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 논문은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서례의 도설(圖說)에 사기(射器)로 실려 있는 치(觶)라는 뿔잔의 기명적 성격과 실제적 쓰임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현전 유물이 극히 드물어 도설로만 이해되어 온 뿔잔 치와 그 받침으로 사용된 풍(豊)의 기명적 실체를 밝히기 위해 조선 및 중국의 문헌기록과 영조대에 시행된 대사례에 관한 대사례의궤의 기록 및 대사례를 시각화한 회화자료를 면밀히 검토하였다. 그 결과, 치(觶)라는 술잔은 왕실의 활쏘기 의식에서 사용된 벌주잔, 즉 사의(射儀)용 벌작(罰爵)으로 고대 중국에서 작과 더불어 귀하고 신분이 높은 사람이 쓸 수 있는 특별한 주기였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 뿔잔 치와 받침 풍을 사용한 벌주의식은 고대 중국의 활쏘기 의례에 그 연원을 두고 있고, 치와 풍은 조선 초 주례(周禮)에 근거한 오례의 정비과정에서 군례 소용의 왕실의례기로 편입이 추정되었다. 또 대사례의궤의 기록과 <대사례도권>을 통해 치는 뿔로 만든 뿔모양의 술잔이었으며, 영조 때 시행된 대사례에서는 소뿔로 만들어 흑칠한 치와 나무로 만들어 주칠한 풍을 벌주의식에 사용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뿔잔 치의 받침은 벌주의식을 행하기 전에는 점이, 벌주의식의 과정에서는 풍이 받침으로 사용되었던 사실도 확인하였다. 한편, 조선시대에 벌주잔(罰酒盞)으로 사용되었던 술잔 치(觶)와 굉(觥)은 각각 사의(射儀)용 벌주잔과 연음(宴飮)용 벌주잔이라는 성격의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굉은 조선 후기 축수의 상징성이 강화되면서 헌수용 술잔을 대표하게 되었던 사실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기명적 실체가 드러난 뿔잔 치는 유교국가 조선의 왕실의례가 근간으로 삼았던 고례(古禮)가 의례기의 쓰임과 성격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분명히 보여주는 예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키워드

뿔잔, 치(觶), 풍(豊), 대사례(大射禮), 벌주잔(罰酒盞), 굉(觥)

참고문헌(36)open

  1. [기타] / 高麗史

  2. [기타] / 高麗史節要

  3. [기타] / 國朝五禮儀

  4. [기타] / 朝鮮王朝實錄

  5. [기타] / 園幸乙卯整理儀軌 / 奎14518

  6. [기타] / 大射禮儀軌 / 奎14941

  7. [기타] 徐 兢 / 宣和奉使高麗圖經

  8. [기타] 徐居正 / 四佳集

  9. [기타] 丁若鏞 / 茶山詩文集

  10. [기타] 趙 翼 / 浦渚集

  11. [기타] / 1983 / 論語註疏 / 『(影印)文淵閣四庫全書』 第195冊 經部189 四書類, 臺灣商務印書館

  12. [기타] / 毛詩註疏

  13. [기타] / 禮記

  14. [기타] / 儀禮

  15. [기타] / 周禮

  16. [단행본] 국립고궁박물관 / 2000 / 군사의례-조선왕실 군사력의 상징

  17. [단행본] 국립민속박물관 / 2009 /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한국무예사료 총서XVI-

  18. [단행본] 문화재청 / 2006 / 조선 영조대 대사례의 고증자료집

  19. [단행본] 박례경 / 2013 / 의례역주 2 향음주례・향사례 / 세창출판사

  20. [단행본] 박례경 / 2013 / 의례역주 3 연례・대사의 / 세창출판사

  21. [단행본] 박정혜 / 2000 / 조선시대 궁중기록화연구 / 일지사

  22. [단행본] 서유구 / 2021 / (임원경제지 권91-92)향례지1 : 향촌의례백과사전 / 풍석문화재단

  23. [단행본] 이왕무 / 2019 / 조선왕실의 군사의례 / 세창출판사

  24. [학술지] 강신엽 / 2001 / 조선시대 대사례의 시행과 그 운영- 『대사례의궤』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보 16

  25. [학술지] 구혜인 / 2021 / 조선후기 왕실 연향용 주기(酒器)의 종류와 운용체계-의궤의 기용도(器用圖)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 40 : 133 ~ 183

  26. [학술지] 김문식 / 2018 / 1807년 경상감사 尹光顔의 鄕飮酒禮 / 조선시대사학보 (87) : 193 ~ 222

  27. [단행본] 김문식 / 2006 / 조선 영조대 대사례의 고증자료집

  28. [학술지] 육수화 / 2020 / 조선시대 사대부 투호례의 변화양상과 그 예교적 함의 / 한국교육사학 42 (4) : 83 ~ 108

  29. [학위논문] 윤효정 / 2020 / 조선전기 관요백자의 기명체계와 성격

  30. [학술지] 신병주 / 2002 / 영조대 대사례의 실시와 『대사례의궤』 / 한국학보 28 (1)

  31. [단행본] 이성곤 / 2009 / 조선시대 대사례와 향사례-한국무예사료 총서XVI- / 국립민속박물관

  32. [단행본] 이왕무 / 2000 / 군사의례 - 조선왕실 군사력의 상징 / 국립고궁박물관

  33. [학술지] 이왕무 / 2014 / 조선전기 軍禮의 정비와 射禮의 의례화 / 동양고전연구 (54) : 319 ~ 348

  34. [학위논문] 정지수 / 2020 / 영조대 대사례도 연구

  35. [학술지] 정지수 / 2020 / 영조대 ≪대사례도권(大射禮圖卷)≫ 연구 / 동서미술문화학회 미술문화연구 18 (18) : 165 ~ 188

  36. [학술지] 扬之水 / 2007 / 罚觥与劝盏 / 收藏家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