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표지.JPG
KCI등재 학술저널

흥미의 선험적 차원

The Transcendental Dimension of Interest

교육의 분야에서 흥미는 학습의 원리로서의 지위를 인정받고 있으며, 그만큼 교육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 그러나 흥미를 단순히 모종의 목적을 달성하는 데 요구되는 보조수단으로, 혹은 지식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요구되는 정서적 보조물로 간주하는 통념은 흥미에 과연 그만큼의 중요성을 부여해도 좋은가 하는 의문을 불러일으킨다. 헤르바르트는 아프리오리를 도입하여 삶과 교육의 이상을 선험적 차원에 올려두는 칸트철학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거기에는 그 이상을 향한 여정이 간과되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헤르바르트는 흥미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구체적인 교육의 실천 과정에서 개인의 마음이 이념에 합치하는 것이 어떻게 가능한가를 밝히려고 하였다. 그가 보기에, ‘사이에 있음’을 의미하는 흥미는 시간 계열에서 이루어지는 이념을 향한 부단한 여정, 즉 교육의 실천을 지속할 수 있게 해 주는 근본적인 힘이다. 인간은 흥미에 의하여 삶과 교육의 목적에 해당하는 경지를 부단히 추구해 나갈수 있으며, 동시에 그 경지로 발돋움하는 것을 기대할 수 있다. 이 점에서 흥미는 교육의 목적으로 간주될 수 있다.

In the field of education, interest is recognized as a principle of learning, and it is widely accepted that it plays an important role in education. However, the common notion of interest simply as an aid required to achieve some sort of purpose or as an emotional aid required to effectively transfer knowledge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possible to attach that much importance to interest. Herbart highly appreciated Kant's philosophy, which puts the ideal of life and education on a transcendental dimension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a priori, but also points out that the journey toward it was overlooked.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interest, Herbart tried to reveal how an individual's mind can conform to the transcendental idea in the process of concrete education. In his view, interest, which means ‘to be between’(Inter-esse) is a fundamental force that enables the continuous journey toward the transcendental idea that follows the temporal process, that is, the practice of education. Human beings can continuously pursue the state corresponding to the purpose of life and education through interest, and at the same time can expect to rise to that state. In this regar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nterest can be construed as an aim of education.

Ⅰ. 서론

Ⅱ. 헤르바르트의 철학: 개념의 교정

Ⅲ. 아프리오리와 흥미

Ⅳ. 교수의 결과로서의 흥미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