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의 목적은 제2차 세계대전 종전을 전후한 시기부터 1950년대후반에 이르는 시기에 한국 정부와 중화민국 정부(이하 국부)가 오키나와 귀속문제에 어떻게 관여하려고 했는지 실증적으로 밝히는 데 있다. 오키나와는 현재는 일본의 한 현(縣)이지만, 근대에 이르기까지는 류큐왕국이라는 독립국가 체재를 유지했으며 1945년부터 1972년까지는 미국의 배타적 통치 아래 놓였다. 이 글에서는 종전 뒤 동아시아 냉전 구조의 형성이 오키나와 귀속문제에 미친 영향과 오키나와 귀속을 둘러싼 미, 일, 류 3자의 동향, 오키나와 귀속 결정을 전후한 시기의 국부, 한국 정부 동향에 유의하면서 오키나와 반환이 구체화되기 이전 단계에서 오키나와가 동아시아에서 어떻게 인식되었는지 살펴보았다. 1940년대부터 1952년에 걸친 시기는 오키나와의 귀속이 가장 애매한 시기로 연합국의 일원으로 일본의 전후처리에 임한 장제스는 한때는 미국과 중국에 의한 공동 신탁통치를 주장했다. 그러나 국부는 국공내전에서 패배함으로써 국제적인 영향력을 잃어 샌프란시스코강화회의에서 일본에 잠재주권을 인정하면서 미국이 대일평화조약 제3조에따라 오키나와를 배타적으로 통치하는 방식이 확정되었다. 동아시아냉전 구조가 형성되는 가운데 오키나와 미군기지는 강화되었으며 애초에는 국내 상황 때문에 오키나와 귀속문제에 무관심했던 한국 정부도한국전쟁을 거쳐 자국의 안전이 오키나와 기지와 직결되어 있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 또 한때 침묵을 지키던 국부 역시 1953년 아마미군도반환을 계기로 오키나와 귀속문제에 다시 관심을 돌리기 시작했다. 1954년에 국부와 한국 정부는 아세아민족반공연맹(APACL)을 결성하고 여기에 류큐 대표를 참여시키며 오키나와에도 반공연맹을 조직하게 함으로써 오키나와를 반공 독립 쪽으로 향하게 만들려고 했다. 그러나 오키나와 현지에서는 일본복귀론의 뿌리가 단단했으며, 또 미국 정부가 APACL 회의에 오키나와 출신자가 참여함으로써 국제사회에서오키나와의 지위에 대한 오해가 생길까 우려해 현지 미국 기관(USCAR) 이 공개적으로 APACL 지부 결성을 지지하지 않을 것이라고 표명한것 등으로 인해 오키나와 현지에서 그것에 대한 지지는 확산되지 않았다. 더욱이 APACL 자체도 1956년까지 일본 참가를 두고 한국 정부와국부가 대립함으로써 기능부전에 빠졌기 때문에 이 시기에 류큐 독립론이 국제사회에서 널리 인식되는 일은 없었다. 1956년이 되자 토지문제를 계기로 오키나와에서 현상 변경에 대한요구가 높아지면서 관계 각국은 새로운 대응을 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 그런 가운데 한국 정부와 국부는 일본의 반공 태도가 애매하다는이유로 현상 유지 또는 오키나와 독립을 요구하는 입장을 재확인하게 된다. 하지만 양자가 바란 반공 독립국가로서의 ‘류큐’는 일본복귀론이거세지던 실제 오키나와 모습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것이었다.

키워드

냉전 구조, 오키나와 반환, 아마미군도 반환, APACL, 섬 전체 투쟁

참고문헌(56)open

  1. [기타] / 「미국⋅일본간 오끼나와(沖縄) 반환문제 전2권」 V. 1-6월(분류번호722.12JA/US, 등록번호2958) / 외교사료관

  2. [기타] / 「주중대사관 정무보고」(분류 번호773.1, 등록번호359) / 외교사료관

  3. [기타] / 京鄕新聞

  4. [기타] / 東亞日報

  5. [단행본] 沖縄県祖国復帰闘争史編纂委員会 / 1982 / 沖縄県祖国復帰闘争史 資料編 / 時事出版

  6. [기타] / 琉球新報

  7. [기타] / 反對將奄美島交與日本 11-EAP-01440 /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檔案館

  8. [기타] / 亞盟 11-EAP-01464 /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檔案館

  9. [기타] / 亞盟 11-INO-06184 /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檔案館

  10. [기타] / 琉球問題 11-NAA-05510 /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檔案館

  11. [기타] / 琉球地位問題槪述 11-NAA-05507 / 中央硏究院近代史硏究所檔案館

  12. [보고서] U.S. Department of State / 1961 /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Diplomatic Papers, the Conference at Cairo and Teheran, 1943

  13. [기타] / Box 4126, Central Decimal File, 1950-54, RG59, NA

  14. [기타] / Box 4261, Central Decimal File, 1950-54, RG59, NA

  15. [기타] / Box 3827, Central Decimal File, 1955-59, RG59, NA

  16. [기타] / Box 3828, Central Decimal File, 1955-59, RG59, NA

  17. [기타] / Asian People’s Anti-Communist League (Tsai Chang), U81100523B / 沖縄県公文書館

  18. [기타] / General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State, Central File, 1950-54 Box No. 4260 Folder No.1, U90006078B

  19. [기타] / General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State, Central File, 1955-59 Box No. 3978 Folder No.2, U90006098B / 沖縄県公文書館

  20. [기타] / General Records of the Department of State, Central File, 1967-69 POL 19 Box No. 2263 Folder No.3, U90006066B / 沖縄県公文書館

  21. [기타] / Ryukyuan Nationalist Party, 1958-1965, U81100223B / 沖縄県公文書館

  22. [학술지] 노기영 / 2002 / 이승만정권의 태평양동맹 추진과 지역안보구상 / 지역과 역사 (11) : 186 ~ 223

  23. [학술지] 왕은미 / 2013 / 아시아민족반공연맹의 주도권을 둘러싼 한국과 중화민국의 갈등과 대립 (1953-1956) / 아세아연구 56 (3) : 155 ~ 194

  24. [학술지] 유영익 / 2005 / 한미동맹 성립의 역사적 의의: 1953년 이승만 대통령의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을 중심으로 / 한국사시민강좌 36

  25. [학술지] 尹德敏 / 1991 / 美日 오키나와 返還協商과 韓國外交 / 國際政治論叢 31

  26. [학술지] 최영호 / 1999 / 이승만 정부의 태평양동맹 구상과 아시아민족반공연맹 결성 / 國際政治論叢 39 (2)

  27. [단행본] 河野康子 / 1994 / 沖縄返還をめぐる政治と外交: 日米関係史の文脈 / 東京大学出版会

  28. [단행본] 宮里政玄 / 2000 / 日米関係と沖縄: 1945-1972 / 岩波書店

  29. [단행본] 渡邊昭夫 / 1970 / 戦後日本の政治と外交 / 福村出版

  30. [단행본] ロバート / 2003 / 沖縄問題の起源: 戦後日米関係における沖縄 1945-1952 / 名古屋大学出版会

  31. [학술지] 富永悠介 / 2012 / 喜友名嗣正が見た「日本: 琉球独立運動と「台湾省琉球人民協会」の活動から / 大阪大学日本学報 31

  32. [학술지] 石井明 / 2010 / 中国 の琉球⋅沖縄政策: 琉球⋅沖縄の帰属問題を中心に / 境界研究 (創刊)

  33. [단행본] 小林聡明 / 2011 / 日米同盟論: 歴史, 機能, 周辺諸国の視点 / ミネルヴァ書房

  34. [단행본] 小松寛 / 2013 / 戦後沖縄における帰属論争と民族意識: 日本復帰と反復帰 / 早稲田大学出版部

  35. [학술지] 小野百合子 / 2010 / 「沖縄軍用地問題」に対する本土側の反響の考察: 日本社会と「沖縄問題」の出会い/出会い損ない / 沖縄文化研究 36

  36. [학술지] 松田春香 / 2005 / 東アジア「前哨国家」による集団安全保障体制構想とアメリカの対応: 「太平洋同盟」と「アジア民族反共連盟」を中心に / アメリカ太平洋研究 5

  37. [단행본] 新崎盛暉 / 1976 / 戦後沖縄史 / 日本評論社

  38. [단행본] 我部政明 / 2000 / 沖縄返還とは何だったのか: 日米戦後交渉史の中で / 日本放送出版協会

  39. [단행본] 櫻澤誠 / 2016 / 沖縄の保守勢力と「島ぐるみ」の系譜: 政治結合⋅基地認識⋅経済構想 / 有志舍

  40. [단행본] 櫻澤誠 / 2015 / 沖縄現代史 / 中央公論新社

  41. [단행본] 櫻澤誠 / 2012 / 沖縄の復帰運動と保革対立: 沖縄地域社会の変容 / 有志舎

  42. [단행본] 劉仙姬 / 2012 / 朴正熙の対 日⋅対米外交: 冷戦変容期韓国の政策, 1968~1973 / ミネルヴァ書房

  43. [학술지] 李鍾元 / 1994 / 韓日会談とアメリカ: 「不介入政策」の成立を中心に / 国際政治 105

  44. [단행본] 鳥山淳 / 2013 / 沖縄基地社会の起源と相克 1945-1956 / 勁草書房

  45. [단행본] 中島琢磨 / 2012 / 沖縄返還交渉と日米安 保体制 / 有斐閣

  46. [단행본] 中野好夫 / 1976 / 沖縄戦後史 / 岩波書店

  47. [단행본] 崔慶原 / 2014 / 冷戦期日韓安全保障関係の形成 / 慶應義塾大学出版会

  48. [학술지] 八尾祥平 / 2010 / 中華民国にとっての「琉球」: 日華断交までの対「琉球」工作を中心に / 琉球⋅沖縄研究 3

  49. [단행본] 平良好利 / 2012 / 戦後沖縄と米軍基地: 「受容」と「拒絶」のはざまで1945-1972 / 法政大学出版局

  50. [단행본] 許育銘 / 2008 / 中華民国の制度変容と東アジア地域秩序 / 汲古書院

  51. [학술지] 林泉忠 / 2017 / 開羅會議中的琉球問題: 從「琉球條款」到「中美共管」之政策過程 / 亞太研究論壇 64

  52. [단행본] 楊子震 / 2014 / 國際秩序與中國外交的形塑 / 政大出版社

  53. [학술지] 任天豪 / 2010 / 中華民國對琉球歸屬問題的態度及其意義(1948-1952): 以《外交部檔 案》為中心的探討 / 興大歷史學報 (22)

  54. [단행본] 蔡璋 / 1951 / 琉球亡國史譚 / 正中書局

  55. [학술지] 許育銘 / 2014 / 冷戰時期東亞局勢下的琉球與台灣關係: 以1966年中華民國琉球友好訪問團為中心 / 社会システム研究 29

  56. [학술지] Clapp, Priscilla / 1975 / Okinawa Reversion: Bureaucratic Interaction in Washington 1966-1969 / 国際政治 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