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한국어의 대부분은 漢字語이므로 語彙力을 향상시키려면 漢字를 알아야만 하고, 그러려면 한자와 한자어 교육은 반드시 필요하다. 아울러 漢文 교육을 통해 讀解力을 길러 우리의 傳統文化를 繼承하고 발전시켜 나아가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言語 精神과 言語 機能을 모두 중시여기는 분위기를 조성해 國語科와 漢文科가 相互補完함으로써 共存해 나아가야 할 方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한 방안으로 첫째, 漢字가 國字임을 분명히 하는 語文敎育의 政策的 轉換을 통해 21세기 漢字文化圈의 동반자로서의 역할은 물론 한국어의 세계화를 이루어 國家競爭力을 강화해야 한다. 둘째, 敎育課程 次元에서 초등학교부터 한자․한문 교육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中等學校에서 한문 과목이 필수과목으로 지정되거나 국어과와의 통합으로 교육과정 안에 한자 및 한자어에 관한 항목을 명시해야 하며, ‘古典과 漢文’ 과목을 설정해 한문 독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어야 한다. 셋째, 言語 敎授 차원에서 한자, 한자어, 한문 교육을 하는 데 있어서 국어과의 道具性과 한문과의 正體性의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국어과와 한문과의 연대와 공존으로 그 位相을 세워야 한다.

키워드

한자어, 독해력, 언어 정신, 언어 기능, 한자문화권, 연대와 공존

참고문헌(47)open

  1.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05 / 국민의 언어 의식 조사 / 국립국어연구원

  2. [단행본] 국립국어원 / 2010 / 국민의 언어의식 조사 / 국립국어원

  3. [단행본] 김진숙 / 2009 / 初等學校의 바람직한 漢字 敎育 방안 연구 / 한국교육과정평가원

  4. [단행본] 김진우 / 2014 / 이해교육의 확장과 통합 / 한국국어교육

  5. [학술대회] 학회 / 2014 / 추계학술대회발표논문 11 (23)

  6. [학술지] 김왕규 / 2007 / 2007년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그 위상(位相) / 청람어문교육 (36) : 1 ~ 26

  7. [학술지] 김왕규 / 2004 / 한문교육과정 개정?변천의 양상과 한문과의 위상-편제와 시간(단위) 배당 기준을 중심으로 / 漢文敎育硏究 22 (1) : 125 ~ 150

  8. [학술지] 김왕규 / 2014 / 漢字 語彙 意味 把握 經路 / 漢字漢文敎育 1 (35) : 241 ~ 265

  9. [학술지] 김왕규 / 2009 / 중학교 재량활동 선택 과목 ‘한문’ 이수 실태와 고등학교 학생들의 한문 학력차 검사 / 漢文敎育硏究 (32) : 271 ~ 338

  10. [학술지] 南廣祐 / 1982 / 國語國字論集 / 일조각

  11. [학술지] 류준경 / 2014 / 漢文敎育의 性格과 方向 / 漢文古典硏究 28 (1) : 341 ~ 373

  12. [학술지] 閔賢植 / 2002 / 漢字 論爭의 社會 政治 文化的 意味와 語文政策 / 亞細亞硏究 110 : 9 ~ 59

  13. [학술지] 閔賢植 / 2004 / 初等學校 敎科書 漢字語 및 漢字 分析 硏究 / 漢字漢文敎育 13 : 185 ~ 230

  14. [단행본] 閔賢植 / 2004 / 中學校 敎科書 漢字語와 漢字 分析 硏究 / 國立國語硏究院

  15. [학술지] 민현식 / 2009 / 國語敎育 政策 改善을 통한 漢字語 敎育 强化 方案 / 어문연구(語文硏究) 37 (4) : 439 ~ 463

  16. [학술지] 閔賢植 / 2012 / 국어과에서 한자교육 위상의 재정립 문제 / 선청어문 40 : 155 ~ 207

  17. [단행본] 朴德裕 / 2012 / 학교문법론의 이해 / 역락

  18. [기타] 朴德裕 / 2006 / 영어 배우느라 한글 잊었나? / 동아일보

  19. [기타] 朴德裕 / 2007 / 한국어가 소멸된다고? / 프레시안

  20. [학술지] 朴德裕 / 2009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한자어 교육의 필요성 / 國漢混用의 國語生活

  21. [학술지] 박덕유 / 2009 / 외국인 학습자를 위한 어휘력 신장 연구(I) - 한국어 漢字 및 漢字語를 중심으로 - / 언어와 문화 5 (1) : 85 ~ 103

  22. [단행본] 朴德裕 / 2010 / 중세 국어문법의 이론과 실제 / 박문사

  23. [학술지] 朴德裕 / 2014 / 우리말 다듬기와 21세기 언어문화개선 운동」, 언어생태학적 관점에서 바라본 언어문화개선 운동 / 국립국어원 : 93 ~ 118

  24. [학술지] 方仁泰 / 1997 / 初等漢字敎育論 / 韓國初等敎育 9 (1) : 89 ~ 108

  25. [학술지] 方仁泰 / 1998 / 한자교육에 대한 초등교사의 의식 조사 / 漢字漢文敎育 4 : 153 ~ 163

  26. [학술지] 백광호 / 2007 / 思考口述을 통한 漢文科 讀解 樣相 硏究 / 漢字漢文敎育 1 (18) : 391 ~ 432

  27. [학술지] 송병렬 / 2003 / 韓國의 漢文科 敎育課程 問題와 解決의 方向 / 漢文敎育硏究 21 : 267 ~ 292

  28. [학술지] 송병렬 / 2010 / 初等學校 漢字 敎育 方向 定立과 實行 方案 / 漢字漢文敎育 1 (25) : 7 ~ 29

  29. [학술지] 송병렬 / 2011 / 漢字文化圈의 再形成과 韓國의 漢字·漢文敎育의 現況 / 漢字漢文敎育 1 (26) : 9 ~ 43

  30. [학술지] 윤재민 / 2007 / 2007년 개정 漢文科 敎育課程의 구체적 내용 분석 / 漢文敎育硏究 29 (1) : 7 ~ 47

  31. [학술지] 윤재민 / 2009 / 韓國 初ㆍ中ㆍ高等學校의 漢字ㆍ漢文 敎育 現況 / 漢文敎育硏究 33 (33) : 51 ~ 74

  32. [학술지] 윤재민 / 2011 / 韓國의 漢文科 敎育課程 / 漢字漢文敎育 1 (26) : 219 ~ 260

  33. [학술지] 尹義淳 / 1988 / 光復 40년의 漢字․漢文 敎育 槪觀 / 선청어문 16 : 114 ~ 126

  34. [학위논문] 원용석 / 2007 / 한문과 교육과정 변천과 내용 체계 연구

  35. [학술지] 李炳銑 / 2002 / 漢字語 使用量의 감소와 思考力의 감퇴 / 어문연구(語文硏究) 30 (2) : 327 ~ 342

  36. [학술지] 이상봉 / 2013 / 국어과에서 한문과 분리의 의미 -국어과 교육과정의 변화를 중심으로 / 漢字漢文敎育 1 (32) : 267 ~ 305

  37. [단행본] 이희수 / 2001 / 韓國 成人의 文解 實態 및 OECD 國際 比較 調査 硏究 / 韓國敎育開發院

  38. [단행본] 李漢東 / 2012 / 國語 槪念의 定立과 국어기본법의 違憲性 / 語文政策正常化推進會

  39. [학술지] 정달영 / 2004 / 한문교육과 국어교육의 관계 확립에 관한 연구 / 국어교육 (114) : 81 ~ 108

  40. [학술지] 진재교 / 2003 / 고전문학에서의 한문교육 --고등학교를 중심으로- / 국어교육 (111) : 16 ~ 450

  41. [학술지] 진재교 / 2004 / 제7차 교육과정 한문과의 성격, 목표에 대한 단상 / 漢文敎育硏究 22 (1) : 13 ~ 38

  42. [학술지] 진재교 / 2006 / 국어기본법과 한문교육의 방향-언어 내셔널리즘을 넘어- / 漢文敎育硏究 27 (1) : 361 ~ 396

  43. [학술지] 진철용 / 2007 / 初等學校 漢字 指導 段階와 方法 / 漢字漢文敎育 1 (18) : 159 ~ 190

  44. [학술지] 陳哲鏞 / 2009 / 初等學校 漢字敎育의 現況과 展望 / 한글+漢字

  45. [학술지] 陳泰夏 / 1999 / 漢字敎育과 국어생활의 正常化 / 새국어교육 58 : 1 ~ 6

  46. [학술지] 허철 / 2007 / 漢文敎科敎育學의 정의와 그 영역 분류 / 동방한문학 39 (32) : 367 ~ 399

  47. [학술지] 허철 / 2011 / 漢字文化圈의 變化와 漢字․漢文敎育의 새로운 방향 모색 / 漢字漢文敎育 1 (26) : 77 ~ 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