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또래 협력활동에서 나타나는 스캐폴딩과 과제 수행력의 관계와 지능과 사회적 기술에 따른 쌍 집단구성별 유아의 스캐폴딩 유형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만 5세 유아 72명이었으며, 유아의 지능과 사회적 기술을 고려하여 세 종류의 쌍 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유아의 과제수행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분류 검사와 조망수용능력 검사를, 또래 협력활동은 분류, 쓰기, 퍼즐 맞추기 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스캐폴딩 빈도와 과제 수행력 간의 관계에서 조망수용능력 과제와 스캐폴딩 간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쌍 집단구성별 차이에서는 사회적 기술은 높고 지능은 낮은 유아-두 변인 모두 낮은 유아 쌍 집단에서 스캐폴딩이 가장 활발하게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두 변인 모두 높은 유아-두 변인 모두 낮은 유아 쌍, 지능은 높고 사회적 기술은 낮은 유아-두 변인 모두 낮은 유아 쌍 집단 순으로 나타났고 유의미한 차이도 있었다.

키워드

또래 협력활동(peer collaboration), 쌍 집단구성(dyad group composition), 스캐폴딩(scaffolding)

참고문헌(63)open

  1. [학위논문] 강경아 / 1999 /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또래간 요구전략, 요구의 결과 및 반응전략

  2. [학위논문] 강소라 / 2008 / 유아의 사회적 능력과 성에 따른 또래 놀이개입 전략과 놀이개입의 결과

  3. [학위논문] 강연정 / 2002 / 집단구성·연령·성별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조망수용능력에 관한 연구

  4. [학위논문] 권혜진 / 2005 / 또래쌍구성과 과제유형에 따른 유아의 상호작용과 문제해결력

  5. [학술지] 권혜진 / 2006 / 대쌍협력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과제 수행력 / 아동학회지 15 (1) : 1 ~ 15

  6. [학술지] 김순정 / 2007 / 유아의 사회적 능력에 따른 사회적 놀이의 연속적 변화 패턴 / 아동학회지 28 (1) : 17 ~ 35

  7. [학술지] 김애자 / 2002 / 스캐폴딩 유형별 도덕교육활동이 유아의 조망수용능력 및 분배정의 추론에 미치는 영향 / 유아교육연구 5 : 65 ~ 83

  8. [학술지] 김종백 / 2006 / 또래 협력 상황에서 능력과 과제난이도에 따른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 열린유아교육연구 11 (2) : 31 ~ 48

  9. [학위논문] 김지영 / 2005 / NCTM의 수학교육 내용기준에 근거한 유아수학능력 평가도구 개발

  10. [학술지] 남미경 / 2011 / 역동적 평가의 스캐폴딩 집단유형과 능력수준에 따른 유아 기하능력발달의 차이 / 유아교육연구 31 (1) : 133 ~ 155

  11. [학위논문] 박정민 / 1999 / 사회성 수준에 따른 집단탐구수업과 전통수업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12. [학술지] 박혜원 / 2001 /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의 간편형 개발 / 아동학회지 22 (2) : 1 ~ 13

  13. [학술지] 서미옥 / 2003 / 대쌍협력 상황에서 나타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과제수행력 / 아동학회지 24 (3) : 15 ~ 26

  14. [학술지] 서미옥 / 2004 / 한국판 취학전 아동용 사회적 기술 척도(K-SSRS: 교사평정용, 부모평정용)의 타당화 연구 / 유아교육연구 24 (2) : 223 ~ 242

  15. [학술지] 서영선 / 2006 / 조형활동을 통한 협동학습에서 사회적 능력별 집단구성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 분석 / 아동학회지 27 (3) : 207 ~ 223

  16. [학위논문] 申鉉玉 / 1996 / 자신과 타인 이해활동이 유아의 자아개념, 조망수용 및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17. [학위논문] 이경미 / 1992 / 유아위 인기도와 조망수용 능력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지각조망, 인지조망, 감정조망을 중심으로-

  18. [학술지] 이소은 / 2004 / 대쌍협력 활동에서 단일연령쌍과 혼합연령쌍 유아의 인지수준변화와 협상전략 / 인간발달연구 11 (1) : 35 ~ 48

  19. [학술지] 이정화 / 2006 / 유아의 능력수준 및 성에 따른 쌍 협동학습이 과제수행에 미치는 효과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3 (3) : 185 ~ 208

  20. [학술지] 이정화 / 2007 / 유아의 쌍 구성조건에 따른Scaffolding 유형과 과제수행력 / 열린유아교육연구 12 (6) : 311 ~ 335

  21. [학술지] 이정화 / 2009 / 인지적․사회적 변인을 함께 고려한 또래 쌍 협력활동이 유아의 과제 수행력에 미치는 효과 / 아동학회지 30 (1) : 127 ~ 148

  22. [학술지] 이정화 / 2007 / 쌍구성 방법에 따른 협력활동에서의 또래 상호작용과 과제수행력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 (2) : 181 ~ 208

  23. [학위논문] 이희주 / 2000 / 교사와 또래와의 상호작용에 따른 Scaffolding 유형과 문제해결력의 차이 분석

  24. [학위논문] 정선희 / 2000 / 협동학습이 유아의 분류개념 및 수개념 형성에 미치는 영향

  25. [학위논문] 정영혜 / 2006 / 대쌍협력 상황에서 성별구성에 따른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과 블록과제수행

  26. [학술지] 최미숙 / 2006 / 컴퓨터 활동에서의 사회적 능력 집단 구성과 유아간 사회적 상호작용 / 교원교육 22 (3) : 231 ~ 248

  27. [학위논문] 최은주 / 2003 / 성 구성 및 능력에 따른 쌍짓기 유형이 scaffolding과 과제수행에 미치는 영향

  28. [학술지] 최종욱 / 2007 / 스캐폴더 집단 간 스캐폴딩의 빈도, 유형, 학습 효과의 차이 분석 /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4 (2) : 137 ~ 179

  29. [학위논문] 최지선 / 2004 / 초등학교 또래 아동간 스캐폴딩(scaffolding) 과정의 근거이론적 연구

  30. [학술지] Ames, G. F. / 1982 / When two wrongs make a right : Promoting cognitive change by social conflict / Developmental Psychology 18 : 894 ~ 897

  31. [학술지] Barton, K. / 1981 / Difference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teaching style and child-rearing practices / Psychological Reports 49 : 237 ~ 238

  32. [학술지] Botvin, G. J. / 1975 / The efficacy of peer modeling and social conflict in the acquisition of conservation / Child Development 46 : 796 ~ 799

  33. [인터넷자료] Center for Development and Learning / CDL’s social skills and peer relationship

  34. [학술대회] Cordon, L. A. / 1999 / In search of scaffolding: An observational study of fathers’ informal instructional styles / Poster presented at the biennial meeting of the society for research in child development

  35. [학술지] Denessen, E. / 2008 / Dyad composition effects on cognitive elaboration and student achievement / The Journal of Experimental Education 76 (4) : 363 ~ 383

  36. [학술지] Dimant, R. J. / 1991 / Development of formal reasoning during successive peer interaction / Developmental Psychology 27 : 277 ~ 284

  37. [학술지] Doise, W. / 1976 / Social interac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 further evidence /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6 (2) : 245 ~ 247

  38. [학술지] Duran, R. T. / 1993 / The role of age versus expertise in peer collaboration during joint planning /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55 : 227 ~ 242

  39. [단행본] Faulkner, D. / 1995 / Play, self and the social world, In Personal,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children / Balckwell Publishers in association with The Open University : 231 ~ 286

  40. [학술지] Fawcett, L. M. / 2005 / The effect of peer collaboration on children’s problem-solving ability /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5 : 157 ~ 169

  41. [학술지] Garton, A. F. / 2003 / Social sensitivity and children’s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 Australian Journal of Psychology 55 : 181

  42. [학술지] Gottman, J. / 1975 / Social interaction, social competence, and friendship in children / Child Development 46 : 709 ~ 718

  43. [학술지] Hudson, L. M. / 1982 / Role taking as a predictor behavior in cross-age tutors / Child Development 53 : 1320 ~ 1329

  44. [학술지] Lai, M. / 2006 / Peer scaffolding of knowledge building through collaborative groups with differential learning experiences / Journal Educational Computing Research 35 (2) : 123 ~ 144

  45. [학술대회] Lee, J. H. / 2008 / Children’s verbal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learning / Paper presented at the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46. [학술지] Martin, C. L. / 2001 / The stability and consequences of young children’s same-sex peer interactions / Developmental Psychology 37 (3) : 431 ~ 446

  47. [학술지] Neitzel, C. / 2003 / Mother’s scaffolding of children’s problem solving : Establishing a foundation of academic self-regulatory competence /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7 (1) : 147 ~ 159

  48. [단행본] Piaget, J. / 1952 / The moral judgement of the child / Harcourt Brace

  49. [학술지] Pinter, A. / 2007 / Some benefits of peer-peer interaction : 10-year-old children practising with a communication task / Language Teaching Research 11 (2) : 189 ~ 207

  50. [학술지] Plumert, J. M. / 1996 / Parental scaffolding of young children’s spatial communication / Developmental Psychology 32 (3) : 523 ~ 532

  51. [학술지] Renshaw, P. D. / 2013 / The social cultural and emotional dimensions of scaffolding /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2 (2)

  52. [학술지] Rojas-Drummond, S. / 2013 / ‘Dialogic scaffolding’: Enhancing learning and understanding in collaborative contexts / Learning, Culture and Social Interaction 2

  53. [단행본] Rubin, K. H. / 1984 / Communicative skills and sociability, In Communication by children and adults, 5 / Sage Publications Inc : 152 ~ 170

  54. [학술지] Russell, J. / 1990 / The role of symmetrical and asymmetrical social conflict in cognitive change / Journal of Experimental Child Psychology 49 : 58 ~ 78

  55. [학술지] Skibbe, L. / 2004 / Parental scaffolding of children’s phonological awareness skills : Interactions between mothers and their preschoolers with language difficulties / Communication Disorders Quarterly 25 (4) : 189 ~ 203

  56. [단행본] Stone, C. / 1993 / What is missing in the metaphor of scaffolding?, In Contexts for learning: Sociocultural dynamics in children’s development / Oxford University Press : 169 ~ 183

  57. [학술지] Sun, J. / 2012 / Scaffolding interactions with preschool children: Comparisons between mothers and teachers across different tasks / Merrill-Palmer Quarterly 58 (1) : 110 ~ 140

  58. [학술지] Tudge, J. / 1996 / The cognitive consequences of collaboration and feedback / Child Development 67 : 2892 ~ 2909

  59. [학술지] Vaughn, B. E. / 2001 / Dyadic analyses of friendship in a sample of preschool-age children attending head start : Correspondence between measure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competence / Child Development 72 (3) : 862 ~ 878

  60. [단행본] Vygotsky, L. S. / 1978 /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 Harvard University Press

  61. [학술지] Wentzel, K. R. / 1993 / Does being good make the grade? Social behavior and academic competence in middle school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5 : 357 ~ 364

  62. [학술지] Wentzel, K. R. / 2003 / Sociometric status and academic adjustment in middle school : A longitudinal study /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3 : 5 ~ 28

  63. [학술지] Wood, D. / 1976 / The role of tutoring in problem solving / Journal of Child Psychology and Psychiatry 17 : 89 ~ 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