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18.jpg
KCI등재 학술저널

도덕교육에서 공적 행복의 의미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 57

본 연구의 목적은 공적 행복의 의미를 고찰하고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현 시대는 행복 추구의 시대라고 말할 정도로 개인의 사적 행복이 강조되고 있다. 행복의 의미를 개인의 심리적이고 사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하고 행복의 공적 측면을 무시하게 될 때, 사회 전체의 공적인 문제는 사람들의 관심 영역으로부터 벗어나게 될 것이다. 아렌트에게는 공적 행복을 경험하지 못하면, 행복에 이르지 못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고 자신의 정체성에도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본 연구는 아렌트의 공적 행복의 개념에 기초를 두고 있기는 하지만, 더 나아가서, 공적 행복의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서 공적 영역, 함께 참여함, 공적 감정, 공공선과 같은 4가지 요소들을 다루었다. 또한 공적 행복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을 탐구하기 위해서 공적 행복을 경험하는 장으로서 학교의 역할과 공적 공간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자신과 함께 살고 타인과 협력하며 사는 공적 존재로서의 도덕적 인간, 정의적인 측면을 고려한 공적 참여를 다루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and the implication of its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rivate happiness of individual is being emphasized like the era of the pursuit of happiness. When we make light of the public happiness and understand it in psychological, private aspects of individual, we do not have the concern about public matters of society. For Arendt, if we do not experience the public happiness, we have the difficulty of identity as well as pursuit of happiness. My idea is based on the view of public happiness of Arendt but I tried to search the meaning of public happiness with 4 components(public sphere, participating together, public feelings, public good)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public happiness. Also, I suggested the school for the experience of public happiness, the moral public being living with oneself and living in concert with others in creating public space together, and the affective aspects of public participation for the implication of public happiness in moral education.

Ⅰ. 서론

Ⅱ. 공적 행복의 개념

Ⅲ. 공적 행복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논의

Ⅳ. 공적 행복의 도덕교육에의 시사

Ⅴ.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