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중국인 독립유공자의 한국 독립운동 지원 사례 분석 — 황줴(黃覺), 두쥔훼이(杜君慧), 쓰투더(司徒德)를 중심으로

Case Analysis of Chinese Suppor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Focusing on Huang Jue (黃覺), Du Junhui (杜君慧), Si Tude (司徒德)

인문논총
약어 : -
2020 vol.77, no.2, pp.47 - 79
DOI : 10.17326/jhsnu.77.2.202005.47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19 회 열람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한 공로로 서훈을 받은 중국 국적 독립유공자들은 대부분 중국국민당 계열 인사로 분류할 수 있다. 수많은 한인들이 중국으로 건너가 독립운동을 전개하는 과정에서 국민당이 오랜 기간 한국독립운동을 지원ㆍ지지한 것은 사실이지만, 한국 독립운동을 지원한 중국인은 다양한 결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국민당 계열 이외의 인사와활동은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았고 국민당의 지원 전체가 곧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지원으로 이해되는 경향도 적지 않았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그간 주목받지 못했던 중국인 독립유공자 세명을 선정하고 그들의 한국 독립운동 지원 활동을 살펴보았다. 국민당계열 인물이지만 사회주의ㆍ아나키즘 성향을 가진 한인 독립운동가들과도 함께 활동했던 황줴(黃覺)는 국민당이라는 틀에서 벗어나 한 인물의 다양한 활동을 적극적으로 평가할 필요성을 보여준다. 두쥔훼이(杜君 慧)를 통해서는 누군가의 아내나 보조자가 아니라 또 한 명의 ‘온전한’ 독립운동가로서의 위상을 찾아줄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쓰투더(司徒德)와 중한문화협회는 국민당의 한국 독립운동 지원을 현대 한중관계라는 더 큰 시야 속에서 분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들의 면면을분석하는 작업은 중국인들의 한국 독립운동 지원 전체상을 새롭게 조망하는 데 일조하고, 나아가 한국 독립운동에 협력했지만 알려지지 않은중국인 발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Most of the Chinese independence patriots, who were honored for their support of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were known as Guomindang affiliates. In the process of numerous Koreans moving to China and supporting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the Guomindang had long supported the movement. However, the Chinese who helped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came from various backgrounds and contexts; personnel and activities outside the Guomindang were relatively unknown. Also,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regard the support of the Guomindang as support for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his regard, the current study selected three Chinese independence patriots who have not been acknowledged to date and examined their support activities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Huang Jue (黃覺), who was a member of the Guomindang but worked with socialism-and anarchism-oriented Korean independence activists demonstrated the need to actively evaluate various practices of a person beyond the framework of the Guomindang. The case of Du Junhui (杜君慧) called for the necessity to appreciate an independent activist as a ‘full’ figure, rather than as someone's wife or assistant. Finally, Si Tude (司徒德) and the China-Korea Culture Association suggested that the support of the Guomindang’s independence movement of Korea could be analyzed in a larger framework of modern Korea-China relations. These examples can provide a new view of the Chinese people’s overall support for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and further contribute to discovering the existence of unacknowledged Chinese who cooperated with th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독립유공자, 중국국민당(中國國民黨), 중한문화협회(中韓文化協會), 황줴(黃覺), 두쥔훼이(杜君慧), 쓰투더(司徒德)
Independence Patriots, Guomindang, China-Korea Culture Association, Huang Jue, Du Junhui, Si Tude

  • 1. [기타] / 독립
  • 2. [기타] / 동아일보
  • 3. [기타] / 영남일보
  • 4. [기타] / 자유신문
  • 5. [기타] / 조선중앙일보
  • 6. [기타] / 현대일보
  • 7. [기타] / 大公報
  • 8. [기타] / 新華日報
  • 9. [단행본] / 1925 / 不逞團關係雜件 — 朝鮮人의 部 — 在支那各地 4
  • 10.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10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39 / 국사편찬위원회
  • 11.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08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22 / 국사편찬위원회
  • 12.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2007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6 / 국사편찬위원회
  • 13. [단행본] 사편찬위원회 / 2005 / 대한민국임시정부자료집 1 / 국사편찬위원회
  • 14.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1991 / 한국독립운동사자료 20 / 국사편찬위원회
  • 15. [단행본] 독립운동사 편찬위원회 / 1970 / 독립운동사자료집 7 / 독립유공자사업기금운용위원회
  • 16. [단행본] 충주시 / 2006 / 유자명자료집 1 / 유자명자료집간행위원회
  • 17. [단행본] 강만길 / 1991 /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 和平社
  • 18. [단행본] 국사편찬위원회 / 1992 / 한민족독립운동사 11 / 국사편찬위원회
  • 19. [학술지] 김경남 / 2019 / 1910년대 재일 한·중 유학생의 비밀결사활동과 ‘민족혁명’기획 - 신아동맹당을 중심으로 - / 지역과 역사 (45) : 219 ~ 45 kci
  • 20. [학술지] 김광재 / 2008 / 김성숙의 1930년대 중국관내지역의 독립운동 / 한국근현대사연구 (44) : 35 ~ 44 kci
  • 21. [학술지] 김기승 / 2002 / 조소앙의 육성교 구상에 나타난 민족주의와 세계주의 / 국사관논총 / 99 :
  • 22. [학술지] 김정인 / 1997 / 임정 주화대표단(駐華代表團)의 조직과 활동 / 역사와 현실 / 24
  • 23. [단행본] 김홍일 / 1972 / 大陸의 憤怒 — 老兵의 回想記 — / 文潮社
  • 24. [단행본]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1999 / 유자명 수기: 한 혁명자의 회억록 /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 25. [학술지] 양지선 / 2016 / 한국독립운동세력과 CC파·역행사의 공동 첩보활동 / 동양학 (62) : 123 ~ 62 kci
  • 26. [단행본] 염인호 / 2001 / 조선의용군의 독립운동 / 나남출판
  • 27. [학술지] 윤영현 / 2019 / 냉전기 한국사회의 '자유중국(대만)' 인식 / 한국학연구 (68) : 119 ~ 68 kci
  • 28. [학술지] 위지강 / 2007 / 중산대학과 한국독립운동의 관계 / 한국근현대사연구 (40) : 69 ~ 40 kci
  • 29. [학술지] 이동언 / 2011 / 김성숙의 생애와 독립운동 / 대각사상 (16) : 223 ~ 16 kci
  • 30. [단행본] 이정식 / 1988 / 혁명가들의 항일회상 / 민음사
  • 31. [단행본] 이현주 / 2003 / 한국 사회주의세력의 형성: 1919~1923 / 일조각
  • 32. [학술지] 정영희 / 2008 / 榴亭 趙東祜의 抗日獨立運動硏究 / 역사와 실학 / 37 : 215 ~ kci
  • 33. [학위논문] 조은경 / 2019 / 중국 광주지역 한인 독립운동 연구(1910~1948)
  • 34. [학술지] 조철행 / 2019 /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독립운동가발굴TF팀의 사업과 과제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68) : 317 ~ 68 kci
  • 35. [학술지] 최기영 / 2005 / 1930년대 中山大學과 한국독립운동 / 진단학보 (99) : 73 ~ 99 kci
  • 36. [학술지] 최선웅 / 2006 / 1910년대 재일유학생단체 신아동맹당의 반일운동과 근대적 구상 / 역사와 현실 (60) : 375 ~ 60 kci
  • 37. [단행본]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편찬위원회 / 2019 / 한국독립운동인명사전 : 특별판3 / 독립기념관
  • 38. [단행본] 한국역사연구회 / 2019 / 한국인의 벗, 외국인 독립유공자 / 국가보훈처
  • 39. [학술지] 한상도 / 2008 / 重慶 臨政 시기 金星淑의 활동과 정치사상 / 한국근현대사연구 (44) : 63 ~ 44 kci
  • 40. [단행본] 한상도 / 2004 / 중국혁명 속의 한국독립운동 / 집문당
  • 41. [단행본] 한상도 / 2000 / 한국독립운동과 국제환경 / 한울
  • 42. [단행본] 한상도 / 1994 / 韓國獨立運動과 中國軍官學校 / 문학과 지성사
  • 43. [학술지] 한상도 / 1989 / 김원봉의 조선혁명군사정치간부학교 운영(1932~35)과 그 입교생 / 한국학보 / 15 (4) : 5 ~ 4
  • 44. [학술지] 한시준 / 2010 / 중한문화협회의 성립과 활동 / 한국독립운동사연구 (35) : 373 ~ 35 kci
  • 45. [단행본] 한중문화협회 / 2013 / 韓中文化協會硏究 / 늘품플러스
  • 46. [단행본] 姚辛 / 2006 / 左聯史 / 光明日報出版社
  • 47. [단행본] 李盛平 / 1989 / 中國近現代人名大辭典 / 中國國際廣播出版社
  • 48. [단행본] 張衛波 / 2011 / 上海革命史資料與硏究 第十一期 / 上海革命歷史博物館籌備處
  • 49. [인터넷자료] / 국가보훈처 공훈전자 사료관
  • 50. [인터넷자료] / 한중문화협회 웹페이지
  • 51. [인터넷자료] / 百度百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