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古代 동북아시아 동물 매장행위에 관한 연구 - 우리나라와 중국 내몽고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Animal Mortuary Practices in the Ancient Northeast Asia - on the region of Southern Korea and Inner Mongolia

석당논총
약어 : -
2013 no.56, pp.171 - 202
DOI : 10.17842/jsa.2013..56.171
발행기관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70 회 열람

변화의 속도가 그다지 빠르지 않는 매장습속 중의 하나인 동물 부장양상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삼국시대 무덤과 중국 내몽고지역의 남흉노, 선비로 추정되는 무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부장된 동물 중 가장 점유율이 높은 것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말(馬)이 압도적인 것에 반해 중국 내몽고지역에서는 羊, 소(牛), 말(馬)이 거의 비슷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중국 내몽고지역에서 보이는 동물의 종류와 副葬量을 통해 당시의 생업경제와 피장자의 재산 혹은 사회적 지위를 추정하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동물자체 副葬量보다는 말을 부리기 위한 도구인 馬具의 재질과 副葬量에서 피장자의 사회적 성격을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동물의 부장위치에서 피장자와 같은 공간, 즉 하나의 묘광에서 이루어지는 중국 내몽고지역과, 피장자의 공간과는 별도의 새로운 공간을 활용하는 우리나라의 것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또 하나는 동물을 음식물로서의 활용한 부분은 容器 내 출토상태를 근거로 하였으며 중국 내몽고지역에서는 이러한 유례가 알려져 않으며 북흉노의 중심지인 몽골지역과 우리나라에서는 확인되고 있다. 容器 내 동물부장이라는 차이에서 우리나라와 또 다른 북방지역과의 교류 가능성도 제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동물 부장이 피장자의 성별에 따른 역할부담이라는 사회적 구조를 반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중국 내몽고지역에서 남성 쪽에는 말(馬)이, 여성 쪽에는 羊과 소(牛)가 부장되었는데 이는 당시의 男女가 주력했던 분야를 表式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삼국시대 고구려 고분벽화에서 이러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Placing animals inside a tomb of the dead is a burial custom that has been so far not much changed. In this sense, this study examined tombs of the Three Kingdom Period of Korea, and tombs located in the Inner Mongolian region of China that were presumed to be formed by people of the South Xiong-nu and the Xianbei. The examination found that animals placed inside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were in most cases horses while, sheep, cows and horses were almost equally discovered from those of the Inner Mongolian region. The kinds and amount of the buried animals represent how the then situations of subsistence economy were and at the same time the property and social status of the buried dead. For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the materials and amount of harness found in those tombs rather than the amount of buried horses have contributed to determining what the buried dead was socially. When their state was examined, containers discovered from ancient tombs indicated that animals buried in those tombs might have been used as food. This have been historically known in relation to the Inner Mongolian region. In the center of the North Xiong-nu and in this country, vessels in which animals were contained have been actually found in ancient tombs. In other words,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and the Inner Mongolian region are somewhat similar to each other in that both of them have animals placed inside. But the fact that containers having animals inside were discovered from only the ancient tombs of this country and another northern region suggests that both of the regions might have exchanged with each other in the ancient times. Finally, the kinds of animals buried in the ancient tombs represent the then social roles of the buried dead in accordance with gender. Out of the ancient tombs of the Inner Mongolian region, those in which men were buried in most cases horses placed inside, but those in which women were buried, sheep and cows. This suggests what social roles men and women of that region assumed in ancient times. In this country, wall paintings found in the ancient tombs of Koguryo forme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illustrate men and women discriminatively depending on their social roles in the ancient times.

동물 뼈, 동물 부장, 우리나라, 중국 내몽고지역, 북흉노, 남흉노, 선비, 마구
animal bones, burial of animals, Korea, the Inner Mongolian n region of China, the North Xiong-nu, the South Xiong-nu, the Xianbei, harness

  • 1. [단행본] 慶南文化財硏究院 / 2007 / 咸安 梧谷里 遺蹟Ⅰ-고분군-
  • 2. [단행본] 慶尙南道 / 1987 / 陜川磻溪堤古墳群
  • 3. [단행본] 경상대학교 박물관 / 1990 / 陜川玉田古墳群Ⅱ-M3호분-
  • 4. [단행본] 慶星大學校 박물관 / 2000 / 金海大成洞古墳群Ⅰ
  • 5.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 2008 / 몽골 흉노무덤 자료집성 / 도서출판 성림
  • 6. [단행본] 국립중앙박물관 / 2010 / 황금의 나라 신라의 왕릉 황남대총
  • 7. [학술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1999 / 咸安道項里古墳群Ⅱ / 학술조사보고 / 7
  • 8. [학술지]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2000 / 咸安道項里古墳群Ⅲ / 학술조사보고 / 8
  • 9. [단행본] 군산대학교박물관 / 2004 / 군산 산월리 유적 / 군산대학교 박물관
  • 10. [단행본] 김정완 / 1987 / 陜川 磻溪堤古墳群 / 국립진주박물관
  • 11. [보고서] 김택규 / 1975 / 황남동고분발굴조사보고
  • 12. [보고서] 김해시 대성동고분박물관 / 2012 / 김해 대성동고분군 7차 발굴조사 자문위원회
  • 13. [단행본]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박물관 / 2008 / 慶州 皇吾洞 100遺蹟 Ⅰ
  • 14. [학술지] 嶺南大學校 박물관 / 1999 / 時至의 文化遺蹟 Ⅲ / 學術調査報告 / 28
  • 15. [단행본] 嶺南大學校 박물관 / 2002 / 慶山 林堂地域 古墳群Ⅵ
  • 16. [단행본] 嶺南文化財硏究院 / 2001 / 慶山 林堂洞遺蹟Ⅱ-G지구 5ㆍ6호분-
  • 17. [단행본] 釜山大學校 박물관 / 1983 / 東萊福泉洞古墳群Ⅰ
  • 18. [단행본] 釜山大學校 박물관 / 1993 / 金海禮安里古墳群Ⅱ
  • 19. [단행본] 블라지미르 D. 꾸바레프 / 2003 / 알타이의 암각 예술 / 학연문화사
  • 20. [단행본] 영남대학교 박물관 / 2002 / 고대의 말 -神性과 實用-
  • 21. [단행본] 이희승 / 1994 / 국어대사전 (제3판) / 민중서림
  • 22. [단행본] 張正男 / 1995 / 慶州 皇南洞 106-3番地 古墳群 發掘調査報告書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 23. [단행본] 전남대학교박물관ㆍ나주시 / 1999 / 伏岩里古墳群
  • 24. [학술지]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98 / 慶山 林堂古墳群(Ⅲ) / 학술조사보고 / 5
  • 25. [단행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 1999 / 尙州 新興里古墳群(Ⅳ)
  • 26. [학술대회] 강인욱 / 2010 / 흉노와 동아시아-흉노학의 정립을 위한 토대구축을 겸하여- / 동아시아 고대문화 속의 흉노, 부경대학교ㆍ중앙아시아학회 2010년 국제학술대회
  • 27. [학술지] 김권구 / 2000 / 선사시대 儀禮와 사회적 性(gender)의 고찰 / 丹雪李蘭暎博士停年紀念論叢 考古歷史學志 / 16
  • 28. [단행본] 김건수 / 2002 / 우리나라 고대(古代)의 말(馬), In 고대의 말 -神性과 實用- / 영남대학교 박물관
  • 29. [학술지] 김낙중 / 2010 / 榮山江流域 古墳 出土 馬具 硏究 / 한국상고사학보 / 69 (69) : 103 ~ 69 kci
  • 30. [학술지] 金東淑 / 2002 / 新羅ㆍ伽耶 墳墓의 祭儀遺構와 遺物에 관한 硏究 / 영남고고학 / 30 : 59 ~ kci
  • 31. [단행본] 金子浩昌 / 1993 / 禮安里古墳群의 動物遺體, In 金海禮安里古墳群Ⅱ / 부산대학교 박물관
  • 32. [학술지] 김재현 / 2013 / 몽골․우즈벡과의 형질 비교를 통해 본 예안리 인골 / 문물연구 / 23 (23) : 1 ~ 23 kci
  • 33. [단행본] 김정숙 / 2002 / 문헌 속에 나타난 한국 고대인의 삶과 말(馬), In 고대의 말 -神性과 實用- / 영남대학교 박물관
  • 34. [학술지] 박양진 / 1998 / 族屬 추정과 夫餘 및 鮮卑 고고학자료의 비교 분석 / 韓國考古學報 / 39
  • 35. [학술지] 박양진 / 2000 / 중국 동북지방의 鮮卑 무덤 연구 / 百濟硏究 / 32
  • 36. [학술지] 신용민 / 1999 / 중국 한대 흉노ㆍ선비 묘제 소고 / 嶺南考古學報 (24)
  • 37. [학위논문] Gelegdorj Eregzen / 2009 / 몽골 흉노 무덤 연구
  • 38. [학술대회] 王立新 / 2010 / 秦 통일 이전의 內蒙古 중남부지역의 문화다원화와 그 역사적 배경 / 동아시아 고대문화 속의 흉노, 부경대학교ㆍ중앙아시아학회 2010년 국제학술대회
  • 39. [단행본] 유병일 / 2000 / 新羅ㆍ伽耶社會의 葬送儀禮에 대한 檢討, In 韓國古代史와 考古學, 鶴山金廷鶴博士頌壽紀念論叢
  • 40. [학술지] 유병일 / 2002 / 新羅ㆍ伽耶의 墳墓에서 출토한 馬骨의 意味 / 科技考古硏究 (8)
  • 41. [학위논문] 李在賢 / 1994 / 嶺南地域 木槨墓에 대한 연구
  • 42. [학술대회] 張允禎 / 2012 / 몽골지역 흉노무덤 출토 동물 뼈로 본 동아시아의 습속 / 흉노와 그 동쪽의 이웃들, 국립중앙박물관ㆍ부경대학교 2012 국제학술대회
  • 43. [학술지] 장윤정 / 2012 / 동물 부장양상을 통해 본 북흉노의 매장습속 —몽골지역을 중심으로— / 문물연구 / 22 (22) : 1 ~ 22 kci
  • 44. [학위논문] 조건은 / 2012 / 중국 내몽고 중남부지역 상주시대 고고학문화 연구
  • 45. [보고서] 모기철 / 1979 / 池山洞 44號古墳 出土 動物遺骸에 對한 考察, 大伽倻古墳發掘調査報告書
  • 46. [학술지]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 / 1994 / 扎賚諾尒古墓群1986年淸理發掘報告 / 內蒙古文物考古文集
  • 47. [학술지] 內蒙古文物考古硏究所 / 1994 / 額尒古納右旗拉布達林鮮卑墓群發掘簡報 / 內蒙古文物考古文集
  • 48. [학술지] 內蒙古文物工作隊 / 1961 / 內蒙古扎賚諾尒古墓群發掘簡報 / 考古 (12)
  • 49. [학술지] 內蒙古自治區文物工作隊 / 1965 / 內蒙古陳巴尒虎旗完工古墓淸理簡報 / 考古 (6)
  • 50. [학술지] 王成 / 1987 / 扎賚諾尒圈河古墓淸理簡保 / 北方文物 (3)
  • 51. [학술지] 趙越 / 1990 / 內蒙古額右旗拉布達林發現鮮卑墓 / 考古 (10)
  • 52. [학술지] 中國科學院考古硏究所內蒙古工作隊 / 1964 / 內蒙古巴林左旗南楊家營子的遺址和墓葬 / 考古 (1)
  • 53. [학술지] 錢玉成 / 1994 / 科右中旗北瑪尼吐鮮卑墓群 / 內蒙古文物考古文集
  • 54. [학술지] 呼倫貝尒盟文物管理站 / 1997 / 新巴尒虎左旗伊和烏拉鮮卑墓 / 內蒙古文物考古文集 /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