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48115.jpg
KCI등재 학술저널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giver Burden, Post-Traumatic Growth and Resilience among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 부담, 외상 후 성장 및 탄력성과의 관계

  • 227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양육 부담이 탄력성 척도(RSA)의 6가지 하위 차원별을 경로로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조사대상자는 경기도 지역의 만 6세 이상 20세 미만 발달장애 (지적, 자폐성 장애) 자녀를 둔 어머니 200명이며, SPSS macro program PROCESS v.2.16.3 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양육부담감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탄력성 전체 간접효과가 유의하였다. 둘째, 탄력성 척도의 6가지 차원별 분석 결과, 양육 부담이 자기인식, 미래인식, 사회적 자원을 경로로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인 어머니의 외상 후 성장을 위한 탄력성 증진의 방안으로, 어머니의 긍정적 개인적 인식과 개인적 자원향상을 위한 강점관점 기반의 심리상담, 통합사례관리서비스의 필요성을 제언하였으며, 멘토링, 자조모임 등 활성화를 통해 발달장애 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 강화 필요성을 주장하였다.

The present study aimed to test the effects of caregiver burden on post-traumatic growth (PTG) via paths consisting of sub-dimensions of resilience (RSA). Subjects were 200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tellectual disability or autism spectrum disorder) aged between six and 20 years who resided in Gyeonggi Provinc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he SPSS macro program PROCESS v.2.16.3. The study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indirect effect of resilience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giver burden and PTG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analysis conducted separately on sub-dimensions of resilience showed that caregiver burden influenced PTG via the paths of self-perception, perception of the future, and social resourc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e following was suggested to improve resilience in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promote PTG: a psychological counseling and integrated case management service based on the empowerment perspective for mothers to increase positive self-perception and personal resources, along with the reinforcement of social support systems for mothers through mentoring, self-reliance groups, and the like.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background

Ⅲ. Methods

Ⅳ. Results

Ⅴ. Discussion and Conclusion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