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검색
최근 검색어 전체 삭제
다국어입력
즐겨찾기0
153828.jpg
KCI등재 학술저널

플라톤 무시케 교육의 재고찰

Review on Musikē Education of Plato

  • 86

플라톤 「국가론」에서 예술교육에 관한 논의는 주로 제 2권과 3권, 그리고 제 10권에서 다루어진다. 플라톤은 제 2권과 3권에서 무시케 교육에 대한 고찰을 통하여 예술교육의 필요성을 주장하는 반면, 제 10권에서는 예술의 본질에 관한 논의를 통하여 예술교육의 한계를 보여준다고 말할 수 있다. 「국가론」의 두 부분에 나타난 예술교육에 대한 관점 차이에 의하여 이른바 ‘불일치 문제’가 부각된다. 테이트(J. Tate)는 이 문제를 사물의 ‘형상’을 대상으로 하는 ‘좋은 모방’과 사물의 ‘외양’만을 대상으로 하는 ‘나쁜 모방’의 구분에 입각하여 해결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의 해석은 플라톤의 실재론에 비추어 난점을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형상’은 초월적인 것이며, 이 점에서 좋은 모방은 현실의 예술가가 아니라, 그 자신도 초월적 존재라고 보아야 하는 철인 군주만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상국가에서의 철인 군주의 지위가 현실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지위에 상응한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제 10권의 논의는 교육의 이상적 지향점을 선명하게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 이러한 해석이 타당한 것이라면, 예술교육에 관한 논의를 다루는 각 부분들 사이의 불일치 문제는 애초에 성립하지 않는 가짜 문제일 뿐이며, 플라톤은 「국가론」에서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필요성을 적극 옹호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Discussions on art education in Plato’s Republic are dealt with mainly in the second book, third book, and tenth book. Plato argues necessity of art education by discussing the Musikē education in the second and third book, whereas reveals the disadvantage by debating on nature of art in the tenth book.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 of art education in two parts of Republic brings up the problem so-called ‘discordance’. J. Tate attempts to solve this problem based on the distinction between the ‘good imitation’ which means activity imitating the ‘form’ and the ‘bad imitation’ which means activity imitating merely the ‘appearance’ of objects. His interpretation, however, is hard to be acceptable in the Plato’s viewpoint of realism. The ‘form’ is transcendental, so ‘good imitation’ is works not of artists who is living in real world but of philosopher king who is transcendental in himself. Considering status of teacher on education corresponds with status of philosopher king in ideal state, the discussions in tenth book can be interpreted that it is aiming at suggesting clearly the ideal point of educational activity. If this interpretation were valid, the problem originated in the discordance is only pseudo-problem, and we can conclude that Plato advocates completely the potentiality and necessity of art education in Republic.

Ⅰ. 서론

Ⅱ. 「국가론」에 나타난 무시케 교육

Ⅲ. ‘불일치 문제’에 대한 비판적 고찰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로딩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