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4.3문학’의 갱신을 위한 세 시각

Three sights for renewal of ‘4.3 literature’

한민족문화연구
약어 : 한민족문화연구
2008 no.25, pp.89 - 114
DOI : 10.17329/kcbook.2008..25.004
발행기관 : 한민족문화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한민족문화학회
154 회 열람

우리는 4.3문학이 거둔 성과에 만족해서는 안 된다. 그동안 축적한 4.3문학의 성과에 대한 냉철한 점검을 통해 4.3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과감히 모색하고, 4.3과 연동된 문제들에 대한 시각의 넓이와 깊이를 새롭게 다듬어야 한다. 이러한 일환으로 필자는 2000년대 이후에 발표된 세 편의 소설에 주목하였다. 고은주의 장편소설 『신들의 황혼』, 양의선의 장편소설 『한나의 메아리』, 김길호의 중편소설 「이쿠노 아리랑」이 그것이다. 고은주의 소설을 통해 4.3과 한국전쟁의 접촉, 그리고 이들 역사와 무관한 젊은 세대가 겪는, 하지만 결코 무관할 수 없는 일상적 삶의 양상에 주목해보았고, 양의선의 소설을 통해 우리가 좀처럼 접근할 수 없는 북한소설의 4.3에 대한 형상화에 주목해보았고, 김길호의 소설을 통해 4.3에 대한 재일동포 시각에 주목해보았다. 말하자면, 2000년대 이후 남한(4.3의 미체험 세대), 북한, 재일동포 작가의 시각에 의한 4.3문학 읽기를 통해 자칫 답보상태에 머물러 있는 작금의 4.3문학에 활기를 불어넣고, 4.3문학의 갱신을 위한 어떤 계기를 탐색해보았다. 여기서 필자는 4.3문학이 4.3중심주의에 갇히지 말 것을 바란다. 4.3은 제주의 경계 안에 고착되는 게 아니라 그 경계를 훌쩍 넘어 4.3의 숭고한 가치를 확산하고 인류의 평화를 모색하는 씨이 되어야지, 4.3의 새로운 가치를 발견하는데 등한히 한 채 4.3을 박물지화하여 4.3을 화석화시켜서는 안 된다. 기회가 있을 때마다 거듭 확인하고 실천해야 할 게 있다. 4.3을 전지구적으로 사유하고, 국지적으로 실천해야 한다. 그것은 4.3중심주의를 넘어 4.3과 지구적 상호침투의 시각 속에서 4.3을 통한 인류적 평화를 쉼없이 모색하고 구체적으로 실천할 때 가능하다. 그리하여 제주, 평양 그리고 오사카의 틈새에서 또는 각 경계의 접속 면에서 4.3문학의 새로운 지평은 구두선(口頭禪)이 아니라 문학적 실천으로 구체화될 것이다.

We should not satisfy the results of 4.3 literature. Searching for a new horizon of 4.3 literature through a cool-headed investigation about the results accumulated 4.3 literature so far, we should refine newly the depth and width of sight on the connected problems of 4.3. As a part of these plans, I paid attention to three novels published since 2000s. They were a novel 『God’s twilight(신들의 황혼)』 by Ko Eunjoo, a novel 『Hanna’s Echo(한나의 메아리)』 by Yang Yiseon and a novelette 『Ikuno Arirang(이쿠노 아리랑)』 by Kim Gilho. Through a Ko Eunjoo’s novel, I paid attention to a ordinary life style in which a young generation could never absent from the contact between 4.3 and Korean war. Also I paid attention to a shape on 4.3 of a North Korean novel that we could not easily approach through a Yang Yiseon’s novel and paid attention to a sight of a Korean resident in Japan about 4.3 through a Kim Gilho’s novel. In other words, through a reading 4.3 literature by a sight of a South Korean since 2000s(a generation who did not experience 4.3), a North Korean and a Korean resident in Japan, I gave life to 4.3 literature being at a standstill and searched for a new opportunity for renewal of 4.3 literature. Here I hope for not being confined to 4.3 centralism of 4.3 literature. Not adhering to a boundary of Jeju, it should jump over its boundary and spread nobel value of 4.3 and grow into a seed in search for peace of mankind and should not make 4.3 fossilization by ignoring a discovery of new value of 4.3. Whenever a chance there is something to check and practice repeatedly. It is to use 4.3 globally and practice it locally. It is possible when we practice concretely and search for restlessly panhuman peace through the sight of global mutual infiltration with 4.3 passing over 4.3 centralism. Therefore in the connecting side of each boundary or a gap of Jeju, Pyeongyang and Osaka, a new horizon of 4.3 literature would be literary embodiment, not a mere talk.

국민국가, 4.3문학, 4.3사건, 재일동포, 북한, 대문자 역사, 소문자 역사
national state, 4.3 literature, 4.3 event, a Korean resident in Japan, North Korea, a capital letter history, a small letter history

  • 1. [단행본] 고은주 / 2005 / 신들의 황혼 / 문이당
  • 2. [단행본] 김길호 / 2005 / 이쿠노 아리랑 / 제주문화 별쇄본
  • 3. [단행본] 김명식 / 1992 / 한락산 / 신학문사
  • 4. [단행본] 양의선 / 2000 / 한나의 메아리 / 문학예술종합출판사
  • 5. [단행본] 이산하 / 2006 / 한라산 / 시학사
  • 6. [단행본] 임철우 / 2005 / 백년여관 / 한겨래출판사
  • 7. [단행본] (사)제주작가회의 / 1998 / 바람처럼 까마귀처럼 / 실천문학
  • 8. [단행본] (사)제주작가회의 / 2001 / 깊은 적막의 꿈 / 각
  • 9. [단행본] (사)제주작가회의 / 2002 / 당신의 눈물을 보여주세요 / 각
  • 10. [단행본] (사)제주작가회의 / 2004 / 역사적 진실과 문학적 진실 / 각
  • 11. [단행본] (사)제주작가회의 / 2006 / 어두운 하늘 아래 펼쳐진 꽃밭 / 각
  • 12. [인터넷자료] / 제주4.3사건 기념관, 폭도를 봉기자로 미화 / 인터넷 신문 『데일리안』
  • 13. [단행본] 고명철 / 2006 / 제주인의 혼불 / 각
  • 14. [단행본] 교과서 포럼 / 2008 / 대안교과서 한국근현대사 / 기파랑
  • 15. [단행본] 신형기 / 2000 / 북한문학사 / 평민사
  • 16. [단행본] 오카 마리 / 2004 / 기억 서사 / 소명출판
  • 17. [단행본] 이명재 / 1995 / 북한문학사전 / 국학자료원
  • 18. [보고서] / 2000 / 제주4.3자료집-미군정보고서
  • 19. [기타]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 2003 / 제주4.3사건 자료집(미국자료편②)
  • 20. [기타] 제주4.3사건진상규명및희생자명예회복위원회 / 2003 / 제주4.3사건진상조사보고서 / 선인
  • 21. [보고서] 중앙일보현대사연구소 / 미군CIC정보보고서
  • 22. [학술지] 고명철 / 2007 / ‘제주문학-재일 제주문학’과 민족문학의 연동에 대한 탐색 / 영주어문 : 155 ~
  • 23. [학술지] 고명철 / 2006 / ‘6.15민족문학인협회’ 결성,분단체제를 넘어서는 문화적 과정 / 실천문학 : 239 ~
  • 24. [단행본] 고명철 / 2005 / 생동하는 문학적 화두,민족문학의 갱신, 칼날 위에 서다 / 실천문학사 : 303 ~
  • 25. [단행본] 김동윤 / 2006 / 단선반대에서 인민공화국으로 가는 도정-강승한 서사시"한나 산"론, 기억의 현장과 재현의 언어 / 각 : 181 ~
  • 26. [단행본] 고명철 / 2003 / 북한소설의 4.3 인식 양상-양의선의"한나의 메아리"론, 4.3의 진실과 문학 / 각 : 177 ~
  • 27. [학술지] 김재용 / 2001 / 4.3과 분단극복-북한문학에 재현된 4.3 / 제주작가 (6) : 170 ~ 6
  • 28. [단행본] 김재용 / 2000 / 민주기지론과 북한문학의 시원, 분단구조와 북한문학 / 소명출판 : 27 ~
  • 29. [학술지] 최동주 / 1996 / 한국의 베트남전쟁 참전 동기에 관한 재고찰 / 한국정치학회회보 : 267 ~
  • 30. [학술지] 한홍구 / 2002 / 박정희는 왜 베트남에 군대를 보냈을까 / 우리 역사 속 왜 : 2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