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石堂博物館 所藏 『紺紙銀泥妙法蓮華經』 卷三의 歷史·文化的 價値

The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in Silver on Indigo Paper, Volume 3 of Seok-Dang Museum

석당논총
약어 : -
2021 no.79, pp.67 - 95
DOI : 10.17842/jsa.2021..79.67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 회 열람

<석당박물관> 소장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3은 법화경 28품 가운데 「약초유품(藥草喩品)」제5, 「수기품(授記品)」 제6, 「화성유품(化成喩品)」 제7의 내용을 필사한 경전이다. 사경은 전체 108절면으로 이루어졌으며, 1절면의 크기는 세로 41.9cm, 가로 14.4cm 로서 일반적인 사경 형태에 비해서 큰 편이다. <석당본> 사경은 사성기(寫成記)는 없으나 서지적 검토 및 표지화 및 변상도의 형식 등의 비교를 통해 보물 제269-1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1, 보물 제269-2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2,4,5,6 그리고 보물 제269-4호 『감지은니묘법연화경』권7과 본래 한 질을 구성했던 것으로 이해된다. 향후 사경의 연구는 두 가지 방향에서 추진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하나는 사경에 쓰인 서체에 대한 연구가 심화될 필요가 있다. 사경은 형태서지학적으로 볼 때 필사본에 해당하는 대표적인 유형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필사된 내용의 성격에 대한 검토와 더불어 당시의 서체에 대한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다른 하나는 불교문화적인 성격에 대한 검토이다. 고려 후기의 경권신앙(經卷信仰)의 성격과 그 대상이 되었던 불경에 대한 사상적 검토가 추구되어야 한다. 이를 통하여 유물의 역사적 성격과 함쎄 사회문화사적인 의미가 정리될 수 있을 것이다.

Transcription of Saddharmapundarika Sutra in Silver on Indigo Paper, Volume 3 of Seok-Dang Museum is a scripture that contains Article 5 of the Herbs, Article 6 of the Prediction, and Article 7 of The Apparitional City. The total diameter is 108 sections, and the size of the first section is 41.9 cm long and 14.4 cm wide, which is larger than the typical type of landscape. Although there is no Buddhist Prayer(發願文), it is understood that the book originally form a set with other books through bibliographic review and comparison of the form of a picture on a cover page and Illustration. Research should be intensified in two directions in the future. First, a deep study of cursive writing and the person who wrote it should be done. It is also essential to understand those who helped.(施主) The second is to re-examine Buddhist cultural history through the scriptures made at that time. It is a stage where deep research on the types of Buddhist scriptures and types of faith(經卷信仰) will be conducted. Gwangdeoksa Temple's(廣德寺) Buddhist scriptures will be a good example.

석당박물관, 광덕사(廣德寺), 감지은니묘법연화경 권3, 약초유품, 수기품, 화성유품, 사성기(寫成記), 표지화, 변상도, 사경체(寫經體), 경권신앙(經卷信仰)
Seokdang Museum, Gwangdeoksa Temple(廣德寺), in Silver on Indigo Paper the Saddharma Pundarika Sutra(紺紙銀尼妙法蓮華經), Buddhist Prayer

  • 1. [인터넷자료] / 묘법연화경(동국역경원)
  • 2. [인터넷자료] / 고려사(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3. [인터넷자료] / 동문선(한국고전번역원 한국고전종합DB)
  • 4. [인터넷자료] / 조선왕조실록(국사편찬위원회 한국사데이터베이스)
  • 5. [단행본] 권희경 / 2006 / 고려의 사경 / 淸州古印刷博物館
  • 6. [단행본] 李樹健 / 1990 / 韓國中世社會史硏究 / 一潮閣
  • 7. [학위논문] 정제규 / 2001 / 고려후기 재가불교신앙 연구
  • 8. [단행본] 韓㳓劤 / 1993 / 儒敎政治와 佛敎 / 一潮閣
  • 9. [학술지] 권희경 / 2006 / 고려 개인발원사경(個人發願寫經)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6 (1) : 5 ~ 1 kci
  • 10. [학술지] 문명대 / 1995 / 광덕사 사경변상도의 연구 / 불교미술연구 (1)
  • 11. [인터넷자료] / http://www.hani.co.kr/arti/opinion/column/320946.html#csidx86a85101dc48e00a21c62e4f3c3dec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