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은 독자적인 예술세계를 구축한 범패승의 구술생애사 연구를 시도하였다. 구술자의 생애사 분석을 통해 구술자 생애에서 삶의 전환점을 기준으로 ‘출가 -> 범패학습 -> 탁발수행’ 등 3단계로 구분하였다. 구술자는 고성염불을 “높은 소리로 하는 염불”로 해석하며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 고음의 범패를 자신의 강점으로 피력하고 있다. 그러나 ‘고성염불 십종공덕’의 맥락에서 볼 때 ‘큰 소리로 하는 염불’로 해석하는 것이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구술자가 대중포교를 위해 각설이타령에 법문내용을 사사로 붙여 만들었다는 무애 법문가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원효의 무애가의 유래를 참고하여 창작한 노래다. 또한 구술자는 개인의 예술적 욕망과 대중포교를 위한 수단으로 시조와 판소리를 익혔는데, 전통음악 전승자들과 왕래하며 취미로 시조와 판소리를 익혀 대중 강연이나 공연에서 주요 레퍼토리로 활용하고 있다.

In this thesis, I made an attempt to study the oral life history of a pǒmp’ae monk who has constructed his own art world. Through an analysis of life history of a narrator, the transition points of life experienced by the narrator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namely ‘Becoming a Buddhist monk → pǒmp’ae learning → Going about begging for alms’. In an analysis of the art world constructed by a narrator, it is appropriate to interpret ‘goseong yǒmbul’ or high-pitch chanting as ‘chanting in a loud voice’. As for ‘Muae pǒmmun-ga’ (freedom from all obstacles Buddhist song), it was confirmed to have been created in reference to the origin of ‘Muaega’ (freedom from all obstacles song) contained in “SamgukYusa”(『三國遺事』. In addition, the narrators seem to have learned si-jo and pansori while communicating with certified cultural transmitters and made them as part of their repertory in popular lectures and performances.

목차

국문초록
1. 들어가는 글
2. 구술자 삶의 전기와 결정적 순간
3. 서사분석: 구술자의 범패를 비롯한 국악의 학습과 활용
4. 나오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4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911-0008608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