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운영전>의 주제를 둘러싼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면서 이 작품을 관통하고 있는 인간의 본성과 생의 가치 등에 대한 특유의 관념을 분석해보는 것을 그 목표로 삼는다. <운영전>의 주제와 관련하여 가장 많은 주목을 받아온 것은 운영의 사랑과 이를 변호하고 나선 궁녀들의 항변이라고 할 수 있는데, 기존 연구는 대체로 이를 중세적 체제와 이념에 맞선 인간 해방의 주장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본고는 사랑에 막중한 심리적 가치를 투여하는 주정적 주체의 출현을 역사적 담론의 하나로, 역사적 주체성의 한 증상으로 파악해볼 것을 제안했다. <운영전>의 작가는 인간이란 무엇보다 정념의 주체이며 사랑이란 어떤 훈육과 유폐로도 틀어막을 수 없는 생명의 자기 발현이라고 선언한다. 본고는 이러한 정념의 인간학이 남녀 간의 사랑을 서사의 제재로 즐겨 채택해왔던 동아시아 전기소설의 창작 전통과, 16세기~17세기 전반 성리학적 사유와 길항하면서 사상사의 한 저류를 형성했던 양명학적 사유와 일정한 담론적 맥락을 형성하고 있다고 보았다. <운영전>의 주제 논의에서 사랑 못지않게 주목받아온 또 하나의 측면은 이 작품에 농후한 비극성과 그 의미이다. 기존 연구는 운영의 자살이라는 비극적 결말에 주목하면서 이를 인간성을 억압하는 중세 지배체제에 대한 전면적인 부정으로 해석하였다. 하지만 액자 내부의 갈등에만 초점을 맞춰서는 액자 외부를 감싸고도는 비애와 연민의 파토스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 본고는 세속의 현실에 맞서 일종의 반현실로서 구축된 수성궁을 파괴한 실질적인 힘은 계유정란 같은 권력투쟁과 임란과 같은 불가항력적 재난이었으며, 작품에 가리어져 있는 이 국면이 <운영전>에서 비회의 정조를 끊임없이 환기시키는 원천으로 작용한다고 보았다. 그런데 <운영전>에서는 현실이 무의미하고 무가치한 것으로 여겨지면 여겨질수록 사랑과 같은 정념은 더 진실하고 가치 있는 경험으로 고양된다. 그것은 순수 정념으로서의 사랑만이 역사에서 의미나 목적을 상실한 주체에게 생의 감각을 부여하고 생의 가치를 지탱해주는 지지대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운영전>에서 정념의 인간학과 연민과 비애의 인간학이 결합될 수 있었던 것은 바로 이와 같은 맥락에서라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 마지막으로 검토해본 것은 안평대군의 인물형상과 그 이념적 지향에 대해서이다. <운영전>에서 안평대군과 운영-궁녀들의 대립은 적대적으로 흐르지 않는데, 이는 근본적으로 이들이 동질적인 유형의 인간에 속하기 때문이다. 즉 이들은 모두 시적 감수성과 재능을 지닌 미적 인간이자 眞情을 추구하는 낭만적 이상주의자라는 점에서 닮아있다. 본고는 안평대군이 길러내고자 한 인간이란 성리학적 이념에 충실한 도덕적 인간이 아니라 세속의 정념과 욕망에 물들지 않은 순수한 미적 인간이며, 운영은 이러한 안평대군의 미적 이상이 길러낸 다른 얼굴이라고 보았다.

키워드

운영전, 인간학, 정념, 비애, 연민, 미적 주체

참고문헌(20)open

  1. [단행본] 이상구 / 1999 / 운영전, 17세기 애정전기소설 / 월인 : 96 ~ 159

  2. [학술지] 강명관 / 2007 / 조선 후기 양명좌파의 수용 / 오늘의 동양사상 16 : 127 ~ 130

  3. [학술지] 김경미 / 2002 / 운영전에 나타난 여성 서술자의 의의 / 한국고전여성문학 4 : 38 ~ 60

  4. [학술지] 大谷森繁 / 1985 / 운영전 소고 / 조선후기의 소설독자층 연구 : 165 ~ 199

  5. [단행본] 박기석 / 1990 / 운영전 / 집문당 : 711 ~ 724

  6. [단행본] 박일용 / 1993 / 운영전과 상사동기의 비극적 성격과 그 사회적 의미 / 집문당 : 166 ~ 187

  7. [학술지] 성현경 / 1981 / 우리 고전소설에 나타난 여성-운영전의 경우 / 여성문제연구 10 : 187 ~ 189

  8. [학술지] 신경숙 / 1990 / 운영전의 반성적 고찰 / 한성어문학 9 : 58 ~ 80

  9. [단행본] 양승민 / 2002 / 운영전의 연구 성과와 그 전망 / 월인 : 123 ~ 149

  10. [학술지] 엄태식 / 2009 / <운영전>의 서술 양상과 그 의미 / 고소설연구 (28) : 39 ~ 69

  11. [학술지] 오종일 / 1999 / 양명학의 수용과 전래에 관한 재검토 / 양명학 3 : 5 ~ 17

  12. [학술지] 우응순 / 2003 / 장유의 양명학적 세계관과 시세계 / 국제어문 (29) : 35 ~ 60

  13. [단행본] 윤채근 / 1999 / 소설적 주체, 그 탄생과 전변 / 월인 : 390 ~ 403

  14. [학술지] 이상구 / 1998 / 운영전의 갈등양상과 작가의식 / 고소설연구 5 : 133 ~ 176

  15. [학술지] 전성운 / 2007 / <운영전>의 인물 성향과 비회(悲懷)의 정조 / 어문논집 0 (56) : 115 ~ 143

  16. [학술지] 정길수 / 2009 / <운영전>의 메시지-캐릭터 설정에 관한 몇 가지 문제 / 고소설연구 (28) : 71 ~ 103

  17. [학술지] 정두영 / 2010 / 17세기 西人 내부의 陽明學 이해와 現實主義 政治論 / 동국사학 (48) : 63 ~ 92

  18. [단행본] 정출헌 / 1999 / 운영전의 중층적 애정갈등과 그 비극적 성격 / 소명출판 : 81 ~ 122

  19. [학술지] 정환국 / 2003 / 16세기 말 17세기 초 사상사의 흐름 속에서 본 운영전 /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7) : 261 ~ 292

  20. [학술지] 조용호 / 1997 / 운영전 서사론 / 한국고전연구 3 : 123 ~ 1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