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해방 이후의 중국 조선족 사회는 중국건국을 시작으로 주요 정치이념적 변곡점(한국전쟁, 반우파투쟁, 대약진운동, 문화대혁명, 개혁개방 등)과 함께하면서 민족의 역사, 사회, 문화를 유지/계승해 왔다는 점에서 특별하다. 연변조선족자치주의 각종 커뮤니티, 교육기관, 문화지형은 그러한 조선족 사회의 자주적 삶과 정체성을 보여준 지점일 것이다. 특히 해방 이후의 한글 문예잡지(『연변문학』, 『송화강』, 『문학과 예술』, 『도라지』, 『장백산』, 『북두성』, 『은하수』, 『갈매기』 등)와 신문 매체(『연변일보』, 『료녕조선문보』, 『흑룡강신문』, 『길림신문』 등)은 조선족 사회를 대변해 온 대표적인 담론공간이다. 대표적인 조선족 작가로서는 김학철을 비롯해 리근전, 김창걸, 임효원, 최정연, 김순기, 림원춘, 윤일산, 리원길 등이 있고, 그들의 작품은 공산체제에서 조선족 사회의 다양한 정치이념, 사회문화적 지점을 얽어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일제강점기의 항일민족투쟁의 역사적 현장을 서사화하고 민족정서를 근간으로 구심력과 원심력으로 변주되는 디아스포라 의식까지 다양한 주제의식을 선보인다. 최근의 이촌향도(離村向都) 현상과 배금주의, 성/젠더, 살인, 폭력 등 현대사회의 각종 병리현상까지 주제화한다는 점도 주목된다. 이러한 조선족 문학의 주제의식은 한국의 국문학계에서 보는 시각과 달리 공산체제의 지역성을 근간으로 남북 문학과는 다른 독자성으로 자리매김된다. 비록 “문학양식에서는 사회주의 이데올로기에 고착되었던 관계로 연변의 우리 동포 문학은 그 주제와 소재 면에서 모국의 독자들을 얻는데 일정한 한계성”이 있지만, 냉전시대의 국가중심주의에서 탈피한 글로벌시대의 현재적 지점은 역사적으로나 문학사적으로 주목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조선족 문학의 변용현상은 중국의 현대문학을 비롯해 남북한 문학, 동아시아 문학, 코리안 디아스포라 문학, 세계문학과의 관계 속에서 앞으로도 확장/변용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키워드

중국 조선족 문학, 연변문학, 항일민족투쟁, 공산체제, 민족의식, 디아스포라

참고문헌(25)open

  1. [단행본] 구재진 / 2020 / 해외한인문학 창작현황 자료집3-중국조선족문학 / 한국문학번역원

  2. [단행본] 연변대조선족문학연구소 / 2003 / 중국조선민족문학대계 : 1 ~ 30

  3. [기타] 중국작가협회연변분회 / 1993 / 『연변문예』(1951.1-6, 1954.1-1956.12, 1974.4-1984.12), 『아리랑』(1957.1-1958.12), 『연변문학』(1959.1-1961.2, 1998.1-2000), 『연변』(1961.5-1966.9), 『천지』(1985.1-1997.12) / 大訓社

  4.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세계한민족문화대전

  5. [단행본] 금희 / 2015 / 세상에 없는 나의 집 / 창작과비평사

  6. [단행본] 김학철 / 1988 / 격정시대①~③ / 풀빛

  7. [단행본] 김학철 / 1988 / 해란강아 말하라(上․下) / 풀빛

  8. [단행본] 김학철 / 1996 / 20세기의 신화 / 창작과비평사

  9. [단행본] 김환기 / 2006 / 재일 디아스포라 문학 / 새미

  10. [단행본] 리근전 / 1988 / 고난의 년대1-4 / 세계

  11. [단행본] 송현호 / 2009 / 중국조선족문학의 탈식민주의 연구Ⅱ / 새미

  12. [단행본] 오상순 / 2000 / 중국조선족소설사 / 료녕민족출판사

  13. [단행본] 조성일 / 1990 / 중국조선족문학사 / 연변인민출판사

  14. [단행본] 최병우 / 2019 / 조선족 소설 연구 / 푸른사상

  15. [단행본] 최삼룡 / 2008 / 재만조선인 친일문학 작품집 / 보고사

  16. [단행본] 최학송 / 2013 / 재중 조선인 문학연구 / 소명출판

  17. [보고서] 한국문학번역원 / 2018 / 한민족 이산문학 교류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

  18.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세계한민족문화대전

  19. [단행본] 허련순 / 1996 / 바람꽃 / 범우사

  20. [단행본] 허련순 / 2007 /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 / 온북스

  21. [학술지] 김성수 / 2021 / 코리아 문학 통일과 디아스포라 담론의 욕망― 연변 문예지의 매체사적 쟁점 / 대동문화연구 (115) : 313 ~ 347

  22. [학술지] 김성수 / 2021 / 연변 문예지의 역사와 ‘코리아 문학’ 재구성 / 국제한인문학연구 (29) : 11 ~ 39

  23. [학술지] 리해연 / 2017 / 김금희 소설의 노마디즘과 디아스포라연구 / 한중인문학연구 (55) : 183 ~ 202

  24. [학술지] 최병우 / 2018 / 김금희 소설에 나타난 조선족 이주에 관한 인식 / 한중인문학연구 (61) : 149 ~ 172

  25. [단행본] 大村益夫 / 2003 / 中國朝鮮族文學の歴史と展望 / 緑蔭書房