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조선 말기에 등장한 동학과 일제 강점기에 강증산으로부터 비롯된 증산도는 근대 한국의 자생적 신종교로서, 전통적인 ‘선도仙道’와 ‘신교神敎’를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재구성함으로써 동아시아 신선사상을 새롭게 재전유하였다. 양자는 모두 호흡이나 명상을 중심으로 하는 우도右道적 수행의 ‘수련修鍊’보다는 주송呪誦을 통해 신과 소통하는 좌도左道적 수행의 ‘통신通神’을 추구하였으며, 대중적 관심사인 수명이나 복록의 성취를 위한 조화造化의 도술道術 혹은 법술法術을 통해 혁세革世적 세계관을 구현하는 대안종교적 양상을 드러내었다. 이 글에서는 이 종교들이 서발턴(subaltern)의 고통과 원한을 해소하는 공통적 양상을 모색하는 한편, 선도와 신교를 유기적으로 결합하는 ‘통신’의 측면에서 동학과 증산도의 차이점을 검토하고, 조화의 도술이 어떻게 동학의 ‘지상신선地上神仙’과 증산도의 ‘조화선경造化仙境’의 차이점을 만드는지를 비교해 보았다.

키워드

신선사상, 동학, 증산도, 신교, 선도, 도술

참고문헌(41)open

  1. [기타] / 高宗實錄

  2. [기타] / 東經大全

  3. [기타] / 大先生主文集

  4. [기타] / 備邊司謄錄

  5. [기타] / 承政院日記

  6. [기타] / 龍潭有事

  7. [기타] / 龍湖閒錄

  8. [기타] / 甑山道 道典

  9. [기타] / 三國志演義

  10. [기타] / 莊子

  11. [기타] / 抱朴子

  12. [기타] / 明心寶鑑

  13. [단행본] 甑山道 / 2003 / 道典 / 대원출판사

  14. [기타] / 1986 / 고문서집성 3―해남윤씨편 정서본―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 [단행본] 성해영 / 2017 / 수운(水雲)최제우의 종교 체험과 신비주의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16. [단행본] 양윤석 / 2013 / 용담유사 / 모시는사람들

  17. [단행본] 윤석산 / 1994 / 주해 동경대전 / 모시는사람들

  18. [단행본] 李遠國 / 2006 / 내단: 심신수련의 역사, 전2권 / 성균관대 출판부

  19. [단행본] 奧崎裕司 / 1983 / 道敎の展開 / 平河出版社

  20. [단행본] 강돈구 / 1997 / 현대 한국종교의 역사 이해 /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1. [학술지] 김낙필 / 2005 / 내단사상(內丹思想)과 원불교 단전주선법(丹田住禪法)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0

  22. [학술지] 김성장 / 2011 / 원불교 丹田住禪의 실제와 無時禪의 관계 / 仙道文化 10 : 349 ~ 384

  23. [학술지] 김수인 / 2009 / 송정산(宋鼎山)의 『수심정경(修心正經)』에 나타난 내단적(內丹的) 수행이론 - 제3장 명연기방법을 중심으로 -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42) : 69 ~ 100

  24. [학술지] 김종서 / 2009 / 동서 종교간 충돌과 현대 한국의 역동적 신앙 / 종교와 문화 (16) : 21 ~ 38

  25. [학술지] 김태곤 / 1988 / 韓國民俗과 道敎 / 도교문화연구 2

  26. [학술지] 박병수 / 1997 / 宋鼎山의 修心正經 연구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21

  27. [학술지] 박종천 / 2016 / 임진왜란시 도교 술법(術法)의 수용 양상 - 정탁의 <<약포선조유묵>>을 중심으로 / 종교와 문화 (31) : 81 ~ 122

  28. [학술지] 박종천 / 2018 / 한국의 뇌신(雷神) 신앙과 술법의 역사적 양상과 민족종교적 의미 / 대순사상논총 31 : 49 ~ 92

  29. [학술지] 박종천 / 2019 / 가족종교의 관점에서 보는 한국종교문화 / 민족문화연구 (85) : 219 ~ 248

  30. [학술지] 박종천 / 2020 / 풍류(風流)로 보는 한국종교의 에토스 / 민족문화연구 (88) : 79 ~ 116

  31. [학술지] 박종천 / 2021 / ‘서발턴(subaltern)’의 관점에서 본 한국의 자생 신종교 사상: 수운, 증산, 소태산의 비교를 중심으로 / 대순사상논총 37 : 141 ~ 190

  32. [학위논문] 백정기 / 2016 / 大倧敎 修行에 關한 硏究

  33. [단행본] 서대원 / 2021 / 증산도문화사상연구1: 삼신⋅선仙⋅후천개벽 / 상생출판

  34. [학술지] 안동준 / 2002 / 수심정경의 도교적 연원 / 원불교학 8

  35. [단행본] 안동준 / 2021 / 증산도문화사상연구1: 삼신⋅선仙⋅후천개벽 / 상생출판

  36. [학위논문] 우대석 / 2016 / 韓國仙道 수행 전통에서 바라본 대종교의 선도수행론

  37. [학술지] 원영진 / 2006 / 대종교의 수행 / 신종교연구 14

  38. [학술지] 이봉호 / 2014 / 노자사상과 초기 도교의 민중성 / 동양철학 (41) : 263 ~ 286

  39. [학술지] 이정재 / 2017 / 불법연구회 구인기도 기도문 연구 - 『옥추경(玉樞經)』과 비교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73) : 7 ~ 43

  40. [학술지] 이정재 / 2018 / 불법연구회 단기도의 "옥추경" 기도문 자료와 그 분석 / 신종교연구 39 (39) : 109 ~ 138

  41. [학술지] 이정재 / 2019 / 전통적 독경방식에 따른 불법연구회의 「‘ 옥추경」 기도’ 연구 - 이경순 필사본「 보경」을 중심으로-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80) : 139 ~ 1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