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경력정체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종업원들의 직무성과와 바람직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 중에서 근속연수의 역할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특히, 국내연구에서는 근속연수를 통제변수나 조절변수로 활용하는 연구가 다수인 반면 근속연수가 다양한 직무성과 및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근속연수의 효과성에 대한 보다 다양한 함의점을 밝히기 위하여 근속연수가 창의적 성과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각각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성과가 매우 강조되는 R&D 조직의 연구원을 대상으로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의 또 다른 결과변수인 조직몰입의 경우 태도측면에서 가장 전통적인 변수이다. 또한 R&D인력의 경우 조직인 지향적이라기 보다는 전문인 지향적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근속연수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주효과 이외에 본 연구에서는 경력정체를 상황적 요인으로 파악하여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 및 조직몰입간의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경력정체를 구조적 경력정체와 직무내용 경력정체로 구분한 후 직무내용 경력정체는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관계를 조절하고, 구조적 경력정체는 근속연수와 조직몰입간의 관계를 조절할 것으로 가설화하였다.
정부출연연구소에 근무하는 418명의 R&D인력을 대상으로 실증분석한 결과. 근속연수는 창의적 성과 및 조직몰입과 정(+)의 관계를 보였다. 또한 직무내용 경력정체가 높을수록 근속연수와 창의적 성과간의 긍정적 관계가 약화되었다. 그러나 구조적 경력정체의 경우에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특히, 실무적 시사점 측면에서 본다면 R&D인력이 최대한 경력정체를 느끼지 않도록 효과적인 인력관리가 요구되며, R&D 인력별로 자신들이 민감하게 인식하는 경력정체의 특성에 따라 부서 및 업무 배정을 다르게 가져가야 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Among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employees’ job performance and desirable attitudes, the role of organizational tenure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particular, numerous domestic studies only use organizational tenure as a control variable, while there are very few studies analyzing how organizational tenure influences on diverse job performance and attitude.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rect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o identify more diverse implications for the effectiveness of organizational tenure.
For this analysis,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of R&D workforce in R&D organizations where creative performance is highly emphasized. Organizational commitment, which is another dependent variable of our study, is the most traditional variable in attitude research. Moreover, it is meaningful to verify the effect of organizational tenur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because R&D workforce is characterized as professional oriented rather than organization oriented.
In addition to these main effects,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fter dividing career plateau into structural career plateau and job-content career plateau, we hypothesiz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creative performance. Structural career plateau was also hypothesized as the moderating variabl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figure below presents the research model of our study.
[그림 본문 참조]
Empirical results using 418 R&D staff working at the government-funded research institute showed that organizational tenure is positively related to creative performance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higher level of job-content career plateau alleviate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tenure and creative performance.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structural career plateau is not significant.
Finally,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In particular, the practical implications of our results highlighted that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is required to minimize the recognition of career plateau, and there is a need to take different assignment of tasks and departments depending on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towards career plateau.

목차

요약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References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