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 양성교육에서 교수․학습방법을 교재를 통해서 예비교사에게 제시하는 대신에, 해당 방법을 적용한 수업을 직접 예비교사들이 참여하게 하여, 그 경험의 의미를 탐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S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연구” 수강생인 예비 중등교사 39명을 대상으로 직소우 모형을 3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3주 동안 수집된 자료는 총 125부로, 성찰저널 75부, 전문가 학습지 25부, 주제 정리 학습지 25부였다. 이 중에서 성찰저널 75부가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예비교사의 직소우 모형 경험은 직소우 모형에 대한 총체적 지식 체득, 직소우 모형을 적용한 수업 운영 능력 함양, 직소우 모형의 활용에 대한 긍정적 태도 배양이라는 세 개의 상위 범주와 아홉 개의 하위 범주로 구분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비교사의 직소우 학습 경험은 두 가지로 귀결되었다. 첫째, 직소우 학습 경험은 모형에 대한 지식습득과 더불어 모형을 활용하는 기술을 총체적으로 재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 둘째, 직소우 학습 경험으로 예비교사는 해당 모형을 통한 학습의 의미와 유용성을 명확하게 인식하였고 활용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형성하였다.

키워드

예비교사 양성교육, 교수․학습방법, 직소우 협동학습

참고문헌(26)open

  1. [학술지] 강희웅 / 2006 / Jigsaw II 협동학습이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 '전기·전자 기술'단원에서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기술교육학회지 6 (s) : 67 ~ 82

  2. [단행본] 김영천 / 2006 / 질적연구방법론 Ⅰ / 문음사

  3. [학위논문] 김윤미 / 2009 / 직소(Jigsaw) 협동학습을 적용한 성인학습자를 위한 영어회화 수업 모형

  4. [학술지] 김윤희 / 2009 / 중학교 기술과 교육에서의 Jigsaw 응용 협동학습 모형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 (4) : 261 ~ 277

  5. [학술지] 문호준 / 2007 / 체육교육 실기 수업에서 직소(Jigsaw) 방법의 적용 및 교육적 의미 /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 (2) : 81 ~ 99

  6. [학술지] 박민정 / 2007 /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통한 대학원 학생들의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교육과정연구 25 (3) : 265 ~ 288

  7. [학술지] 박수경 / 2007 / 체험 요소(4Es)가 체험즐거움, 만족도,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 Pine과 Gilmore의 체험경제이론(Experience Economy)을 중심으로 / 광고연구 76 (76) : 55 ~ 78

  8. [학술지] 박종윤 / 2001 / 중학교 과학수업에 적용한 Jigsaw 협동학습의 효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 (3) : 635 ~ 647

  9. [학술지] 손충기 / 2004 / 사범대학 교육과정 편성.운영방법 개발을 위한 교사의 요구 분석 연구 / 교육과정연구 22 (4) : 251 ~ 271

  10. [학술지] 신기현 / 2002 / 구성주의 교사교육의 연구쟁점과 향후과제 / 교육행정학연구 20 (3) : 49 ~ 69

  11. [학술지] 박원혁 / 2003 / 7차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된 생물 I 생식과 발생 단원의 Jigsaw II 협동학습 모형 적용 효과 / 생물교육 31 (1) : 61 ~ 71

  12. [학술지] 윤현선 / 2005 / Jigsaw Ⅲ 협동 학습이 중학생의 과학 성취도와 과학에 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생물교육 33 (4) : 465 ~ 474

  13. [학술지] 이영효 / 2009 / 학습자질문중심의 역사수업 / 역사교육연구 10 (10) : 7 ~ 46

  14. [단행본] 전성연 / 2007 / 협동학습 모형 탐색 / 학지사

  15. [학위논문] 정원임 / 2011 / 사회과 수업에 적용한 직소우(Jigsaw)Ⅱ 협동학습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 및 내적동기의 관계에 대한 연구: 고등학교 사회문화 수업을 중심으로

  16. [학술지] 정윤희 / 2009 / 경험적 소비에서 경험특성, 즐거움과 죄책감, 재경험 의도의 관계 / 경영학연구 38 (2) : 523 ~ 553

  17. [학위논문] 조성임 / 2005 / 직소(Jigsaw) 협동학습 활동을 통한 문법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18. [학술지] 최성락 / 2004 / 실과교육에서 Co-op Jigsaw 협동학습이 과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7 (3) : 37 ~ 48

  19. [학술지] 최영재 / 2001 / 전문가집단을 활용한 Jigsaw Ⅱ 협동학습이 과학지식, 탐구능력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과학교육 20 (2) : 177 ~ 186

  20. [학술지] 최은영 / 2007 / 협동학습 과정에서 나타난 학습자들의 수업경험 / 영어영문학21 20 (1) : 133 ~ 180

  21. [단행본] Barab, S. A. / 2000 / From practice fields to communities of practice, In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 25 ~ 55

  22. [단행본] Falk, J. H. / 2000 / Learning from museums -visitor experience and the making of meaning / Altamira Press

  23. [단행본] Granger, D. / 2003 / Constructing knowledge as a distance: The learner in context, In Handbook of distance education( / LEA : 169 ~ 180

  24. [단행본] Land, S. M. / 2000 / Student-centered learning environments, In Theoretical foundations of learning environments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Publishers : 1 ~ 23

  25. [학술지] Slavin, R. E. / 1991 / Synthesis of research on cooperative learning / Educational Leadership 48 (5) : 71 ~ 82

  26. [단행본] Tapscott, D. / 2009 / 디지털 네이티브 / 비즈니스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