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우먼하우스 Womanhouse≫(1972) — 여성 미술과 장소특정적 설치 미술의 선례

Rereading Womanhouse (1972): A Pioneer of Feminist Art and Site-specific Installation

인문논총
약어 : -
2018 vol.75, no.3, pp.173 - 220
DOI : 10.17326/jhsnu.75.3.201808.173
발행기관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145 회 열람

이 글은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1972년 1월 20일부터 약 6주간 공개된 ≪우먼하우스≫의 기획 과정과 작품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우먼하우스≫는 주디 시카고와 미리엄 샤피로가 캘리포니아 예술대학의 페미니즘 미술 프로그램에 참여한 21명의 대학생과 함께 큰 폐가를 빌려직접 집을 수리하고, 총 18개의 공간을 이용해 ‘가정’ 내 여성의 경험, 역할, 문제의식을 표현하는 장소특정적 작업을 설치한 프로젝트이자전시였다. 공개 당시 전국적으로 조명받았던 ≪우먼하우스≫는 전시후 집이 철거되면서 설치 작품도 대부분 폐기되었다. 이후 제1세대 페미니스트 미술의 대표 사례로 거론되기는 했으나, 제1세대의 ‘본질주의’적 성격에 대한 적대적 분위기 속에서 상세한 연구로 진척되지는 못했다. 근래 들어 테마 발두치를 필두로 비평적 논의가 재개되면서, 제1 세대의 ‘본질주의’와 제2세대의 ‘구성주의’가 복합적으로 발견되는 사례로 재고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도 이러한 시각에 일부 동조한다. 그러나 단지 여성 미술에서의 본질주의와 구성주의 간의 문제를 넘어, 보다 많은 작품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우먼하우스≫에서 발현된 다양하고 때로는 모순적인 여성의 경험과 여성성에 대한 함의를 도출해내고자 하였다. 또한 여성주의적 관점을 넘어 오늘날의 여러 미술 작업방식과 형식을 예견했던 실험적인 면모들도 함께 짚어감으로써, 그 역사적 의미와 비평적 성격을 재조명하였다. 이러한 면모들로는 협업 과정, 폐가를 활용한 장소특정적 설치, 집수리와 바느질⋅자수⋅장식 등을 아우르는 성별 분업 해체적인 작업 방식, 다양한 융⋅복합적인 매체와 장르의 활용 등을 들 수 있다.

우먼하우스, 주디 시카고, 미리엄 샤피로, 페미니스트 아트, 본질주의, 폐가프로젝트, 장소특정적, 설치 미술
Womanhouse, Judy Chicago, Miriam Schapiro, Feminist Art, Essentialism, Abandoned House Project, Site-Specific, Installation Art

  • 1. [단행본] Chicago, Judy / 1972 / Womanhouse, exhibition catalogue / Through the Flower
  • 2. [학술지] Demetrakas, Johanna / 1972 / Womanhouse 47-min / documentary film
  • 3. [인터넷자료] Müller, Ulrike / Re: Tracing the Feminist Art Program ,캘아츠 페미니즘 미술프로그램 졸업생 인터뷰 아카이브
  • 4. [인터넷자료] / The Womanhouse Online Archive (우먼하우스 온라인 아카이브, 2009~)
  • 5. [단행본] 로즈마리 통 / 2010 / 21세기 페미니즘 사상 / HSMEDIA
  • 6. [학술지] 신경원 / 1996 / 루쓰 이리가라이의 전략적 본질주의 / 강인문논총 / 5 : 209 ~
  • 7. [단행본] 주디 시카고 / 2003 / 여성과 미술: 열 가지코드로 보는 미술 속 여성 / 아트북스
  • 8. [단행본] 주디스 버틀러 / 2008 / 젠더 트러블 / 문학동네
  • 9. [단행본] 줄리아 크리스테바 / 2011 / 서민원 역, "공포의 권력" / 동문선
  • 10. [인터넷자료] Archibald, Sasha / Womanhouse Revisited: Exploring the Legacy of the First Generation of Self-Declared Feminist Artists
  • 11. [학술지] Balducci, Temma / 2006 / Revisiting ‘Womanhouse’: Welcome to the (Deconstructed) Dollhouse / Woman’s Art Journal / 27 (2) : 17 ~ 2
  • 12. [학술지] Burton, Sandra / 1972 / Bad-Dream House / Time Magazine: Special Issue : 77
  • 13. [학술지] Butler, Judith / 1988 / Performative Acts and Gender Constitution / Theatre Journal / 40 (4) : 519 ~ 4
  • 14. [단행본] Chicago, Judy / 1975 / Through the Flower: My Struggle as a Woman Artist / Doubleday
  • 15. [인터넷자료] Crawford, Stephanie / A Re (Re) (Re) Telling of the Narrative of Womanhouse, or in the Beginning There Was a Woman with A Hammer
  • 16. [학술지] Gerhard, Jane / 2011 / Judy Chicago and the Practice of 1970s Feminism / Feminist Studies / 37 (3) : 591 ~ 3
  • 17. [학술지] Harper, Paula / 1985 / The First Feminist Art Program : A View from the 1980s / Signs / 10 (4) : 762 ~ 4
  • 18. [단행본] Irigaray, Luce / 1985 / This Sex Which Is Not One / Cornell University Press
  • 19. [단행본] Kristeva, Julia / 1982 / Power of Horror: An Essay on Abjection / Columbia University Press
  • 20. [단행본] Raven, Arlene / 1988 / Crossing Over : Feminism and Art of Social Concern / UMI
  • 21. [단행본] Raven, Arlene / 1994 / The Power of Feminist Art: The American Movement of the 1970s, History and Impact / Abrams : 48 ~
  • 22. [단행본] Rose, Barbara / 1984 / Feminism-Art-Theory: An Anthology 1968-2014 / Wiley Blackwell
  • 23. [학술지] Schapiro, Miriam / 1972 / The Education of Women as Artists: Project Womanhouse / Art Journal / 31 (3) : 268 ~ 3
  • 24. [학술지] Schapiro, Miriam / 1985 / Recalling Womanhouse / Women’s Studies Quarterly / 15 (1/2) : 25 ~ 1/2
  • 25. [단행본] Schor, Mira / 2009 / A Decade of Negative Thinking: Essays on Art, Politics, and Daily Life / Duke University Press : 46 ~
  • 26. [학술지] Seifert, Carolyn T. / 1980 / Image of Domestic Madness in the Art and Poetry of American Women / Woman’s Art Journal / 1 (2) : 1 ~ 2
  • 27. [인터넷자료] Sider, Sandra / Womanhouse: Cradle of Feminist Art, January 30-February 28, 1972, Art Spaces Archives Proje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