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는 강원도 소재의 사단에 군 복무 병사들을 대상으로 병사들의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조절, 자살사고 간의 단순상관관계를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계급별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정서조절, 자살사고의 차이는 분산분석,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병사의 계급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자살사고의 미치는 영향과 자살사고의 요인을 살펴보았다. 병사 전체 대상에 따른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이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첫째, 병사의 계급에 따른 정서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자살 사고 간에는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병사의 계급에 따라 각각 정서명확성과, 정서조절, 자살사고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면 지지추구양식만 통계적으로 유의 한 것이 없었다. 마지막으로 계급과 상관없이 군인의 자살사고의 미치는 요인에서는 자살사고에 미치는 요인으로 하나의 요인보다는 네 가지 요인인 정서명확성, 능동적 양식, 회피 분석적 양식, 지지추구적양식가 자살사고의 미치는 영향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나타냈지만 지지추구적양식의 요인이 투입되면서 능동적양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본 연구 결과, 정서인식명확성과 정서조절의 어려움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병사들이 자신의 정서에 대해 명확하게 인식하고 안정된 정서를 유지하게 되면 군 생활을 하는데 보다 만족감을 가질 수 있으며 그로인해 자살 및 군기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따른 다양한 군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활성화하여 새로운 차원에서 인식해야 할 필요가 있다.

키워드

정서인식명확성, 정서조절, 자살사고, 인성교육

참고문헌(35)open

  1. [보고서] 국가인권위원회 / 2006 / 군복무 부적응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2. [보고서] 국방부 / 2018 / 현역 병 입영현황

  3. [보고서] 국방부 / 2018 / 군사망사고 현황

  4. [학술지] 김예은 / 2017 / 청소년의 정서인식명확성이 심리적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 (4) : 1075 ~ 1093

  5. [단행본] 김춘경 / 2016 / 상담학 사전 / 학지사

  6. [학술지] 김형래 / 2016 / 메타(Meta)분석에 의한 병사 자살위험요인 연구 / 국방정책연구 32 (1) : 189 ~ 220

  7. [학술지] 이은주 / 2018 / 복무 부적응 병사들의 자살 시도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9 (4) : 329 ~ 341

  8. [학술지] 이원화 / 2011 / 청소년의 정서조절곤란 수준과 정서조절방략의 사용: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의 비교 연구 / 인간이해 32 (2) : 195 ~ 212

  9. [학술지] 이서정 / 2008 /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4) : 887 ~ 905

  10. [학술지] 이경희 / 2010 /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 (2) : 369 ~ 384

  11. [학술지] 이대식 / 2012 / 육군병사의 군 생활 스트레스, 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와 군 생활 적응의 관계 / 한국군사복지학회 9 (1) : 5 ~ 31

  12. [학술지] 임석현 / 2014 / 유서에서 나타나는 병사들의 자살심리 / 과학수사학회지 8 (3) : 182 ~ 188

  13. [학술지] 임전옥 / 2003 / 정서인식의 명확성,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 (2) : 259 ~ 275

  14. [기타] 육군본부 / 2007 / 자살사고 예방 추진지침 / 육군본부

  15. [학술지] 윤민재 / 2008 / 한국사회의 군대문화와 군자살사고에대한 사회학적 고찰 / 담론201 11 (1) : 165 ~ 193

  16. [보고서] 중앙자살예방센터 / 2018 / 한국자살현황

  17. [보고서] 중앙자살예방센터 / 2018 / 국제자살통계

  18. [학술지] 조현주 / 2007 / 우울장애의 불안, 신체화, 분노 증상과 정서조절방략과의 관계 /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 (3) : 663 ~ 679

  19. [학술지] 진효정 / 2016 /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표현, 자아존중감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에 미치는 영향 - 여대생 중심으로 - / 청소년학연구 23 (9) : 83 ~ 106

  20. [학술지] 정미경 / 2009 / 군 병사들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이 자살의도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 / 사회복지연구 40 (4) : 453 ~ 483

  21. [학술지] 홍주현 / 2013 /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청소년의 정신건강: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 한국심리학회지:일반 32 (1) : 195 ~ 212

  22. [보고서] 통계청 / 2018 / 사망원인통계

  23. [학술지] Amelia Aldao / 2010 / Emotion-regulation strategies across psychopathology: A meta-analytic review /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2) : 217 ~ 237

  24. [단행본] Cicchetti, D. / 1986 / Advances in infancy / Ablex

  25. [학술지] Cichetti, D. / 1995 / Emotions and emotion regulation in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 (01) : 1 ~ 10

  26. [단행본] Daniel J. Siegel / 2013 / 감정의 치유력

  27. [단행본] Goldman, D. / 1995 / Emotional Intelligence / Bantam Books

  28. [학술지] Gross, J. J. / 1999 / Emotion regulation : Past, present, future / Cognition & Emotion 13 (5) : 551 ~ 573

  29. [단행본] Kring, A. M / 2004 / The regulation of emotion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 359 ~ 385

  30. [학술지] Ann M. Kring / 1994 /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6 (5) : 934 ~ 949

  31. [학술지] Salovey, P. / 1990 / Emotional Intelligence / Imagination, Cognition, and personality 9 : 185 ~ 211

  32. [학술지] Lehman, R. L. / 1986 / Social support for the bereaved : Recipients`and providers` perspectives on what is helpful /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4 : 438 ~ 446

  33. [단행본] Salovey, P. / 1995 /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 25 ~ 154

  34. [학술지] Silk, J. S. L. / 2003 / Adolescent’s emotion regulation in daily life : Links to depressive symptoms and problem behavior / Child Development 74 (6) : 1869 ~ 1880

  35. [학술지] Swinkels, A. / 1995 /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on 21 : 934 ~ 9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