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나무들 비탈에 서다」는 오상원이나 선우휘와 구별되는 황순원의 휴머니즘의 특성을 잘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이 작품은 1부와 2부의 반복구조를 통해서 전후세대적인 감각을 수용하고 당대의 니힐리즘적인 분위기를 드러내면서 한편으로는 그 구조를 이완시키는 한 축을 통해서 휴머니즘을 표현하고 있다. 작가 황순원은 자신이 추구해온 사상을 기반으로 해서 전후세대의 감각을 수용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시되고 있는 휴머니즘은 현실의 고통과 불안, 그리고 절망으로부터 벗어나서 희망적인 미래로 나아갈 수 있는 긍정적인 이념으로서 나타난다. 숙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집약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그것은 ‘잉태’로서 제시된다. 그것은 구체적인 행동을 동반하거나 적극적인 의미를 가지지 않는다. 또한 동호나 현태 등 이작품의 중심인물들의 삶과 자연스럽게 연결되어 있지도 못하다. 그것은 작가 황순원이 계속적으로 작품 속에서 드러냈던 휴머니즘 지향성이 숙이라는 인물을 통해서 이 작품에 덧붙여서 있는 모습이다. 그런 점에서 볼 때 이 작품에서 나타난 휴머니즘은 전후 현실에 뿌리박은 것이라기보다는 추상적이고 절대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무들 비탈에 서다』는 전후세대의 불안과 상처를 형상화하고 그 세대의 나아갈 바를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작품은 1950년대 문학이 보여준 한계 속에 갇혀 있다. 전후문학이 현실을 인식하는 시각의 부재로 인하여 현실에 대한 인식불가능성의 표현, 혹은 추상적 현실인식을 보인다고 할 때 이 작품 역시 그와 다르지 않다. 즉 1950년대 문학을 넘어서는 데까지 이르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현실의 상징화, 반복구조 등을 통해서 좀 더 성숙하고 완성된 작품의 모습을 이루어내고 있다. 이러한 상징화라든가 반복구조 등은 이 작품이 도식적이거나 감상주의적인 경향을 벗어나게 해주고 있기 때문이다. 『나무들 비탈에 서다』가 가지는 의미는 바로 거기에 있다. 현실의 추상적, 주관적 인식에 머물고 있지만 그것이 상징화라든가 반복구조 등을 통해서 작품 속에서 힘을 얻고 있고 그럼으로써 도식주의에서 벗어나 전후세대의 사랑과 상처, 그리고 불안과 절망을 문학화 하는 데 성공하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황순원, 나무들 비탈에 서다, 상징, 전쟁상황, 추상적, 휴머니즘

참고문헌(23)open

  1. [단행본] 황순원 / 1991 / 황순원문학전집 1-7권 / 문학과지성사

  2. [단행본] 구창환 / 1964 / 상처받은 세대 / 조선어문학

  3. [학위논문] 김경혜 / 1997 / 황순원 장편에 나타난 인간구원의식에 관한 고찰

  4. [학위논문] 김덕한 / 1993 / 1950년대 한국장편소설연구

  5. [단행본] 김동환 / 1991 / 한국 전후소설에 나타난 현실의 추상화방법연구 , 한국의 전후문학 / 태학사

  6. [단행본] 김윤식 / 1994 / 한국소설사 / 예하

  7. [학위논문] 문영희 / 1989 / 황순원 문학의 작가정신 전개양상 연구

  8. [학위논문] 배경열 / 2001 / 선우 휘 문학 연구

  9. [학위논문] 배선미 / 1990 / 황순원 장편소설연구-전쟁의 피해양상 및 극복의지를 중심으로

  10. [단행본] 원형갑 / 1962 / 나무들 비탈에 서다 의 背地 / 현대문학

  11. [단행본] 이봉범 / 1993 / 민족사의 소설적 재현과 그 문학적 성과 , 한국전후소설연구(조건상편) / 성대출판부

  12. [학위논문] 이호숙 / 1987 / 황순원 소설의 서술시점에 관한 연구-3인칭소설을 중심으로

  13. [학위논문] 임준호 / 1996 / 오상원 소설 연구

  14. [학위논문] 전혜선 / 1994 / 나무들 비탈에 서다」에 관한 연구-<유리> 이미지와 현실의 문제를 중심으로

  15. [학위논문] 전헤선 / 1997 / 황순원의 문체연구「나무들 비탈에 서다」를 중심으로

  16. [단행본] 조남현 / 1993 / 황순원의「나무들 비탈에 서다”, 한국현대소설의 해부 / 문예출판사

  17. [단행본] 천이두 / 1974 / 자의식과 현실 , 종합에의 의지 / 일지사

  18. [단행본] 한전숙 / 1990 / 현대의 철학1-실존주의, 현상학, 비판철학 / 서울대출판부

  19. [단행본] 황순원 / 1995 / 말과 삶의 자유 , 『말과 삶의 자유』 / 문학과 지성사.

  20. [단행본] Goudsblom, J. / 1989 / 니힐리즘과 문화 / 문학과 지성사

  21. [단행본] Stanzel, F.K. / 1982 / 소설형식의 기본유형 / 탐구당

  22. [단행본] Todorov,Tzventan / 1992 / 산문의 시학 / 문예출판사

  23. [단행본] Zimmermann, F. / 1987 / 실존철학 / 서광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