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개혁주의 세계관을 중심으로 한국교회 청소년사역에 도전이 되고 있는 학업을 이해하고, 그 이해를 기초로 하여 학업에 대한 기독교 교육의 실천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예정된 일로서의 학업은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된 인간의 일로서 하나님의 선한 목적을 가지고 있었지만 인간의 타락으로 학업의 목적, 방향 그리고 문화가 왜곡되었다. 예수 그리스도의 구속사역으로 지역교회 내 청소년의 학업은 소명자의 일로 회복되었다. 회복된 학업은 그리스도인의 존재와 행위를 포괄하는 삶의 방식 안에서 이해되어지며 소명자로서 삶을 통해 하나님의 일에 참여하게 된다. 지역교회 내 청소년은 소명자로서 학업을 통해 하나님의 일에 참여하기 위해 소명 정체성이 확립해야 하는 시기이다. 따라서 지역교회 내 청소년의 소명 정체성이 확립되기 위한 구체적이고 구조화된 기독교 교육의 2가지 과제 즉, 소명자의 삶의 목적과 방향 그리고 삶의 자세를 제시하였다. 첫 번째 과제는 ‘하나님 나라를 위한 비전 창문’모델을 통해 학업에 대한 소명의 목적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두 번째 과제는 학업에 대한 소명 정체성을 확립을 위해 청소년의 통합된 삶의 자세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소명이 진로나 직업선택에 초점을 둔 미래지향적인 개념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지적하였고 종교개혁자들에 의해 새롭게 정의된 ‘소명관’을 중심으로 ‘지금’ 그리고 ‘여기’의 ‘통합된 삶’으로 학업에 대한 소명 개념이 이해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학업에 대한 지역교회 내 청소년의 소명 정체성을 세우기 위해 그리스도의 몸의 일부로서의 청소년에 대한 회중의 역할을 강조하였다.

키워드

학업, 개혁주의 세계관, 기독교교육, 소명, 청소년 정체성, 통합된 삶, 하나님나라

참고문헌(34)open

  1. [학술지] 김남식 / 2005 / 일의 신학 / 상담과 선교 47 : 17 ~ 37

  2. [보고서] 김만형 / 2005 / 21세기를 위한 교회교육 전략: New SS혁신보고서

  3. [학술지] 김선권 / 2018 / 칼뱅의 소명론: 활동하는 하나님, 활동하는 인간 / 한국조직신학논총 (52) : 85 ~ 132

  4. [학술지] 박미라 / 2010 / 기독교교육현장에서 가정사역을 중심으로 한 청소년 수련회 요구분석 / 기독교교육 논총 (23) : 17 ~ 49

  5. [학술지] 박상진 / 2008 / 입시에 대한 기독교교육적 이해 / 기독교교육 논총 (18) : 99 ~ 129

  6. [학술지] 박현정 / 2018 / 기독교교육 요소를 적용한지역사회 청소년 진로지도의 실제: “천안삼거리 인문학교”를 중심으로 / 기독교교육정보 (58) : 255 ~ 286

  7. [학술지] 배무련 / 2015 / 기독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신앙성숙, 진로소명,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진로발달 간의 구조적 관계 / 기독교교육 논총 (42) : 331 ~ 358

  8. [단행본] 옥한흠 / 2009 / 평신도를 깨운다 / 국제제자훈련원

  9. [학술지] 우병훈 / 2018 / 루터의 소명론 및 직업윤리와 그 현대적 의의 / 한국개혁신학 57 : 72 ~ 132

  10. [학술지] 윤종훈 / 2017 / 청교도의 직업 소명론에 관한 고찰 / 한국개혁신학 56 : 147 ~ 181

  11. [학술지] 윤형 / 2012 / 노동의 기원 / Canon&Culture(캐논앤컬처) 6 (1) : 69 ~ 95

  12. [학술지] 이동찬 / 2018 / 대학선교를 위한 직업비전 중심의 기독교적 셀프리더십 / 선교와신학 (46) : 41 ~ 69

  13. [학술지] 이상훈 / 2014 / 청년 고(高)실업시대와 기독교 직업윤리 교육 / 기독교사회윤리 (29) : 377 ~ 413

  14. [학술지] 이영대 / 2009 / 직업세계의 변화와 진로교육 / 상담과지도 44 : 101 ~ 128

  15. [학술지] 이현철 / 2011 / 기독교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사회적 자본의 인과관계 분석 / 복음과 교육 9 : 121 ~ 142

  16. [학술지] 임헌만 / 2009 / 일차적 소명의 관점으로 보는 이차적 소명으로서의 직업과 기독교상담 / 복음과 상담 13 : 37 ~ 69

  17. [학술지] 정근하 / 2015 / 기도제목으로 본 고등부 학생들의 신앙실태 조사 - 광주 H교회 고등부 사례조사 - / 신학과 실천 (43) : 127 ~ 161

  18. [학술지] 하희승 / 2008 / 목회상담을 통한 청소년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 -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 사례를 중심으로 - / 복음과 상담 11 : 295 ~ 322

  19. [학술지] 함승수 / 2018 / 한국 입시 위주 교육에 대한 기독교적 성찰과 제언 / 기독교교육정보 (57) : 329 ~ 358

  20. [학술지] 현유광 / 2013 / 소명과 역할을 중심으로 본 목사직(牧師職)에 관한 연구 / 복음과 실천신학 28 : 35 ~ 64

  21. [단행본] Boa, Kenneth / 2002 / 기독교 영성, 그 열두 스펙트럼 / 디모데

  22. [단행본] DeVries, Mark / 2001 / 청소년사역 이젠 가정이다 / 성서유니온

  23. [단행본] Os, G. / 2000 / 소명 / IVP

  24. [단행본] Stevens, R. P. / 2018 / 일터신학 / IVP

  25. [학위논문] Jeon, B. / 2016 /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Stress Syndrome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 Challenge to the Youth Ministry

  26. [단행본] Nel, M. / 2018 / HTS Religion & Society Series Volume 1 / AOSIS

  27. [단행본] Stevens, P. R. / 2000 / The other six days: Vocation, work, and ministry in biblical perspective / Wm. B. Eerdmans Publishing

  28. [단행본] Van T. C. / 2008 / The defense of the faith / P & R Publishing

  29. [단행본] Vos, J. G. / 2002 / The westminster larger catechism: A commentary / P & R Publishing

  30. [단행본] Wolters, A. M. / 2005 / Creation regained: Biblical basics for a reformational worldview / Wm. B. Eerdmans Publishing

  31. [인터넷자료] 조선일보 / 2017년 청소년을 말하다

  32. [인터넷자료] 크리스천투데이 / 교회학교 학생들, 교회 안 나오는 ‘진짜’ 이유는?

  33. [인터넷자료] 헤럴드경제 / ‘학령인구 급감’ 고등교육 개혁한다… 혁신방안 상반기 발표

  34. [인터넷자료] 동아일보 / 청소년 사망원인 11년째 1위 ‘자살’… 학년 올라갈수록 우울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