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수면장애 아동을 위한 사회적 이야기 중재 효과 : 체계적 고찰
A Systematic Study of the Intervention Effect of Social Stories in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바로가기
  • 통권
    제21권 제2호 (2023.08)바로가기
  • 페이지
    pp.69-83
  • 저자
    김지호, 유은영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35424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4,8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Objective : This study sought to systematically examine the intervention effect of social stories when applied in relation to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Methods : Studies available in the SCOPUS, ScienceDirect, PsycArticles, and PubMed databases that were published from 2001 to 2022 were searched. The keywords used for the search were as follows: (“social story” OR “social stories”) AND (“sleep” OR “sleep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bedtimes” OR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OR “sleep arousal disorder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six experimental studies were selected and analyzed. Results : The selected studies were two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three individual trials, and one case study. The subjects were mostly children diagnosed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who were school-aged or adolescent. The intervention types were often complex interventions, including social stories and other interventions, while the durations of the interventions varied from one day to more than 40 days. The intervention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ubjects’ sleep quality, with night wakings, sleep onset delay, and sleep anxiety all being improved. As 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social stories, the Child Sleep Habits Questionnaire and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were used in two papers each, and were the most commonly used. As non-standardized assessment tools, each of the four papers used turbulence and sleep diaries as assessment tools. Conclusion : The effect of social story mediation can be divided into sleep quality and sleep-related behavior. In terms of sleep quality, studies showing improvements in night wakings, sleep onset delay, and sleep anxiety accounted for a large proportion of the sample. The detailed effect area of sleep quality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the interventions in most studies, and in all six studies analyzed in the present study, the continuation of the effect after the intervention was confirmed via follow-up tests. Thu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helpful when applying social stories in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in clinical practice due to presenting the intervention effects, outcome evaluation tools, and intervention periods in children with sleep disorders in prior investigations involving social stories.
한국어
목적 : 본 연구는 수면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적용한 연구를 대상으로 중재 효과를 체계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2001년에서 2022년까지 데이터베이스 Scopus, ScienceDirect, psycArticles, Pubmed에 게재된 문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검색어는 ‘social story’ OR ‘social stories’ AND ‘sleep’ OR ‘sleep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bedtimes’ OR ‘sleep initiation’ and ‘maintenance disorders’ OR ‘sleep wake disorder’ OR ‘sleep arousal disorder’을 사용하였다. 선정 기준에 따라 최 종적으로 6편의 실험연구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 분석 대상 문헌은 무작위 대조 실험연구는 2편, 개별 실험연구가 3편, 사례연구가 1편이었다. 대상자는 진단별로는 자폐스펙트럼 아동, 연령별로는 학령기와 청소년기가 가장 많았다. 중재유형은 사회적 이야기와 다른 중재를 함께 포함한 복합중재가 많았고, 중재 기간은 1일부터 40일 이상으로 다양하였다. 중재 효과로 는 수면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며, 그중에서도 야간 각성(night walking), 수면 시작 지연(sleep onset delay), 수면 불안(sleep anxiety)이 개선되었다. 사회적 이야기의 효과를 평가하는 도구로는 표준 화된 평가에서는 아동 수면 습관 설문지(children’s sleep habits questionnaire)와 아동 행동 체크리스 트(child behavior checklist)를 가장 많이 사용하였고, 비표준화된 평가로는 인터뷰(interview), 수면일기 (Sleep diary)를 사용한 연구가 많았다. 결론 : 본 연구는 수면장애가 있는 아동 및 청소년에게 사회적 이야기를 적용함으로써 임상에서 적용할 수 있는 수면 중재 방향을 모색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사회적 이야기의 중재 효과로는 야간 각성(night wakings), 수면 시작 지연(sleep onset delay), 수면 불안(sleep anxiety) 영역이 개선된 연구들이 큰 비중을 차지하였 다. 수면의 질의 세부 효과 영역은 대부분의 연구에서 중재 전후 유의한 개선을 나타냈으며, 본 연구에서 분석 한 6편의 연구에서는 추적검사를 통해서 중재 효과에 대한 지속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적용한 수면장애 아동의 중재 효과, 결과 평가 도구, 중재 기간을 제시함으로써 수면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적 이야기(social story)를 임상에서 적용할 때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1. 연구 설계
2. 문헌검색 및 선정기준
3. 문헌 수집 및 선별 과정
4. 분석방법
Ⅲ. 연구 결과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 연구의 근거 수준
3. 중재의 유형 분석
Ⅳ. 고찰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

  • 김지호 [ Kim, Ji-Ho |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작업치료학과 석사 과정 ]
  • 유은영 [ Yoo, Eun-Young | 연세대학교 소프트웨어디지털헬스케어융합대학 작업치료학과 교수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 설립연도
    1996
  • 분야
    의약학>작업치료학
  • 소개
    학회는 1996년 부터 감각통합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과정 개발과 아이들을 위한 "감각통합 Camp", 부모 및 전문가 교육 실시, 학회지 발간 등을 통해 감각통합 전문가들의 지적 능력 향상과 연구를 통한 감각통합의 근거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아이들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것에 기여하였습니다. 학회는 감각통합의 "전문성의 일반화"와 "세계속의 한국화"를 Vision 2022로 세우고 국내 감각통합전문가 과정을 시작하였습니다. 현장에서 필요한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임상교육 및 슈퍼바이저 교육을 더욱 강화하였고, 깊이 있는 연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연구과제 지원을 확대하였습니다. 또한 세계 여러나라에서 실시하고 있는 국제적인 교육 개최 및 교류를 통해 우리나라의 감각통합을 발전, 확대하고자 합니다.

간행물

  • 간행물명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 간기
    연3회
  • pISSN
    1738-0405
  • eISSN
    2384-115X
  • 수록기간
    2003~2023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513 DDC 616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제21권 제2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