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한문과 문화’ 영역 성취 기준은 ‘한문 기록에 담긴 우리의 전통문화를 바르게 이해하고, 미래 지향적인 새로운 문화 창조의 원동력으로 삼으려는 태도를 형성한다.’, ‘한자문화권의 문화에 대한 기초적 지식을 통해 상호 이해와 교류를 증진시키려는 태도를 형성한다.’이다. ‘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 방법은 이러한 성취기준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이 되어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진술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하여 구체적이고, 실제 학교 현장에서 활용이 가능한 활동으로 제시되었다. 그리고 ‘② 유의 사항’을 통하여 교수․학습 방법과 유의 사항, 기대 효과까지 진술하고 있다. 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 내용은 우리나라에서 전해 내려오는 고유문화와 한자를 매개로 한 여러 국가들과의 공통되거나 차이가 있는 문화를 내용으로 한다. 한문과에서 텍스트로 삼는 대부분의 내용이 전통문화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한문과 문화’라는 영역이 독립적으로 설정되어 있지만, 실제 수업 현장에서는 ‘한문의 독해’와 ‘한문과 문화’의 성취 기준이 함께 달성되고 있다. 한자문화권에 대한 교수․학습은 같은 문화 지역의 구성원으로서 서로를 이해하고 함께 살아가기 위한 기초 지식 확보를 목표로 하여야 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교수․학습 방법은 ‘전통 문화의 계승과 발전’과 관련하여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기,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 문화유산 답사하기가 제시되었고, ‘한자문화권의 상호 이해와 교류’와 관련하여 토의․토론을 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 한자문화권 언어․문화사전 만들기,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아보기가 제시되었다. ‘토의․토론을 통한 전통문화 이해하기’는 ‘토의․토론을 위한 주제 제시 →주제 설명 및 사전 자료 수집 방법 제시→모둠 구성→모둠별 토의․토론을 위한 사전 자료 수집→모둠별 토의․토론 및 내용 정리→모둠별 발표 및 의견 교환’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전통문화 그림으로 표현하기’는 ‘전통문화 관련 내용 학습→그림으로 표현하기→전시 및 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문화유산 답사하기’는 ‘지역 문화유산 조사→답사 계획서 작성→답사 자료 수집→답사 실시→답사 보고서 작성 및 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토의․토론을 통한 한자문화권 이해하기’는 ‘토의․토론을 위한 주제 제시→주제 설명 및 사전 자료 수집 방법 제시→모둠 구성→모둠별 토의․토론을 위한 사전 자료 수집→모둠별 토의․토론 및 내용 정리→모둠별 발표 및 의견 교환’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 언어․문화사전 만들기’는 ‘한자문화권의 개념 파악→한자문화권의 언어․문화 조사→언어․문화의 공통점과 차이점 정리→언어․문화사전 만들기’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자문화권의 상호 교류 사례 찾아보기’는 ‘한자문화권 국가 파악→교류 사례 찾기→발표’의 방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수 있다. ‘한문과 문화’ 영역의 교수․학습은 한문 텍스트를 기반으로 함으로써 타 교과와 차별성을 확보해야 한다. 한문교육용 기초 한자 범위 내에서 문화 관련 텍스트를 찾아 교과서에 싣는다면 한문과 문화 영역 교수․학습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다.

키워드

한문교육,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 한문과 문화, 전통문화, 한자문화권

참고문헌(18)open

  1. [기타] 교육과학기술부 / 2011 /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2011-361호[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 교육과학기술부

  2. [기타]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2007-79호[별책17] 한문, 교양 선택 과목 교육과정 / 교육인적자원부

  3. [기타] 교육부 / 2015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7], 한문과 교육과정 / 교육부

  4. [기타] 교육부 / 2015 /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23], 외국어 계열 전문 교과 교육과정 / 교육부

  5. [보고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 2015 /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Ⅱ 한문과 교육과정

  6. [단행본] Patrick R. Moran / 2004 / 문화교육 / 경문사

  7. [단행본] 김문환 / 1999 / 문화교육론 / 서울대학교 출판부

  8. [단행본] 박흥수 / 2014 / 고등학교 중국 문화 / 충청남도교육청

  9. [단행본] 이동재 / 2013 / 중학교 한문 / 비상교육

  10. [단행본] 정민 / 2004 / 살아있는 한자교과서1 / 휴머니스트

  11. [보고서] 최영성 / 2009 / 전통문화교육의 이론적 기초

  12. [학위논문] 권태주 / 2012 / 전주시 지역문화를 활용한 한문과 수업자료 개발

  13. [학술지] 김왕규 / 2012 / ‘文化’ 영역 成就基準 및 成就水準 내용 분석 / 漢字漢文敎育 1 (29) : 291 ~ 319

  14. [학위논문] 김혜민 / 2010 / 진해시 지역문화를 활용한 한문과 수업자료 개발

  15. [학위논문] 배희정 / 2015 / 한문과 ‘문화’ 영역 교육 현황과 방향

  16. [학위논문] 손진희 / 2011 / 지역문화를 활용한 한문과 수업자료 개발 : 영일만을 중심으로

  17. [학술지] 송병렬 / 2007 / 2007년 개정 敎育課程에 따른 漢文 敎科의 文化 敎育 可能性 / 漢文敎育硏究 29 (1) : 49 ~ 75

  18. [학위논문] 이기영 / 2010 / 남양주시 지역문화를 활용한 한문과 수업자료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