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조지훈의 시 세계를 선행 연구들이 주로 제시한 시각성의 미학을 보완하기 위해 청각성의 미학과 존재성의 미학이라는 두 가지 층위에서 고찰하고, 이 둘이 결합되면서 상호 조응하는 양상을 통해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에 근접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조지훈 시의 청각성의 미학으로서 ‘소리의 배음(背音)’과 ‘적막의 여운’을 추출하고 존재성의 미학으로서 ‘밤의 아우라’와 ‘승화의 거점’을 추출한 후, 이 두 가지 미학이 결합되면서 상호 조응하는 양상을 통해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을 규명하려 한다. 이 글은 조지훈의 시에서 색채⋅형태⋅풍경⋅율동 등의 묘사에 근거하는 시각성의 미학을 표면적 미학으로 인정하면서도, 이것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그것과 혼융되는 청각성의 미학을 ‘소리’가 ‘적막’과 결부되는 양상으로 해명하고, ‘밤’의 상징이 보다 심층적인 영역에서 시각적 이미지 및 청각적 이미지의 묘사뿐만 아니라 ‘세속적 욕망의 승화와 초월’을 가능케 하는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이자 미학적 거점이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존재성의 미학을 해명한다. 조지훈의 시에서 청각성의 미학은 ‘소리의 배음’과 ‘적막의 여운’을 중심으로 표면적 미학인 시각성의 미학을 생성시키는 동시에 그것과 혼융되면서 전통에 대한 애착과 애수, 무한의 세계에 대한 염원과 회한 등을 형상화한다. 그리고 존재성의 미학은 ‘승화의 거점’인 ‘밤의 아우라’를 중심으로 무한의 세계를 추구하는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을 형상화한다. 이 두 가지 심층적 미학 즉 ‘적막 속 소리’와 ‘밤을 통한 승화’가 결합되어 상호 조응함으로써 조지훈 시의 미학적 원천을 이룬다. 「고풍의상」⋅「승무」⋅「낙화」 등의 시는 표면적 미학인 외관과 율동에 대한 시각적 묘사뿐만 아니라 그것을 배후에서 생성시키는 청각성의 미학인 ‘소리의 배음’과 ‘적막의 여운’을 형상화하고, 여기에 시적 주체의 존재론적 상황이자 ‘승화의 거점’인 ‘밤의 아우라’까지 형상화한다는 점에서, 조지훈 시의 세 가지 미학이 종합된 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키워드

미학적 원천, 청각성의 미학, 존재성의 미학, 소리의 배음, 적막의 여운, 밤의 아우라, 승화의 거점, 상호 조응, 조지훈의 시.

참고문헌(26)open

  1. [단행본] 조지훈 / 1996 / 조지훈 전집 1―시 / 나남출판

  2. [학위논문] 金麒仲 / 1991 / 靑鹿派詩의 對比硏究

  3. [단행본] 김동리 / 1952 / 문학과 인간

  4. [학술지] 김문주 / 2007 / 조지훈의 ‘서경시’에 함축된 시적 전통의 성격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11 (2) : 9 ~ 29

  5. [학술지] 김명인 / 1986 / 지훈시의 초기시고(考) / 경기어문학 7 : 203 ~ 229

  6. [단행본] 김윤식 / 1974 / 한국현대작가논고 / 일지사

  7. [단행본] 김윤식 / 1978 / 조지훈연구 / 고려대 출판부

  8. [단행본] 김인환 / 2003 / 다른 미래를 위하여 / 문학과지성사

  9. [단행본] 김재홍 / 1986 / 한국현대시인연구 / 일지사

  10. [단행본] 김종길 / 1978 / 조지훈연구 / 고려대 출판부

  11. [단행본] 김흥규 / 1983 / 한국현대시사연구 / 일지사

  12. [학술지] 박남희 / 2007 / 조지훈 시의 유기체적 상상력 연구 / 한국문예비평연구 (24) : 5 ~ 28

  13. [학위논문] 朴好泳 / 1988 / 趙芝薰 文學硏究

  14. [학위논문] 徐益煥 / 1989 / 趙芝薰 詩 硏究

  15. [단행본] 서준섭 / 1983 / 한국대표시평설 / 문학세계사

  16. [학술지] 송기한 / 2008 / 조지훈 시의 유랑 의식 연구 / 한중인문학연구 (23) : 19 ~ 39

  17. [단행본] 송재영 / 1978 / 조지훈연구 / 고려대 출판부

  18. [학술지] 오세영 / 1989 / 지훈시의 문학사적 위치 / 민족문화연구 (22) : 23 ~ 54

  19. [단행본] 오탁번 / 1976 / 현대문학산고 / 고려대 출판부

  20. [학술지] 오형엽 / 2009 / 조지훈 시의 청각적 이미지와 시의식 / 한국언어문화 (40) : 127 ~ 158

  21. [학술지] 오형엽 / 2009 / 매체와 시적 시선―1960년대 시의 문화 인식 / 서정시학 (봄) : 29 ~ 50

  22. [단행본] 이숭원 / 1997 / 20세기 한국시인론 / 국학자료원

  23. [단행본] 정한모 / 1978 / 조지훈연구 / 고려대 출판부

  24. [학술지] 조창환 / 2008 / 조지훈 초기시의 운율과 구조 / 한국문예비평연구 (25) : 5 ~ 28

  25. [단행본] 최동호 / 1991 / 평정의 시학을 위하여 / 민음사

  26. [학위논문] 崔承浩 / 1994 / 1930년대 후반기 시의 전통지향적 미의식 연구 : 문장파 자연시를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