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글은 중국 자서나 운서에 수록되지 않았다는 점만으로 한국 고유한자로 규정하는 것은 오류의 가능성이있음을 강조하였다. 그리하여 한국 고유한자가 함유한 자형 형성의 고유성을 객관적으로 입증할 필요성이 있음을 제기하였다. 그리고 자형 형성의 고유성을 밝히게 되면, 한국 고유한자에 투영된 우리말 어형을 복원할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 고유한자의 자형 구성 방법에 대한 기존 연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사실을 파악하였다. 첫째, 한국 고유한자 椺를 우리말 ‘봏’ 또는 ‘보’를 차자 표기한 保에 意符 ‘木’을 추가하여 구성된 글자로 파악하였다. 둘째, 종래 榌의 의미를 ‘사다리’로 파악한 것은 오류임을 밝히고, 이를 ‘자귓밥’으로 풀이해야 바른 것임을 언급하였다. 셋째, 이영훈(1980)과 남풍현(1989)을 활용하여 한국 고유한자 矣가 ‘統首’의의미를 가지게 된 과정을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형성에 의해 구성된 한국 고유한자의 새로운 사례를 확인하였다. 기존의 논의를 활용하여 한국 고유한자 ‘䙍, 𦂹, 襨’ 등이 형성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으며, 한국 고유한자 稤가 형성에 의해 구성된 것임을 새로이 밝혔다. 稤는 ‘정부, 곡식, 창고’ 등의 세 가지 의미를 가지는데, 기원적인 의미는 ‘곡식’임을 밝혔다. 그리고 禾倉과 같은 결합 경험에서 후행한 倉[창고]에 영향을 받아 禾에 京[창고]의 意符가 첨가되어 만들어진 글자, 즉 형성자임을 밝혔다.

키워드

한국 고유한자, 椺, 榌, 矣, 䙍, 𦂹, 襨, 稤

참고문헌(73)open

  1. [인터넷자료] / 康熙字典

  2. [단행본] / 1972 / 高麗史 / 아세아문화사

  3. [단행본] / 1982 / 救急簡易方 / 단국대학교부설 동양학연구소

  4.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重訂南漢志

  5. [기타] 金正浩 / 大東地志 / 국립중앙도서관, 古貴0235-2

  6. [기타] 朝鮮總督府中樞院 / 1936 / (校訂)大明律直解 / 국립중앙도서관

  7. [기타] / 老朴集覽 / 동국대학교, 貴D494.2노13

  8. [단행본] 盧明鎬 / 2000 / 大安寺形止案,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 서울대학교출판부

  9. [인터넷자료] 徐榮輔 / 萬機要覽

  10. [인터넷자료] 丁若鏞 / 牧民心書

  11. [단행본] / 1985 / 飜譯老乞大 / 대제각

  12. [단행본] / 1985 / 飜譯朴通事 / 대제각

  13. [단행본] / 1985 / 法華經諺解 / 대제각

  14. [단행본] / 1987 / 三國史記 / 대제각

  15. [단행본] / 1985 / 釋譜詳節 / 대제각

  16. [인터넷자료] 李瀷 / 星湖僿說類選

  17. [단행본] 盧明鎬 / 2000 / 修禪社形止案,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 서울대학교출판부

  18. [인터넷자료] 국사편찬위원회 / 承政院日記

  19. [단행본] / 1915 / 新字典 / 朝鮮光文會

  20. [단행본] / 1978 / 新增東國輿地勝覽 / 景文社

  21. [기타] / 御營廳謄錄 / 장서각 K2-3349

  22. [기타] / 1973 / 輿地圖書 / 大韓民國文敎部 國史編纂委員會

  23. [인터넷자료] 李圭景 / 五洲衍文長箋散稿

  24. [단행본] 東亞大學校 古典硏究室 / 1966 / 譯註高麗史 / 東亞大學校出版社

  25.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頤齋亂藁

  26. [인터넷자료] 黃胤錫 / 頤齋遺稿

  27. [기타] 徐元瑞 / 吏學指南 / 국립중앙도서관, 古6026-3

  28. [인터넷자료] 서울대규장각 / 日省錄

  29. [기타] 池錫永 / 1909 / 字典釋要

  30. [기타] / 載寧啓下節目 / 고문서 14, 奎 18288의23, 서울대 규장각

  31. [인터넷자료] 한국고전번역원 / 再思堂先生逸集

  32. [기타] 具允明 / 典律通補 / 국립중앙도서관, 古6022-11

  33. [인터넷자료] 국사편찬위원회 / 朝鮮王朝實錄

  34. [기타] / 朝鮮地誌資料 / 국립중앙도서관, 古2703-1-1-7

  35. [기타] 鄭東愈 / 晝永編 / 국립중앙도서관, 古091-7

  36. [인터넷자료] 李睟光 / 芝峯類說

  37. [기타] / 震覽 / 서울대 규장각, 가람古903 J563

  38. [기타] / 昌陵位田畓量案 / 장서각, K2-3245

  39. [인터넷자료] 李德懋 / 靑莊館全書 盎葉記

  40. [단행본] 盧明鎬 / 2000 / 太祖家屋許與文記, In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 서울대학교출판부

  41. [인터넷자료] 국립국어연구원 / 표준국어대사전

  42. [인터넷자료] 한국학중앙연구원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43. [단행본] / 1983 / 訓蒙字會 / 단대출판부

  44. [단행본] 손환일 / 2011 / 한국목간자전 / 문화재청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45. [기타] 국립중앙박물관 / 2009 / 불국사석가탑 유물2 – 중수문서

  46. [학술지] 김문경 / 2007 / 朝鮮後期 白羊寺의 僧役에 대한 고찰 / 禪文化硏究 2 : 81 ~ 110

  47. [단행본] 金鍾塤 / 1983 / 韓國固有漢字硏究 / 集文堂

  48. [단행본] 南豊鉉 / 1981 / 借字表記法硏究 / 檀大出版部

  49. [학술지] 南豊鉉 / 1989 / 韓國의 固有漢字 / 국어생활 17 : 96 ~ 109

  50. [단행본] 南豊鉉 / 2000 / 吏讀硏究 / 태학사

  51. [단행본] 盧明鎬 / 2000 / 韓國古代中世古文書硏究(上) / 서울대학교출판부

  52. [단행본] 檀國大東洋學硏究所 / 1997 / 韓國漢字語辭典 /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53. [단행본] 檀國大東洋學硏究所 / 1999 / 漢韓大辭典 / 단국대 동양학연구소

  54. [단행본] 도수희 / 2003 / 한국의 지명 / 아카넷

  55. [단행본] 稻葉岩吉 / 1936 / 釋椋 / 大阪屋號書店

  56. [학술지] 柳在泳 / 1976 / 韓國漢字 / 국어국문학 30

  57. [학술지] 박성종 / 2005 / 韓國漢字의 一考察 / 구결연구 (14) : 51 ~ 96

  58. [단행본] 박혜범 / 2009 / 동리산 사문비보 / 박이정

  59. [학위논문] 신상현 / 2008 / 조선시대 한자 자형 연구

  60. [단행본] 유창돈 / 1973 / 李朝國語史硏究 / 선명문화사

  61. [학술지] 이건식 / 2009 / 韓國 固有漢字의 發達 -地名의 후부 요소 表記를 중심으로- / 구결연구 (22) : 219 ~ 254

  62. [학술지] 이건식 / 2009 / 朝鮮 前期 文獻 資料에 나타나는 魚類名 表記에 대한 硏究 / 國語學 (55) : 125 ~ 174

  63. [학술지] 이기문 / 1968 / 高句麗의 言語와 그 特徵 / 白山學報 4 : 101 ~ 142

  64. [단행본] 李基文 / 1980 / 國語史槪說 改訂版 / 탑출판사

  65. [단행본] 李丞宰 / 1992 / 高麗時代의 吏讀 / 태학사

  66. [학술지] 이영훈 / 1980 / 朝鮮後期 八結作夫制에 대한 硏究 / 한국사연구 29 : 75 ~ 137

  67. [학술지] 李忠九 / 1983 / 晝永編에 蒐集된 韓國漢字의 分析硏究 / 首善論集 8

  68. [단행본] 鮎貝房之進 / 1931 / 俗字攷 / 東京 圖書刊行會

  69. [기타] 諸橋轍次 / 1985 / 大漢和大辭典

  70. [단행본] 최동언 / 2001 / 조선식한문연구 / 북한 사회과학원

  71. [학술지] 하영삼 / 1999 / 한국 고유한자의 비교적 연구 / 중국어문학 33 : 185 ~ 224

  72. [단행본] 漢語大詞典編輯委員會 / 1991 / 漢語大詞典 / 漢語大詞典出版社

  73. [단행본] 홍기문 / 1957 / 리두연구 / 과학원출판사