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계곡 장유의 우언 작품을 통해 우언의 범주와 특성을 재고하고 한국고전문학사에 있어 우언 장르의 모습과 흐름을 살피려는 시도의 하나이다. 계곡 장유의 작품을 고찰하여 우언으로 분류될 수 있는 작품을 선별하고 그 중 주목을 받지 못했던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그를 위한 기초 단계로 우언 장르론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고 우언의 정의와 범주에 대해서도 논하였다. 장르로서의 우언 연구가 시작된 이래 많은 연구 성과가 축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들 간에 의견 격차가 매우 커서 우언 범주에 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 격차를 좁히기 위해 우언 범주에 대한 규정을 제시했다. 기존 우언 연구에서 사용되었던 양식 차용 우언, 양식 변환 우언 개념을 사용하지 않고 단형 우언과 유사한 의미로 현대 장르 개념인 “우언”으로 범주를 제한했다. 그리고 우언의 서술 목적을 분석하여 우언의 대표적 특성으로 투쟁적, 정치적, 유희적 목적에 대해 언급했다. 우언의 서사 방식은 직선적, 평면적 서사 전개 방식이다. 그리고 의견 대립항을 대표하는 복수 화자가 등장한다. 대립항 사이의 갈등은 허구적 시공간에서 재현되는데 이 갈등과 논쟁을 믿을 만한 것으로 만들기 위해 전고나 여론을 활용한다. 이러한 서사 방식을 통해 작가와 독자는 우언의 궁극적 목표인 교화, 풍자, 유희성을 얻게 된다. 선정된 11 작품 중 <부장부해(覆醬瓿解)>와 <용졸당기(用拙堂記)> 분석을 통해 우언의 장르적 특성이 개별 작품 속에 어떻게 형상화 됐는지를 살폈고, 장유 우언의 개성적 면모 또한 살펴보았다. 그러므로 본고는 우언 장르론에 관한 하나의 시각을 제안하고, 그를 통해 우언으로 다루어야 할 작품들의 범주와 구체적 특성들을 드러내는 것에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키워드

우언, 장유, 투쟁, 설득, 유희, 복수 화자, 허구 상황, 현재성, 풍자, 사고체계

참고문헌(38)open

  1. [단행본] 장유 / 계곡집 / 민족문화추진회

  2. [단행본] 김상헌 / 청음집 / 민족문화추진회

  3. [단행본] 김장생 / 사계유고 / 민족문화추진회

  4. [인터넷자료] / 한국고전종합DB

  5. [단행본] 심경호 / 2013 / 한문산문미학 / 고려대출판부

  6. [단행본] 양승민 / 2008 / 우언의 서사문법과 담론양상 / 學古房

  7. [단행본] 윤승준 / 2000 / 우언의 재미와 교훈 / 월인

  8. [단행본] 윤주필 / 2008 / 한국우언산문선집1 / 박이정

  9. [학위논문] 강주란 / 2005 / 계곡 장유 산문 연구

  10. [학술지] 김세정 / 2013 / 계곡 장유의 주체성과 창조정신 / 동서철학연구 1 (68) : 69 ~ 87

  11. [학술지] 김영 / 1984 / 눌은 광정의 망양록 연구 / 한국한문학연구 7 : 62 ~ 80

  12. [학술지] 김영 / 2004 / 우언문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 한국학연구 13 : 61 ~ 80

  13. [학술지] 김진경 / 2006 / 한국 사부에 나타나는 우언적 성격에 관한 연구 / 漢字漢文敎育 1 (16) : 485 ~ 520

  14. [학술지] 문범두 / 1994 / 『장자』 우언의 이야기형식과 호질 / 한민족어문학 : 191 ~ 213

  15. [학위논문] 변구일 / 2008 / 계곡 장유 산문 연구

  16. [학위논문] 안득용 / 2010 / 16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산문의 구도와 전개

  17. [학술지] 안병설 / 1988 / 우언전기의 형식과 제재 / 중국학논총 (4) : 5 ~ 40

  18. [학술지] 안세현 / 2009 / 15세기 후반~17세기 전반 성리학적 사유의 우언적 표현 양상과 그 의미 / 민족문화연구 (51) : 215 ~ 251

  19. [학술지] 안세현 / 2010 / 조선중기 한문산문에서 <장자> 수용의 양상과 그 의미 / 한국한문학연구 (45) : 437 ~ 471

  20. [학술지] 오세현 / 2012 / 조선중기 性理學의 위상과 谿谷 張維(1587~1638)의 사상적 면모 / 한국사연구 (156) : 81 ~ 114

  21. [학위논문] 禹應順 / 1990 / 朝鮮中期 四大家의 文學論 연구

  22. [학술지] 유종국 / 1986 / 우언의 양식 / 국어문학 26 : 331 ~ 352

  23. [학술지] 윤주필 / 2011 / 『국순전』『국선생전』의 우언적 독해 -가전의 새로운 이해를 위하여- / 한국한문학연구 (47) : 303 ~ 338

  24. [학술지] 윤주필 / 2001 / 우언 글쓰기의 원리와 적용 자료의 범위 연구 / 한국한문학연구 28 : 5 ~ 35

  25. [단행본] 윤주필 / 2006 / 향후 10년간의우언 연구를 위한 영역 설정과제언 / 박이정 : 9 ~ 32

  26. [학술지] 윤해옥 / 1980 / 대관재기몽에 나타난 우언의 문학적 형상 / 연세어문학 13 : 91 ~ 110

  27. [학술지] 이종묵 / 1990 / 부휴자담론과 우언의 양식적 특성 / 고전문학연구 5 : 187 ~ 211

  28. [학위논문] 林裕憬 / 1993 / 『亡羊錄』 연구

  29. [학술지] 장효현 / 2005 / 形成期 古典小說의 전개와 寓言文學 / 고소설연구 (20) : 359 ~ 380

  30. [단행본] 장효현 / 1991 / 근대전환기고전소설수용의역사성, In 근대 전환기의언어와문학 /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소

  31. [학술지] 정연봉 / 2002 / 한국 한문 우언론 / 우리어문연구 22 : 104 ~ 136

  32. [학술지] 정학성 / 2005 / 우언양식의 서사구조와 비판정신 / 동양학 (38) : 29 ~ 44

  33. [학술지] 조상우 / 2007 / <息影亭記>의 寓言 글쓰기와 文學史的 意義 / 온지논총 (16) : 103 ~ 126

  34. [학술지] 조정윤 / 2007 / 谿谷 張維의 記文 硏究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27) : 299 ~ 334

  35. [학위논문] 조정윤 / 2009 / 장유 산문 연구

  36. [학술지] 학군봉 / 2008 / 谿谷 張維 文學에 나타난 『莊子』 寓言 受容樣相과 그 意味 / 한국한문학연구 (41) : 375 ~ 407

  37. [학위논문] 학군봉 / 2011 / 조선시대 사대부의 장자수용과 우언 글쓰기 연구

  38. [학위논문] 허민희 / 2011 / 계곡 장유의 시문관 연구 : 양명학과의 연관성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