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한자음 효(效)섭운의 모태별 층위에 대하여 -일본한자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Origin of the Xiao(効) Group in Sino-Korean :Focused on a Comparative Study with Sino-Japanese

인문사회과학연구
약어 :
2015 no.48, pp.133 - 153
DOI : 10.17939/hushss.2015..48.007
발행기관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연구분야 : 학제간연구
Copyright ©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43 회 열람

본고에서는 효(效)섭운에 한하여 그 한국한자음의 모태별 층위에 대해 일본 오음 및 한음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그 결과를 각 운별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개구1등 호(豪)운은 후설저위모음 ɑ와 운미합개음 u가 결합된 운인데, 일본 오음과 한음은 대부분 -au형으로 나타나지만, 순음자는 순음 자체의 원순성으로 인해 -ou형이나 -o형으로 나타난다. 한국한자음은 한자음를 1음절로 수용하고 있기 때문에 /아우au/와 같은 2음절표기는 나타날 수 없다. 따라서 -ɑu가 한국한자음에서 -o형으로 나타나는 것은 1음절화로 인한 음운결합에 따른 결과로, 이를 통해 그 모태를 판별하기는 곤란하다. 2) 개구2등 효(肴)운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오음의 -eu형과 유사한 자음형으로, 2등 주모음의 전설성을 반영한 형태이므로 진음(秦音)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한다고 볼 수 있다. 3) 소(宵)운 갑을류의 한국한자음 -jo형은 일본 오음․한음에서도 갑을류 모두 -eu형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남북조음, 절운음, 진음의 어느 층을 반영할 가능성을 모두 가지고 있지만, 효(效)섭 전체의 체계상 한음보다는 오음에 가까운 체계, 즉 진음 이전의 층을 모태로 할 가능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In this research, I studied the origin of the Xiao(効) group in Sino-Korean mainly compared with Sino-Japanese Go’on and Kan’on. The first rhyme Hao(豪) is combines ɑ low vowel in the back of tongue, and u. Sino- Japanese Kan’on and Go’on show mostly in the form of -au. However, Labial show in the form of -ou or -o due to rounded features in Labial iʦelf. Sino-Korean is accepts the Chinese language as one syllable, thereby unable to show two-syllable mark like -au form. Accordingly, what ɑu is appears to be o in Sino-Korean is the outcome according to the phonological combination caused by one-syllable pattern. Through this, the origin of Sino-Korean in Hao(豪) rhyme cannot be discriminated. In the 2nd rhyme Yao(肴), -jo form of Sino-Korean is similar to -eu form in Go’on that means reflects of main vowel’s frontness in the 2nd rhymes. thereby seeming to reflect early middle Chinese. In the 3rd rhyme Xiao(宵), A type contained medial ï appears to be -jo form like B type contained medial i in Sino-Korean. Both Go’on and Kan’on also appear to be -eu form. in Go’on and Sino-Korean, it appears to be Yo’on(拗音) form such as -eu form and -jo form, respectively, by reflecting frontness even in Yao(肴) rhyme of aperture 2nd. A type in Xiao(宵) rhyme also reflected frontness in the main vowel as in the 2nd-grade Yao(肴) rhyme, thereby being judged to be indicated as Yo’on form. Accordingly, it can be considered to have the matrix as a system close to Go’on rather than Kan’on, namely, to the layer before the late middle Chinese.

한국한자음, 남북조음, 절운음, 진음, 효섭
Sino-Korean, Early Middle Chinese, Late Middle Chinese, Xiao(効)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