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신장 한어방언의 현황 및 전망

Present Use Status of Chinese Dialect and Education Support Policy in Xinjiang Area

중국연구
약어 : -
2018 vol.76, pp.55 - 80
DOI : 10.18077/chss.2018.76..003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연구분야 : 중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인용한 논문 수 :   -  
115 회 열람

한국에서 신장한어방언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바 없으며 소개하는 내용도 없으나 소수민족교육정책의 개선방안 또는 소수민족 이중언어 교육정책에 관한 연구 내용의 일부로 다루어진 적이 있다 김영구(2007, 2015, 2016)) 「카시가르시의 공공활동 영역에서 위구르어가 차지하는 사회문화적위상에 대한 연구」, 「중국 소수민족 언어의 위상 하락과 주변화의 추이」, 「소수민족 이중언어교육정책의지향에 대한 연구:서부대개발 이후신장위구르자치구의 상황 변화에 대한분석을 중심으로」있다. 신장에는 오래 전부터 다양한 소수민족 언어를 사용하는 공동체들이 구성되어 왔다. 특별한 언어사용 방식 이외에도 급격한 정치‧사회적 변화는 언어 사용의 사회적 측면을 주목하도록 만들었다. 그러므로 본고는 사회언어학 입장에서 신장한어방언의 특징 및 신장한어방언이 형성된 원인과 발전추세를 중심으로 고찰을 하는 것에 목적을 둔다.

신장, 한어방언, 방언지원정책, 신장방언, 언어접촉
injinag area, Xinjiang dialect, Minority ethnic groups in Xinjiang, Bilingual phenomenon, Language contact

  • 1. [학술지] 김영구 / 2007 / 카시가르시의 공공 활동 영역에서 위구르어가 차지하는 사회문화적 위상에 대한 연구 / 현대중국연구 / 9 (1) : 253 ~ 1 kci
  • 2. [학술지] 김영구 / 2015 / 중국 소수민족 언어의 위상 하락과 주변화의 추이: 법제적 분석을 통해 본 시진핑 시기의 억압적 소수민족 언어정책의 주요 이슈 / 현대중국연구 / 16 (2) : 1 ~ 2 kci
  • 3. [학술지] 김영구 / 2016 / 중국 소수민족 이중언어교육정책의 지향에 대한 연구: 서부대개발 이후 신장위구르자치구의 상황 변화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 현대중국연구 / 17 (2) : 1 ~ 2 kci
  • 4. [학술지] 阿不力孜 / 2012 / 新疆 “双语”教育与少数民族教育的思考 / 新疆大学学报 / 40 (4)
  • 5. [단행본] 陈汝立 / 1990 / 新疆汉语方言词典 / 新疆人民出版社
  • 6. [학술지] 董印其 / 2006 / 新疆汉语方言形成的历史概述 / 乌鲁木齐职业大学学报
  • 7. [기타] 范新悦 / 2015 / 多措并举促进新疆教育的师资发展 / 今日民族
  • 8. [학위논문] 付玉翡 / 2013 / 对口援疆政策的实施与成效考察研究
  • 9. [학위논문] 高健 / 2014 / 新疆方志文献研究
  • 10. [학위논문] 郭玮 / 2007 / 新疆汉语方言词汇中名词、动词和形容词结构特点探析
  • 11. [학술지] 鞠文雁 / 2011 / 新疆高校少数民族“双语教育”改革及对策研究 / 新疆大学学报 / 39 (4)
  • 12. [학술지] 黎英 / 2015 / 新疆教育现状思考 / 合作经济与科技 (1)
  • 13. [단행본] 厉声 / 2009 / 中国新疆历史与现状 / 新疆人民出版社
  • 14. [학술지] 刘向辉 / 2011 / 援疆工作十四年回顾与展望 / 新疆地方志
  • 15. [단행본] 刘志霄 / 1985 / 维吾尔族历史 / 民族出版社出版图书
  • 16. [학술지] 沈蕾 / 2017 / 民族团结实践路径研究—以“民族团结一家亲”活动为例 / 民族论坛
  • 17. [학술지] 邢欣 / 2003 / 新疆汉语方言外来词研究 / 语言科学 / 2 (1)
  • 18. [단행본] 游汝杰 / 2009 / 社会语言学教程 / 复旦大学出版社
  • 19. [학술지] 袁同凯 / 2016 / 基础教育中少数民族学生的文化适应问题研究——以内地Z中学新疆内高班为例 / 民族教育研究 (5)
  • 20. [학술지] 赵新勇 / 2013 / 少数民族内地班生源大学生的管理工作 / 黑龙江民族丛刊民族教育(双月刊) / 1
  • 21. [학술지] 张建仁 / 2009 / 新疆教育事业发展现状与未来展望 / 兵团教育学院学报 / 19
  • 22. [학술지] 张钦 / 2006 / 新疆教育与人口现代化程度探析 / 疆石油教育学院学报 (8)
  • 23. [학술지] 张洋 / 1998 / 论新疆汉语汉语方言的维吾尔语借词 / 新疆师范大学学报 (2)
  • 24. [학술지] 赵鸿错 / 2012 / 新疆双语教育语言政策研究 / 理论与实践 (9)
  • 25. [단행본] 周磊 / 1995 / 乌鲁木齐方言词典 / 江苏教育出版社
  • 26. [학술지] 周庆生 / 2013 / 中国“主体多样”语言政策的发展 / 新疆师范大学学报 / 34 (2)
  • 27. [학술지] 周庆生 / 2014 / 论我国少数民族双语教育模式转型 / 新疆师范大学学报 / 35 (2)
  • 28. [단행본] 위키백과 / 百度百科 / 人民网, 中华人民共和国教育部网
  • 29. [단행본] / 1993 / 语言学百科词典 / 上海辞书出版社
  • 30. [단행본] 新疆维吾尔自治州人民政府办公厅 / 1999 / 新疆辉煌50年:1949-1999(上) / 新疆人民出版社
  • 31. [단행본] 新疆维吾尔自治区地方志编纂委员会 / 2016 / 新疆年鉴(2016年) / 新疆年鉴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