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북한의 기후변화 교육: 기후변화 교육의 남북 협력을 위한 탐색적 연구

Climate Change Education in North Korea:An Exploratory Study on Inter-Korean Cooperation in Climate Change Education

환경교육
약어 : -
2019 vol.32, no.1, pp.1 - 16
DOI : 10.17965/kjee.2019.32.1.1
발행기관 : 한국환경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환경교육학회
91 회 열람

북한의 기후변화 대응은 남북 모두가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협력해야 하는 과제다. 기후변화에 대한 북한 주민들의 인지적, 실천적 역량을 높이는 남북 교육 협력은 보다 심도 있게 논의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북한 주민들이 어떠한 기후변화 교육을 경험하고, 어떻게 기후변화를 이해하고 있는가를 질문함으로써, 북한 주민의 역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남북 교육 협력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북한 교과서 분석과 북한이탈청년과의 면접을 통해 북한의 기후변화 교육을 살펴본 결과, 북한에서는 중학교 이전 시기에 기후변화 교육 기회가 거의 없었고, 기후변화 대응 방안이 강조되는 한편, 기후변화의 원인이나 영향은 깊이 있게 다루어지지 않았다. 기후변화의 과학기술적 접근이 강조됨에 따라 북한 기후변화 교육에서 기후변화에 대한 사회적 접근은 부족한 편이다. 북한의 대표적인 기후변화 대응 실천인 산림녹화와 대체 에너지 이용은 애국 담론, 국가 발전 담론 속에서 독려된 측면이 있었으며,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한 기후변화 적응 관점은 잘 다루어지지 않았다. 이 연구는 남북 협력을 통한 북한 기후변화 대응이 북한 주민의 역량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교육 협력과 함께 추진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Both South and North Korea should continue to pay attention to and cooperate with the task regarding North Korea’s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inter-Korean educational cooperation should be deemed more importantly to increase the cognitive and practical competency of North Koreans on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By exploring what kind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North Koreans participate in and how they understand it, this study seeks to provide a basis for inter-Korean educational cooperation that would contribute to capacity building of North Koreans. Through content analysis of textbooks of North Korea and interviews with North Korean youth refugees,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few opportunities for climate change education before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While measure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were emphasized, the reasons for or effects of climate change were not addressed in dept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approaches to climate change were emphasized. Forest greening and use of alternative energy, which are North Korea’s responding practices for climate change, were encouraged through discourses on patriotism and national development. The view of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to enhance resilience was not well addressed in climate change education in North Korea.

기후변화 교육, 북한, 남북협력, 교과서 분석, 초점집단면접
climate change education, North Korea, Inter-Korean cooperation, textbook analysis, focus group interview

  • 1. [보고서] 곽대종 / 2018 / 북한 에너지․전력 현황과 남북 태양광 분야 협력 방향 : 18 ~
  • 2. [단행본] 박홍준 / 2005 / <지리> 중학교 제1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3. [단행본] 명응범 / 2005 / <지리> 중학교 제3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4. [단행본] 문영빈 / 2005 / <지리> 중학교 제5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5. [단행본] 리성화 / 2013 / <자연과학> 초급중학교 제1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6. [단행본] 최현수 / 2013 / <지리> 고급중학교 제1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7. [단행본] 김창화 / 2014 / <자연과학> 초급중학교 제2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8. [단행본] 림일 / 2014 / <조선지리> 초급중학교제2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9. [단행본] 지국철 / 2014 / <지리> 고급중학교 제2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10. [단행본] 승금철 / 2015 / <지리> 고급중학교 제3학년용 / 교육도서출판사
  • 11. [기타] 교육위원회 / 2013 / 제1차 전반적 12년제 의무교육강령(소학교) / 교육위원회
  • 12. [학술지] 권주연 / 2009 / 기후 변화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 환경교육 / 22 (1) : 68 ~ 1 kci
  • 13. [기타] 기상청 / 2012 / 한반도 기후변화 전망 보고서 / 기상청 기후과학국 한반도기상기후팀
  • 14. [보고서] 기상청 / 2014 /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 15. [학술지] 김미란 / 2014 / 환경 교과서의 기후변화교육 내용 체계 및 내용 요소 재구조화 / 환경교육 / 27 (2) : 150 ~ 2 kci
  • 16. [학술지] 김찬국 / 2010 /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의 방향에 관한 고찰 / 환경교육 / 23 (1) : 1 ~ 1 kci
  • 17. [보고서] 남영숙 / 2002 / 남북한 환경교육 비교분석 연구
  • 18. [기타] 로동신문 / 2011 / 평화적 핵 에네르기 개발과 리용을 위하여
  • 19. [기타] 로동신문 / 2015 / 산림 복구는 부강 조국건설의 절박한 요구
  • 20. [보고서] 명수정 / 2013 / 한반도 기후변화대응을 위한 남북협력 기반 구축 연구 Ⅲ
  • 21. [기타] 민주조선 / 2009 / 강성 대국 건설의 요구에 맞게 온 나라의 수림화, 원림화를 더욱힘있게: 산림은 부강 번영의 귀중한 밑천
  • 22. [기타] 민주조선 / 2012 / 9월 중 지자기 현상
  • 23. [기타] 민주조선 / 2013 / 핵 에네르기에 의한 전력 생산의 세계적 추세
  • 24. [기타] 민주조선 / 2013 / 재생 에네르기법에 대하여
  • 25. [학술지] 박소영 / 2008 / 북한의 산림관리조직 및 산림관리의 특징 / 북한학연구 / 4 (2) : 75 ~ 2
  • 26. [학술지] 박종근 / 2010 / 중등학생들의 기후 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 자료 개발 및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 학교교육연구 / 5 (2) : 221 ~ 2
  • 27. [학술지] 송민경 / 2017 / 북한의 산림부문 기후변화 대응 동향 및 시사점 / 국제산림정책토픽 / 50 : 1 ~
  • 28. [학술지] 우정애 / 2012 / 기후변화 교육 방안 개발: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적용가능한 방안을 중심으로 / 환경교육 / 25 (1) : 117 ~ 1 kci
  • 29. [학술지] 윤순진 / 2009 / 녹색 성장의 문제점과 거꾸로 가는 에너지 정책 / 환경과 생명 : 17 ~
  • 30. [학술지] 윤순진 / 2010 / 남북 재생가능에너지 협력의 필요성과 장애요인 / 환경논총 / 49 : 63 ~
  • 31. [학위논문] 이수미 / 2006 / 남·북한 교육과정 및 중등 교과서의 환경교육 내용 비교·분석
  • 32. [학위논문] 이원덕 / 2004 / 북한 고등중학교 교과서의 환경교육 관련 내용분석
  • 33. [학술지] 이유진 / 2007 / 남북한 기후변화 대응 협력방안모색 / 경기논단 / 9 (4) : 73 ~ 4
  • 34. [학술대회] 이종찬 / 2015 / 북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협력 모델 제안 / 한국환경정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 35. [학술지] 이지숙 / 2011 / 초∙중학생의 지구온난화와 기후변화에 대한 인식 / 과학교육연구지 / 35 (2) : 274 ~ 2 kci
  • 36. [학술대회] 조정아 / 2014 / 북한의 새로운 세대와 교육: 김정은 시대 북한 교육정책 방향과 중등교육과정 개편 / 세계북한학 학술대회 자료집
  • 37. [학술지] 조정아 / 2017 / 북한 주민의 여가생활 / KDI북한경제리뷰 / 8 : 3 ~
  • 38. [단행본] 통일부 / 2017 / 북한 이해 / 통일교육원
  • 39. [보고서] 홍종호 / 2018 / 북한 기후변화 적응 담론과 기후변화 교육 실태
  • 40. [기타] 환경부 / 2016 / 교토의정서 이후 신 기후체제 파리협정 길라잡이 / 환경부 대변인실
  • 41. [학술지] Anderson, A. / 2012 / Climate Change Education for Mitigation and Adaptation / Journal of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6 (2) : 191 ~ 2
  • 42. [학술지] Freelon, D. / 2010 / ReCal : Intercoder Reliability Calculation as a Web Service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Science / 5 (1) : 20 ~ 1
  • 43. [단행본] IEA. / 2016 / CO2 Emissions from Fuel Combustion / International Energy Agency Publications
  • 44. [학술지] Ryan, G. W. / 2003 / Techniques to Identify Themes / Field Methods / 15 (1) : 85 ~ 1
  • 45. [기타] US GCRP. / 2009 / Climate Literacy: The Essential Principles of Climate Sciences / US Global Change Research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