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ART001335650},
author={
원지은
},
title={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
journal={
일본문화연구
},
issn={2765-7124},
year={2009},
pages={97 - 116},
doi={10.18075/jcs..30.200904.97},
url={http://dx.doi.org/10.18075/jcs..30.200904.97}
TY - JOUR
AU - 원지은
TI -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T2 - 일본문화연구
PY - 2009
IS - 30
PB - 동아시아일본학회
SP - 97 - 116
SN - 2765-7124
AB -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 초급 일본어 교과서에 사용된 폴라이트니스 스트라테지(이하 ps라고
함)를 분석했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사용된 ps의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 문제점을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지에 관해서 검토했다.
교과서에서 사용된 ps는 전부 17종류이며, pps는 9종류, nps는 7종류, ors는 1종류가 교과서
에서 사용되었다. 교과서에서 사용된 pps는 pps1, pps2, pps5, pps6, pps10, pps12, pps13,
pps14, pps15이며, 교과서에서 사용된 nps는 nps1, nps2, nps3, nps4, nps5, nps6, nps10이다.
그리고 교과서에서 사용된 ors는 ors15 하나뿐이다. 특히 pps5, pps12, nps10, nps2, nps6,
pps15, pps13가 많이 다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장면에서의 커뮤니케이션 기능을 제시하는 것에
의해 특정 ps가 집중적으로 사용되는 것을 피할 수 있으며 다양한 ps를 교과서에서 제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pps가 부적절하게 사용된 예로서 상대에게 반대 의견을 강조하거나 상대의 취향을 신
경쓰지 않는 사례를 들어서 이러한 경우에 pps6, pps1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지적했다.
nps가 부적절하게 사용된 예로서 친구에게 경어를 사용하거나 주어를 과잉 사용한 사례를 들어
이럴 경우 pps4, nps7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지적했다.
앞으로 본 연구와 결과와 중급 일본어 교과서에서 사용된 ps를 비교 분석하여 일본어 레벨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조사하는 것이 금후의 과제이다.
KW - ポジ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ネガティブ・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
オフ・レコード・ストラテジー, 日本語教科書
DO - 10.18075/jcs..30.200904.97
UR - http://dx.doi.org/10.18075/jcs..30.200904.97
ER -
원지은
(2009).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일본문화연구,
30,
97 - 116.
원지은
. 2009,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no.30,
pp. 97 - 116.
Available from: doi:10.18075/jcs..30.200904.97
원지은.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일본문화연구
30
pp. 97 - 116.
(2009): 97.
원지은
.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일본문화연구
[Internet].
2009;
30,
:
97 - 116.
Available from: doi:10.18075/jcs..30.200904.97
원지은
. “高校の日本語教科書に現れたポライトネス・ストラテジーの分析“
일본문화연구
no.30
(2009): 97 - 116. doi: :10.18075/jcs..30.200904.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