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비블리오드라마가 대학생의 진로장벽과 직업인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Bibliodrama on Career Barrier and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for College Students

인격교육
약어 : -
2020 vol.14, no.4, pp.69 - 83
DOI : 10.18015/edumca.14.4.202011.69
발행기관 : 한국인격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인격교육학회
인용한 논문 수 :   -  
14 회 열람

본 연구는 비블리오드라마 집단상담이 대학생의 진로장벽 극복과 직업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실험은 J시에 위치한 대학교 학생 중 진로 고민이 있는 학생 7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비블리오드라마 집단상담은 총 10회기로 진행되었다. 1회기는 2020년 7월 7일(화) 18시에 실시하여 라포 형성, 프로그램 소개와 비블리오드라마 진행에 필요한 영화 ‘선 어브 갓(Son of God)’을 시청하였다. 2회기∼10회기는 7월 10일(금)부터 7월 12일(일)까지 매일 3회기씩 각 회기 90분씩 진행되었다. 실험에 참여한 각 구성원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 진로탐색장애검사와 직업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하지만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학생 1명이 하루 불참하여 사후검사에서는 제외되었다. 따라서 사후검사는 6명만 대상으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signed-rank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진로장벽 극복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장벽의 하위요인 중 대인관계 어려움, 중요한 타인과의 갈등, 나이 문제, 신체적 열등감, 미래 불안이 유의미하게 감소되었다. 둘째, 비블리오드라마를 활용한 집단상담은 대학생의 직업인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민적 덕성을 제외한 모든 하위요인들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비블리오드라마의 효과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group counseling on bibliodrama has positive effects on career barriers and professional personality competence of college students. The experiment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seven students who have career concerns among university students located in J city. The group counseling for the bibliodrama was conducted in a total of 10 sessions. The first session was held on July 5, 2020 at 18:00, and after the program was introduced, and the movie “Son of God” was screened, which is necessary for the conduct of the bibliodrama. Each member who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was subjected to a career barrier test and an occupational personality test before the program was implemented. However,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one student was absent one day and was excluded from the post-test. Therefore, the post-test was conducted for only 6 subjects, and the Wilcoxon signed-rank test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programs using bibliodram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overcoming career barriers for college students. Second, group programs using bibliodrama were foun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improving the professional personality for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effects of bibliodrama were discussed. Finall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esented.

비블리오드라마, 대학생, 진로장벽, 직업인성, 진로
ibliodrama, career Barrier, vocational Character competence, college student, care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