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학문이론과 기독교교육학

Wissenschafttheoretische Methode und Christiche Religionspädagogik

기독교교육 논총
약어 : KSCRE
2009 no.20, pp.183 - 209
DOI : 10.17968/jcek.2009..20.006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연구분야 : 기독교신학
Copyright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189 회 열람

본 논문은 20세기의 학문이론과 기독교교육학을 반성적으로 살펴보고 오늘의 새로운 학문이론 방법과 기독교교육학의 방향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면서 동시에 기독교교육학이 독자성을 지니는 학문으로서 타 학문과 마찬가지로 학문이론 위에서 형성되어 왔음을 밝히려는 의도 하에 쓰여졌다. 지난 20세기는 4가지 학문이론이 시대에 따라서 형성 전개되어 왔으며, 신학이나 일반교육학과 마찬가지로 기독교교육학도 이 4가지 학문이론을 토대로 하여 형성, 전개되어 왔다. 그것은 규범적-연역적 방법, 정신과학적-해석학적 방법, 경험과학적 방법, 이데올로기-비판적 방법과 이 방법 들 위에서 형성된 성서중심의 기독교교육학, 해석학적 기독교교육학, 발달이론, 해방적 유형의 기독교교육학이다. 우리는 오늘의 기독교교육의 과제와 방향이라는 물음 앞에 서 있으며 동시에 이 방법들이 변화된 오늘의 현실에도 여전히 타당한가라는 물음 앞에 서게 된다. 이상의 학문이론 들과 기독교교육론은 이성을 그 지도이념으로 삼았던 지난 20세기의 학문방법들이다. 이성에 대한 비판과 함께 오늘날에는 새로운 학문적 패러다임이 등장하였다. 그것은 생태학적 방법이다. 생태학적 방법은 지난 20세기의 학문방법에 대한 비판으로부터 등장한 새로운 학문의 패러다임으로 그것은 생명과 유기체적 세계관이 그 핵심 개념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을 지닌 생태학적 방법은 성서적이며 기독교적이며, 그런 의미에서 기독교교육학이 생태학적 방법 위에서 새롭게 전개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 논문을 통한 필자의 주장이다.

Diese Arbeit hat zum Ziel, die Wissenschaftheorien und die christliche Religionspädagogik des 20. Jahrhunderts zur kritischen Reflexion zu ziehen, um eine zeitgemäße Wissenscafttheorie herauszufinden. Die Wissenscafttheorie im 20. Jahrhundert hat vier Methoden entwickelt. In denen die Religionspädagogik wie Theologie und allgemeine Pädagogik begründet ist: normativ-deduktive, geistwissenschaftlich-hermeneutische, erfahrungswissenschaftliche und ideologiekritische. Aus diesen methoden sind die bibelorientierte, hermeneutische, entwicklungstheoretische und emanzipatorische Religionspädagogik entstanden. Die gegenwärtige Aufforderung zur Gründung einer neuen Richtung der Religionspädagogik stellt uns vor die Frage, ob die bisherge Religionspädagogik methodisch noch gilt; denn die oben genannten Wissenschaftheoretischen werden von der Vernunft geleitet, deren herrschaftlicher Charakter vielfach kritisiert sind. Die Kritik der herrschaftlichen Vernunft hat aber heute den Weg zu einen neuen Wissenscafttheoretischen Ansatz eröffnet: die ökologishce Methode. Das zentrale Thema der Ökologie ist das Leben und der Organismus der Welt-Die Begriffe, die biblisch und christlich sind. Daraus stellt sich klarheraus, daß die ökologische Wissenscafttheorie der Grund zu der christlichen Religionspädagogik werden muß.

학문이론, 이성, 생태학적 방법, 유기체적 세계관
Wissenschafttheoretische Methode, Ökologisch Methode, Vernunft, organische Weltanschauung

  • 1. [단행본] 김항섭 / 2000 / 생태학의 도전과 그리스도교 / 일과 놀이
  • 2. [단행본] 은준관 / 1983 / 교육신학 / 기독교서회
  • 3. [단행본] 이준모 / 2000 / 생태적 인간 / 다산글방
  • 4. [단행본] 이향명 / 2001 / 상황중심의 기독교교육 / 한신대학교출판부
  • 5. [학술지] 이향명 / 2003 / 1970년대 민주화 운동에 참여한 한국교회의 기독교교육학적 전거 / 말씀과 교회 / 34 : 229 ~
  • 6. [단행본] Bleicher, Josef / 1980 / Contemporary hermeneutics as method, philosophy and critique / Routledge & Kegan Paul
  • 7. [단행본] Bultmann, Rudolf / 1952 / Das Problem der Hermeneutik in : Glauben und Verstehen, Bd 2
  • 8. [단행본] Capra, Fritjof / 1993 / 새로운 과학과 문명의 전환 / 범양사
  • 9. [단행본] Dewey, John / 1988 / 학교와 사회 / 박영사
  • 10. [단행본] Groom, Thomas H. / 1980 / 기독교적 종교교육 / 한국장로교출판사
  • 11. [단행본] Habermas, Jürgen / 1969 / “Erkenntnis und Interesse” : Technik und Wissenschaft als ‘Ideologie’
  • 12. [단행본] Horkheimer, Martin / 1937 / Gesammelte Schriften Bd.4: Schriften 1937
  • 13. [단행본] Seymour, Jack L. / 1982 / Contemporary Approaches Christian Education
  • 14. [단행본] Stallmann, Martin / 1958 / Christentum und Schule
  • 15. [단행본] Henningsen, Jürgen / 1980 / Sprachen und Singale der Erziehungswissenschaft
  • 16. [단행본] Wulf, Ch / 1983 / Theorien und Konzepte der Erziehungswissenscha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