 가속화에 맞춰 ICC에서는 UCP 600의 추록인 eUCP V 1.1을 2019년 7월 1일 eUCP의 새로운 버전인 V 2.0으로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eUCP V 2.0은 ‘제시인’, ‘데이터 처리 시스템’, ‘재제시’ 등 새로운 용어의 정의를 추가하였으며, 실무적용을 위한 사전준비사항 및 표준 지침, 사전고려사항, 면책조항인 불가항력, UCP 600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전자기록에 대해 보다 명확하고 투명성을 제공하기 위한 전자기록 및 종이서류 v. 물품, 용역 또는 의무이행을 추가하였다. 또한, 전자기록의 제시 및 심사 등의 조항들에서 제시인이나 은행들의 책임과 의무 등을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eUCP V 2.0과 eUCP V 1.1을 비교 분석하여 eUCP V 2.0의 특징과 주요 개정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신용장 거래의 원활성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UCP V 2.0 which comes into force on July 1, 2019 as the revision of eUCP V 1.1 in lin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y and the acceleration of digitization.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Research methodology taken by this article is the literature reviews. In this study, eUCP V 2.0 and eUCP V 1.1 are carefully compared and publications of ICC are throughly reviewed to evaluate how the digital compatibility would be ensured under eUCP V 2.0. Results : It is found that eUCP V 2.0 defines new terms, and adds preliminary considerations and new articles. In addition, as eUCP V 2.0 clarifies the liability and responsibilities of presenters and banks, it can be said that the new rule enhances clarity and transparency for utilization of electronic records in letter of credit transactions. Conclusions : This study provides reasonable practical implications for letter of credit practitioners in utilizing the electronic records through in-depth analysis of eUCP V 2.0. It is believed that eUCP V 2.0 ensures continued digital compatibility.

Ⅰ. 서론

Ⅱ. eUCP V 2.0의 적용 범위 및 사전준비사항

Ⅲ. 전자기록의 형식 및 내용

Ⅳ. 전자기록의 제시

Ⅴ. 전자기록의 심사

Ⅵ.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