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과 중국의 국가체면

A dispute of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and Chinese national face

중국연구
약어 : -
2017 vol.70, pp.431 - 448
DOI : 10.18077/chss.2017.70..018
발행기관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연구분야 : 중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84 회 열람

한중(韓中) 상호 관계 중 한반도 내 사드(THAAD)문제는 양국의 정치, 외교상 중요한 문제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양국의 노력이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바탕위에서 사드배치와 이를 통한 중국의 국가체면을 살펴보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 주목한 부분은 한국의 사드배치로 인해 중국이 경험하게 될 체면위협행위(face threatening act)이다. 그리고 이에 대한 논의를 구체화하기 위해 중국의 관련 언론보도에 대한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자에 의한 자의적 해석을 견제하기 위해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연구결과를 도출해 냈다. 그 결과 한반도의 사드배치 문제가 중국입장에서는 일명 체면 떨어지는 행위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우선 사회적 체면과 직접적 관계가 있는 ‘존중(尊重)' 단어를 발견하였고, 이 단어의 등장은 동아시아 주변국인 중국을 배려치 않는 한국의 일방적 행위에 대한 불쾌함에 기인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더불어 이는 ‘안전(安全)'-‘이익(利益)'-‘손해(损害)' 단어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고 있었다. 중국은 한반도 사드배치와 관련하여 본인들의 국가안보(안전)와 국가이익이 타인에 의해 타격(손해) 받을 것에 대한 우려를 나타내고 있었다.

This article tried to find out that is not only way to solve a dispute of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in politics and diplomatic affairs.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it in a face threatening act which is Chinese people suffered. For this purpose, this article analyzed Chinese newspaper articles about THAAD. To avoid interpreting the results arbitrarily, this research has implemented SNA(Social Network Analysis) to find out the results.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deployment of the THAAD to South Korea means that Chinese government regards it as the affair to lost their own face.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found out the main word 'respect' which is with regard to social face. The appearance of the word 'respect' is based on their unpleasant thing about a South Korea's unilateral decision to deploy the THAAD without any consul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re is also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respect' and 'securities', 'interests', 'damage'. What concerns China is possibility that they will suffer serious damage to their national securities and national interests.

중국, 국가체면, 사회적 체면, 사드(THAAD) 배치, 중국 언론보도
China, national face, social face, THAAD, Chinese newspaper report

  • 1. [학술지] 주민욱 / 2013 / 중국인의 의견표명 행위와 체면관 / 한국언론정보학보 / 62 (2) : 74 ~ 2 kci
  • 2. [단행본] 주민욱 / 2014 / 중국인의 체면 / 커뮤니케이션북스
  • 3. [학술지] 주민욱 / 2016 / 중국인의 체면유형에 대한 실증연구 / 중국학연구 (75) : 275 ~ 75 kci
  • 4. [학술지] 주민욱 / 2016 / 중국 신문보도에 나타난 한반도 사드(THAAD) 배치 논란의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 중국학연구 (78) : 187 ~ 78 kci
  • 5. [학술지] 白阳 / 2014 / 基于中国国家形象‘里子’和‘面子’的探讨(중국 국가이미지의 리즈와 체면에 대한 탐구) / 传播与版权 (3)
  • 6. [학술지] 陈虎强 / 1999 / 论面子观念 : 一种中国人典型社会心理现象的分析(체면관념에 대한 논의 : 중국인의 전형적인 사회심리현상에 대한 분석) / 湖南师范大学社会科学学报 / 30 (1)
  • 7. [학술지] 程凌云 / 2008 / 面子论’与大学英语课堂气氛营造(체면론과 대학영어 수업 분위기 조성) / 安徽师范大学学报 / 36 (2)
  • 8. [단행본] 胡先缙 / 1989 / 中国人的面子观,见: 中国人的权力游戏(중국인의 체면관: 중국인의 권력게임 / 巨流图书公司
  • 9. [학술지] 胡秀润 / 2006 / 大学生社交恐怖症的形成与中国的面子文化(대학생의 사회교류 공포증의 형성과 중국의 체면문화) / 商丘师范学院学报 / 22 (6)
  • 10. [단행본] 金耀基 / 2002 / 面', '耻'与中国人行为之分析(체면, 수치와 중국인의 행위 분석), 金耀基自选集 / 上海教育出版社
  • 11. [학술지] 刘亚茹 / 2014 / 跨文化交际下中西方‘面子’文化差异探究(문화간 커뮤니케이션 하에서의 중·서양 ‘체면’문화 차이 연구) / 长春教育学院学报 / 30 (23)
  • 12. [학술지] 陆欣 / 2009 / 中西方面子观之差异研究(중·서양의 체면관의 차이 연구) / 继续教育研究 (5)
  • 13. [학술지] 沈毅 / 2003 / 人际交往中的名与实—论‘面子工夫’中的断裂(인간교류 중의 명예와 득—saving face work의 단절에 관한 논의) / 学术论坛 (4)
  • 14. [학술지] 舒大平 / 2008 / 东西方文化中‘面子’的比较和分析(동서양 문화 중의 체면 비교와 분석) / 大连海事大学学报 / 7 (2)
  • 15. [단행본] 田玉川 / 2012 / 面子 : 中国式人情运用技巧(체면−중국식 인정활용 기술) / 世界图书出版公司
  • 16. [학술지] 王轶楠 / 2005 / 中西方面子研究综述(중국과 서양의 체면 연구) / 心理科学 / 28 (2)
  • 17. [학술지] 燕良轼 / 2007 / 论中国人的面子心理. (중국인의 체면심리에 대한 논의) / 湖南师范大学教育科学学报 / 6 (6)
  • 18. [학술지] 翟学伟 / 2004 / 人情, 面子与权力的再生产—情理社会中的社会交换方式(인정, 체면과 권력의 재생산—(인간)도리 사회 중의 사회교환방식) / 社会学研究 (5)
  • 19. [단행본] 翟学伟 / 2011 / 中国人的脸面馆−形式主义的心理动因与社会表征(중국인의체면관−형식주의적 심리동인과 사회특징) / 北京大学出版社
  • 20. [학술지] 赵莹 / 2007 / 东西方人的面子观(동서양인의 체면관) / 新余高专学报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