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조선어문』 제재 수록 양상 연구 - 극문학 제재 현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Aspect of Contents in Chosun-Eomun -Focused on the dramatic literature-

한국극예술연구
약어 : -
2014 no.45, pp.213 - 258
DOI : 10.17938/tjkdat.2014..45.213
발행기관 : 한국극예술학회
연구분야 : 기타예술체육
Copyright © 한국극예술학회
186 회 열람

이 연구에서는 조선족의 국어교육 교재인 『조선어문』을 대상으로 극문학 제재 수록 양상 및 학습 활동을 고찰였다. 실제 분석에서는 극문학의 성격상 1. 민족극, 2. 해외극, 3. 기타 중국극 등 유형별로 고찰하였다. 분석 내용은 크게 두 가지로 대별된다. 첫째, 일종의 예비고찰로서 『조선어문』 교재의 특징에 대해 살피고 극문학 제재의 유형을 정리하였으며, 둘째, 위의 교재의 특징 및 제재의 유형을 토대로 『조선어문』의 극문학 내용 및 학습 활동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2007년에 조선족의 조선어 교육 과정인 <조선어문과정표준>이 개정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변화된 사회 환경과 조선어 교육의 현실을 반영하였으며, 특히 한국의 제7차 국어교육과정을 참고로 하여 편찬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교육의 단일 교재인 『조선어문』도 새로운 교육과정을 반영하며 개편되었다. 극문학 수록 양상 및 학습 활동을 보면, 1. 민족극은 장르상 희곡, 방송극, 뮤지컬, 가극 등으로 대별된다. 희곡의 경우, 국내 국어 교과서 극본과 학습 문제를 그대로 차용한 단원들이 보이는데, 이는 한국의 7차 교육과정과의 영향 관계를 보여준다. 2. 방송극, 뮤지컬 및 가극 등의 음악극은 각각 1편씩 소수에 불과한데 각각 조선족, 한국, 북한 등에서 창작된 대표작을 수록하고 있다. 학습 활동은 장르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3. 해외극 및 중국극의 경우, 해외극은 전체 극본 유형 중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으며, 영미 희곡이 지배적이다. 또한 감상 위주의 ‘선택 과정’ 교과서에서 다루어지고 있어 감상을 위한 간단한 학습 활동만을 보인다.

This research examines tendency of how the dramas are included on Chosun-Eomun which is Korean textbook of Chosun-jok and its learning activity.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investigating how the drama is learned in Korean education of Chosun-jok. The revised edition of Chosun-Eomun in 2007 is analyzed in the research, and textbooks of every grade are aimed. The analysis can be divided into two ways. The first one describes a character of Chosun-Eomun and types of the dramas on the book, and the next one actual situation in the text book and learning activities of the textbook. Chosun-Eomun, unitary textbook of the national education has been changed as the information-oriented age has arrived in 21st Century. Especially, It is interesting that revised edition of Chosun-Eomun in 2007 refers to ‘The Standard of Literary Education of Chosun’ and 7th Curriculum Period of Korea. The dramas is divided into national play, foreign play, and Chinese play. National play is composed of plays, broadcast plays, musicals, operas. In the case of plays in textbook, it can be seen that several chapters borrow scripts and questions from textbooks of Korea. This is because they followed Korean education curriculum of Korea. Musical plays such as broadcast plays, musicals, operas are major works which are written by Chosun-jok or in South Korea and North Korea. The number of these plays is only one of each genre. British and American dramas account for most of foreign plays, and they occupy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whole of scripts. It is distinguishing feature that most of foreign plays are included in selective curriculum.

국어교육, 조선족, 조선어문, 조선어문과정표준, 7차 교육과정기, 극문학, 수록 양상, 학습 활동
Korean education, Chosun-jok, Chosun-Eomun, The Standard of Literary Education of Chosun, 7th Curriculum Period, dramatic literature, actual situation in the text book, learning activities

  • 1. [단행본] 연변교육출판사편집실 / 2007 /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제1권~제9권) / 연변교육출판사
  • 2. [단행본] 연변교육출판사편집실 / 2007 / 의무교육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 교수참고서(제1권~제9권) / 연변교육출판사
  • 3. [단행본] 연변교육출판사편집실 / 2007 / 고급중학교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필수4권) / 연변교육출판사
  • 4. [단행본] 연변교육출판사편집실 / 2007 / 고급중학교조선족학교교과서 조선어문(선택 희곡감상) / 연변교육출판사
  • 5. [단행본] 교육부 / 2001 / 제7차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02) / 대한교과서주식회사
  • 6.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1976 / 독립운동사자료집 10권 /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 7. [단행본]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 1991 / 중국조선족교육사 / 동북조선민족교육출판사
  • 8. [단행본] 독립기념관 / 2008 / 북간도 한인의 삶과 애환, 그리고 문화 / 동북아역사재단
  • 9. [단행본] 심상용 / 2013 / 간도 비극의 땅 잊혀진 영토 / 아우누리
  • 10. [학술지] 윤금선 / 2012 / 미주 지역 한인의 국어교육 전개양상 -일제강점기 하와이를 중심으로 / 어문연구 / 73 : 387 ~ kci
  • 11. [학술지] 윤금선 / 2013 / 동북아시아 지역 해외 한인의 모국어 교육 활동 연구 - 중국 한인 사회를 중심으로 - / 국어교육연구 (52) : 147 ~ 52 kci
  • 12. [학위논문] 이형관 / 1998 / 革命을 주제로 한 北韓 映畵 연구 : 피바다, 꽃파는 처녀, 소금을 中心으로
  • 13. [학위논문] 이홍남 / 2002 / 우리나라와 중국 연변 조선족의 초등(소)학교 미술교과서 중 감상영역에 대한 연구
  • 14. [학술지] 정향란 / 2012 / 희곡감상에서의 몇 가지 감상방법에 대하여 / 중국조선어문 (181)
  • 15. [학술지] 조금란 / 2009 / 영상매체를 활용한 희곡열독감상 / 중국조선어문 (163)
  • 16. [학위논문] 조유리 / 2011 / 중·한 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내용의 비교와 분석
  • 17. [학위논문] 한은숙 / 2005 / 한국어린이연극의 발달과정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