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4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논문에서는 주거분야의 에너지 절감 및 탄소배출 제로를 목표로 패시브기법을 적용한 공동주택형 패시브하우스를 대상으로 계획요소별 성능기준과 공동주택 단지에 적용된 패시브 및 친환경 계획방법 등을 분석함으로써 국내에 적용가능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국내·외 패시브하우스 사례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이 발견되었다. 먼저, 독일 패시브하우스에 등록된 신축아파트와 다세대주택형의 계획요소별 성능기준을 분석한 결과 첫째, 국가별 분포도는 독일이 가장 높았으며, 건물구조는 조적조의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에너지성능, 단열성능, 기밀성, 환기성능 등 계획요소별 성능기준은 패시브하우스의 정량적 요구조건을 대부분 충족하였다. 셋째, 건물 외피의 단열성능은 지붕, 외벽, 바닥순으로 지붕의 단열성능이 가장 높고 개구부의 경우 유리, 창틀, 출입문 순으로 창틀과 출입문은 패시브하우스의 성능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사례가 다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능과 경제성을 만족시키는 제품이 아직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외 패시브 기법을 적용한 공동주택 사례를 분석한 결과 국내 사례는 액티브 기법을 주로 계획한 것으로 분석되고, 해외 사례는 지역자원 활용, 자원재활용, 자연에너지 이용, 대중교통활성화, 지역커뮤니티등을 활용하여 계획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런 사례들을 볼 때 국내에 적합한 패시브하우스의 활성화를 위해 국내에 적합한 제도 및 기준이 필요하며 신축 건물에만 적용할 것이 아닌 기존 건물과 리모델링 건물에도 적용할 수 있는 모델 개발과 지역자원을 활용한 계획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In this study, it was intended to draw implications applicable domestically by analyzing the performance criteria by planning element and the passive and eco-friendly planning method applied to apartment housing complexes, etc targeting apartment housing-type passive houses applied with passive techniques aimed at energy saving and zero carbon emission in the resident sector.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passive house cases showed the following implications. At first, through analyzing the planning element-specific performance criteria of the newly built apartments and multiplex houses registered in passive houses in German it was found that German was the highest in the country-specific distribution and the proportion of masonry structure was high in the building structure. Second, the performance criteria by planning element such as energy performance, insulation performance, air tightness, ventilation performance, etc met most of the quantitative requirements of passive houses. Third, it was found that in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building envelope the insulation performance of roof was the highest while followed by external walls and floors in the order named and that there were many cases in the case of opening parts that in the order of the glasses, window frames, and doors, especially the window frames and doors failed to meet the performance criteria in passive houses. This is judged due to the lack of the product satisfying the performance and economics yet.
Results of the analysis of domestic and overseas apartment housing cases applied with passive techniques showed that in domestic cases was mainly planned an active technique while overseas cases were planned using regional resource utilization, resource recycling, natural energy usage, public transportation activation, local community, etc From these cases, in order to activate passive houses suitable to the country the system and criteria appropriate to the country will be required and the development of model applicable to existing buildings and renovated buildings as well as newly built buildings and a plan utilizing regional resources will be necessary.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온실가스배출 및 에너지소비 현황
Ⅲ. 패시브하우스 개념
Ⅳ. 패시브하우스 사례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Reference

참고문헌 (29)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6-600-0012940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