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文藝映畵’의 함의

The Implications of Literary Film

영화연구
약어 : -
2010 no.44, pp.117 - 157
DOI : 10.17947/kfa..44.201006.005
발행기관 : 한국영화학회
연구분야 : 영화
Copyright © 한국영화학회
102 회 열람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the examples of "literary film" in journalism around daily newspapers and to explore its implications and contexts. It was an effort to critically accept the previous studies on "literary film" that were conducted sporadically according to the periods and works and the research findings about literature and film and, at the same time, to review the contexts diachronically. Its ultimate goal was to investigate the topography and changes of modern Korean culture through the relationships between literature and film. The process of the term "literary film" emerging, prospering, and falling is the process of film dreaming of joining the status of art and then realizing that it is "popular art" different from literature. In the process, "literary film" went through an array of meanings including "film based on literary works," "quality film of broad significance," "film of scale and spectacle," "film that has a different form from literature and the same artistry as literature," "artistic film close to the level of western film," "artistic film based on modern short stories," and "film to stir the public's nostalgia through local esthetics." In the end, it ended up being trapped in "policy meanings" and deteriorated, being distant from both artistry and popularity. Although literary film was a genre that could be autonomous given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culture, it underwent excessive prosperity and distortion due to the aggressive interventions of policies. Those findings show that the implications of "literary film" we take for granted today went through changes and ups and downs in the competition and tension of its driving forces. And the process reveals the desire for the modernization of film, the history of bonds, the changes to the media hegemony between literature and film, and the resulting changes to the scene of Korea's culture and art community.

literary film, Korean culture, popular art, policy meaning, modernization of film, media hegemony

  • 1. [기타] / <표류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상록수>, <벙어리 삼룡>, <갯마을>, <물레방아>, <일월>, <소복>, <만선>, <젊은 느티나무>, <카인의 후예>, <봄봄>, <메밀꽃 필 무렵>, <독짓는 늙은이> 등
  • 2. [기타] / ≪동아일보≫, ≪조선일보≫, ≪서울신문≫, ≪경향신문≫, 文藝映畵, 別乾坤, 三千里, 朝鮮映畵, 映畵藝術, 영화TV예술, 映畵世界, 國際映畵, 新東亞, 한국영상자료원 KMDB 등
  • 3. [학술지] 권명아 / 2003 / 문예영화와공유기억(commemoration) 만들기―한국전쟁의 경험과 역사의 재구성 / 한국문학연구 / 11 (26) : 123 ~ 26 kci
  • 4. [학위논문] 김남석 / 2003 / 1960-70년대 문예영화 시나리오의 영상 미학 연구
  • 5. [학술지] 김명석 / 2004 / 김승옥 소설 <무진기행>과 영화 <안개> 비교 연구 / 현대소설연구 (23) : 415 ~ 23 kci
  • 6. [학술지] 김수영 / 1967 / 문예영화 붐에 대하여 / 창작과비평 (6) : 276 ~ 6
  • 7. [학술지] 김종수 / 2008 / 1960년대 문예영화의 원작소설 연구 / 대중서사연구 (19) : 127 ~ 19 kci
  • 8. [학술지] 노지승 / 2006 / 1960년대, 근대 소설의 영화적 재생산 양상과 그 의미 / 한국현대문학연구 (20) : 503 ~ 20 kci
  • 9. [학술지] 박유희 / 2006 / 1960년대 문예영화에 나타난 매체 전환의 구조와 의미 / 현대소설연구 (32) : 167 ~ 32 kci
  • 10. [단행본] 백문임 / 2003 / 1960년 후반 ‘문예’로서의 시나리오의 의미, 매혹과 혼돈의 시대: 1950년대의 한국영화 / 도서출판 소도 : 203 ~
  • 11. [학술대회] 전우형 / 2007 / 1960년대 문예영화의 영상 미디어적 속성 발현 양상 / 2007 한국현대문학회 동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 105 ~
  • 12. [학술지] 정향재 / 2007 / 1930년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의 단상 - 영화와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 / 일본연구 (31) : 153 ~ 31 kci
  • 13. [학술지] 조현일 / 2004 / 소설의 영화화에 대한 미학적 고찰 : 60년대 문예영화 <오발탄>과 <안개>를 중심으로 / 현대소설연구 (21) : 249 ~ 21 kci
  • 14. [학위논문] 홍소인 / 2003 / 문예영화에서의 남성성 연구: 1966-1969년까지의 한국영화를 중심으로
  • 15. [단행본] 강진호 / 2007 / 국어 교과서와 국가 이데올로기 / 글누림
  • 16. [단행본] 김동호 / 2005 / 한국영화정책사 / 나남출판
  • 17. [단행본] 박헌호 / 2001 / 한국인의 애독작품:향토적 서정소설의 미학 / 책세상
  • 18. [단행본] 영화진흥공사 / 1977 / 한국영화자료편람 / 영화진흥공사
  • 19.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4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45~1957 / 공간과사람들
  • 20.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5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58~1961 / 공간과사람들
  • 21.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6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2~1964 / 공간과사람들
  • 22.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7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5 / 한국영상자료원
  • 23.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7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6 / 한국영상자료원
  • 24. [단행본] 한국영상자료원 / 2008 / 신문기사로 본 한국영화 1967 / 한국영상자료원
  • 25. [단행본] 한국영화진흥조합 / 1972 / 한국영화총서 / 한국영화진흥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