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현상에 대한 뒤르케임주의적 한 이해

A Dukrheimian Understanding of the Social Commemoration of Bishop Su Hwan Kim and the Former President Mu Hyun Ro

한국학연구
약어 : -
2010 no.33, pp.263 - 289
DOI : 10.17790/kors.2010..33.263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고려대학교세종캠퍼스 한국학연구소
144 회 열람

이 논문은 김수환 추기경과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사회적 추모를 뒤르케임주의적 관점에서 분석한다. 먼저 이 논문은 이번 추모현상들을 개인에게 외재하고 또한 동시에 구속력을 갖는 사회적 사실로 보았다. 그리고 이번 추모가 개인에 대해서 갖는 구속성은 개인들로 하여금 집단흥분과 사회의 성스러움을 경험하도록 만들어 주는 구체적인 추모행위들 즉 시민의례를 통해서 가능 했다고 보았다. 이러한 시민의례 안에서 이루어진 상호집중과 상호동조를 통해 이번 추모는 매우 강렬하고 거대 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이 논문은 시민의례를 통해서 만들어진 도덕은 각 각 다르며 이는 각 각 다른 사회적 결과를 낳았다고 보았다. 김수환 추기경 추모의 경우는 사랑과 용서라는 도덕을 통하여 사회통합을 이끌었고, 반면에 노무현 전 대통령 추모의 경우는 민주주의를 위한 저항의 도덕의식을 이끌어 내었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두 번의 추모에서 주체로서의 개인에 대한 강화가 이루어짐을 관찰하였다.

This article analyzes the social commemoration of Bishop Su Hwan Kim and the former President Mu Hyun Ro from a Durkheimian perspective. Firstly, the article begins with a discussion that the commemoration can be regarded as a social fact which is external to the individuals, and also constrains them to join social commemoration. Then, it argues, the commemorative practices, called as civil rituals, led collective experience of the Sacred of Korean society by means of attending the funerals, visiting Myungdong Cathedral or civil mourning sites on the streets, and being eager to upload(and watch) one's own UCCs on the cyberspace in terms of expressing and sharing their feelings and thoughts. The more civil rituals are passionately practiced by the participants' mutual entrainment, the more the solidarity among the participants get strengthened. Next, the article observes that the morality generated from performing the civil rituals in respective cases, brings about some social consequences such as social integration and the resistance to the government. Finally, it points out individualism as an emerging characteristic in practicing social commemoration through civil rituals.

사회적 사실, 시민의례, 상호동조, 연대, 도덕, 개인주의
Social Facts, Civil Rituals, Mutual Entrainment, Solidarity, Morality, Individualism

  • 1. [기타] / 2009 / <국민일보> 2009.2.26
  • 2. [기타] / 2009 / <뉴스미션> 2009.9.23
  • 3. [기타] / 2009 / <머니투데이> 2009.5.26
  • 4. [기타] / 2009 / <아시아투데이> 2009.2.23
  • 5. [기타] / 2009 / <조선일보> 2009.5.29
  • 6. [기타] / 2009 / <한겨레신문> 2009.5.29
  • 7. [학술지] 김주만 / 2008 / 에밀 뒤르케임의 민주주의론: 개인주의, 소통, 그리고 사회적 삶 / 사회이론 (34) : 313 ~ 34 kci
  • 8. [단행본] 민문홍 / 2001 / 에밀 뒤르케임의 사회학 / 아카넷
  • 9. [단행본] 박영신 / 2008 / 뒤르케임과 지성인. in: 뒤르케임을 다시 생각한다 / 동아시아 : 16 ~
  • 10. [단행본] 장혜민 / 2009 / 바보가 바보들에게(김수환 추기경 잠언집) / 산호와 진주
  • 11. [단행본] 이원규 / 2006 / 종교사회학의 이해 / 나남출판사
  • 12. [학술지] 이황직 / 2006 / 종교사회학에서 본 개인주의와 공동체 형성의 문제 / 사회이론 (29) : 209 ~ 29 kci
  • 13. [단행본] Collins, Randall / 2004 / Interaction Ritual Chains / Princeton University Press
  • 14. [단행본] Durkeheim, Emile / 1964 / The Rules of Sociological Methods / The Free Press
  • 15. [단행본] Durkheim, Emile / 1965 / The Elementary Forms of the Religious Life / Free Press
  • 16. [단행본] Durkheim, Emile / 1973 / Emile Durkheim on Morality and Society /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7. [단행본] Durkheim, Emile / 1975 / Individualism and the Intellectuals. in: Durkheim on Religion-A Selection of Readings with Bibliographies / Routledge and Kegan Paul : 59 ~
  • 18. [단행본] Durkheim, Emile / 1984 / The Division of Labor in Society / Free Press
  • 19. [단행본] Giddens, Anthony / 1971 / Capitalism and Modern Social Theory An Analysis of the Writings of Marx, Durkheim and Max Weber / Cambridge University Press
  • 20. [단행본] Hughes, John / 1995 / Understanding Classical Sociology Marx, Weber, Durkheim / Sage
  • 21. [단행본] Kertzer, David / 1988 / Ritual, Politics and Power / Yale University Press
  • 22. [단행본] Shils, Edward / 1975 / The Meaning of the Coronation. in: Center and Periphery: Essays in Macrosociology /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135 ~
  • 23. [단행본] Turner, Bryan / 1995 / Max Weber:From History to Modernity / Routled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