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20세기 초 출판시장에서 가장 많이 출판되고 유통된 ‘척독집(尺牘集)’은 한문 편지교본의 성격을 가진 책이다. 본 논문은 근대 척독집 중 가장 대표적인 저작이라 할 수 있는 『척독완편』의 서발문 내용을 통해 편찬 과정과 편집 주체를 밝히고자 했다. 먼저 1905년 『척독완편』, 1908년 『신찬척독완편』, 1912년 『증보자전척독완편』, 1917년 『문명척독』 등 네 개의 대표적인 『척독완편』 판본을 중심으로 서발문 상황을 정리하였다. 판본별 서발문을 검토한 결과 첫째, 1896년에서 1899년까지 스승 최성학을 중심으로 제자 김우균 등이 주도적인 역할을 하여 필사본 『척독완편』이 완성되었다는 사실, 둘째, 필사본에 대한 대중들의 큰 호응에 힘입어 1904년부터 황민수, 고응원 등의 원문 대조 작업을 거쳐 1905년 최초로 인쇄본 『척독완편』이 출판되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1905년 『척독완편』에서는 최성학과 그 제자들이 공동의 편찬 주체로 소개되었으나 1908년 이후의 개정판에서는 점차 김우균이 단독 편찬자인 것으로 소개되고 있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서발문에서 읽을 수 있는 당대인들의 척독에 대한 일반적 인식은 ‘정해진 표현과 관용어구’를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김우균은 척독이 ‘고문(古文)’에서 나온 것이며 ‘서권기(書卷氣)’를 갖춰야 한다고 주장하는 복고적인 문예 취향의 척독 인식을 보여주었다. 김우균의 이러한 척독 인식은 한문 글쓰기의 대중화를 위해 기획된 근대 척독집의 취지와 모순되는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키워드

근대 척독집, 서문, 편찬과정, 편찬주체, 척독 인식, 김우균, 최성학, [척독완편(尺牘完編)], [신찬척독완편(新撰尺牘完編)], [증보자전척독완편(增補字典尺牘完編)], [문명척독(文明尺牘)]

참고문헌(15)open

  1. [기타] / 皇城新聞

  2. [단행본] 金雨均 / 1905 / 尺牘完編 / 博文社

  3. [단행본] 金雨均 / 1908 / 新撰尺牘完編 / 同文社

  4. [단행본] 金雨均 / 1912 / 增補尺牘完編 / 미상

  5. [단행본] 金雨均 / 1916 / 增補字典尺牘完編 / 同文書林

  6. [단행본] 金雨均 / 1917 / 文明尺牘 / 미상

  7. [단행본] 강명관 / 2003 / 이덕무 소품문 연구, in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 태학사

  8. [학술지] 권정원 / 2001 / 청장관 이덕무의 척독 연구 / 東洋漢文學硏究 15

  9. [기타] 김동준 / 簡牘精要 해제 / 규장각한국학연구원

  10. [학술지] 김효경 / 2003 / 18세기 간찰교본 簡式類編 연구 / 奎章閣 9

  11. [학술지] 류준경 / 2009 / 坊刻本 簡札敎本 硏究 / 漢文古典硏究 18 (1) : 257 ~ 291

  12. [단행본] 안대회 / 2003 / 조선후기 소품문의 성행과 글쓰기의 변모, in 조선후기 소품문의 실체 / 태학사

  13. [학술지] 정민 / 2003 / 『東?餘談』에 실린 李彦?의 필담 자료와 그 의미 / 한국한문학연구 (32) : 87 ~ 123

  14. [학술지] 홍인숙 / 2004 / 李德懋 척독 연구-‘내면’, 혹은 ‘사적 자아’의 발견- / 한국한문학연구 (33) : 205 ~ 234

  15. [학술지] 홍인숙 / 2010 / 근대 척독집 연구 -김우균의 『척독완편(尺牘完編)』을 중심으로 / 한국문화연구 19 : 61 ~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